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

        21.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고유동 고강도 콘크리트의 현장타설에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거푸집의 측압검토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타설높이 및 타설속도를 주요변수로 정하여 실험체를 제작한 후, 수행한 실험으로부터 측압 및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고유동 고강도 콘크리트의 최대 측압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측압으로 나타났으며, 타설 직후 측압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12시간 이후 안정화를 보였다. 3~4시간 이후 안 정화가 나타나는 보통 콘크리트와 측압이 감소하는 경향은 유사하다. 타설속도가 빠를수록 최대 측압이 크게 발생하였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감소량은 거의 유사하였다. 또한 수화열과 측압감소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22.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HPFRCC) provides high fracture energy absorption capacity, as well as high strength, being one of the most promising new construction materials. This study is a part of the research works to develop a blast/impact protection material for existing structures. High flow slurry can be used as a cementitious matrix to fill the HPFRCC. A new type of test method was adopted herein, called J-Fiber Penetration Test,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cement slurry to flow through the fiber mass.
        23.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xperiment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one part is to understand the basic properties of high flowable VA/VeoVa-modified cement mortar with different polymer cement ratio (P/C) and the weight ratio of fine aggregate to cement (C:F) and the other part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rface water spread on the concrete substrate on adhesion in tension. To understand the basic performance, the specimens were prepared with proportionally mixing VA/VeoVa redispersible powder, ordinary portland cement, silica sand, superplasticizer and viscosity enhancing agent. Here, P/C were 10, 20, 30, 50 and 75% and C:F were 1:1 and 1:3. As the change of P/C and C:F unit weight, flow test, crack resistance and adhesion in tension were measured. Three specimens with good adhesion properties were selected among specimens with different P/C and C:F. The effect of surface water evenly sprayed on concrete substrate on adhesive strength i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 that surface water on concrete substrate increases the adhesion in tension of high flowable VA/VeoVa-modified cement mortar and additionally improves the flowability compared to the non-sprayed case.
        24.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량의 장대화로 고품질과 양호한 시공성을 갖는 고유동성 매스콘크리트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수화열과 자기수축에 의한 비구조균열을 종종 발생하고 있다. 대상부재의 콘크리트응력에 대한 다양한 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하여 평가로부터 메스콘크리트의 수화열 증가에 따라 인장응력 및 균열지수를 예측하였다. 또한 분체계 혼화재료에 의한 자기수축 증가는 정착부 부근 매스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을 가중시킨다. 수화열과 자기수축 및 건조수축에 의한 인장응력은 PSC 거더의 대부분에서 약간의 응력증가를 나타내나, 정착부 근처의 인장응력은 콘크리트의 재령초기에 인장강도를 초과하게 되어 균열을 유발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25.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applied for cast-in-place piles constructed by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The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exhibits a compressive strength larger than 35 MPa and a slump flow of 600 mm. It is also a high fluidity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with an intended mass of suspended solid smaller than 150mg/ℓ. And then, we evaluated the quality performances and the fludity characteristic of the developed high fludity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in this study.
        26.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고유동성의 SBR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적 성능을 바탕으로 콘크리트의 보수용 재료에 매우 중요한 요구성능인 부착강도에 대한 피착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표면수량의 영향을 검토하는 연구가 수행하였다. 고유동성 SBR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적인 성능을 토대로 부착강도, 잔갈림성, 재료분리 저항성이 좋은 시험체를 선택하였다. 시험체는 C:F=1:1인 경우 P/C=20%, 30%의 시험체 2개, C:F=1:3인 경우 P/C=50%의 시험체 1개, 총 3개가 선택되었으며 이 3개의 배합에 대하여 피착체의 표면수량에 따른 고유동성 SBR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표면수는 콘크리트 피착면의 단위 면적 (cm2) 당 각각 0, 0.006, 0.012, 0.017, 0.024 g이 균등하게 살포되었으며, 이에 따른 연도변화, 플로우값, 부착강도, 부착파괴형상, 내균열성 및 재료분리여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콘크리트 피착체에 살포된 표면수는 고유동성 SBR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부착강도를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27.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유동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고가의 각종 혼화재료를 과량 혹은 추가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재료비 단가 상승, 추가 설비의 필요 등의 문제점이 있고,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분체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과잉 강도발현 등 고유동 콘크리트가 갖고 있는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특수 목적이외에는 그 사용에 있어 제약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고강도성 고유동 콘크리트와 달리 일반 강도의 고유동 콘크리트의 상용화를 위해 콘크리트 구성 재료 중에서 골재를 중심으로 이들의 합리적 활용과 콘크리트의 성능향상 모색을 위해 정량적 인자별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용한 실험변수로 물-시멘트비, 잔골재율, 골재의 조립률, 입자 크기의 중요도, 13mm 골재와 미립분의 활용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슬럼프플로와 U형 충전시험의 충전고차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고유동 콘크리트 성상은 굵은 골재보다 잔골재 입도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잔골재율이 높을수록, 조립률이 낮을수록 충전성과 유동성 확보에 유리하였다. 또한, 골재의 대체재로써 13mm 골재 및 미립의 석분을 활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충전성과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28.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urface water on concrete substrate on adhesive strength in tension of very high flowable SBR-modified cement mortar. Polymer cement ratio(P/C) were 10, 20, 30, 50 and 75% and the weight ratio of fine aggregate to cement were 1:1 and 1:3. The specimens obtained with different P/C and C:F were characterized by unit weight, flow test, crack resistance and adhesion test. Three selected specimens among these tested specimens were studied about the effect of surface water evenly sprayed on concrete substrate on adhesive strength.
        29.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hat larger scale and longer span of construction in concrete structures urge increasing use of mass concrete, high-flowing concrete among them is more widely used for improvement of quality and concrete constructability, but it may cause occurrence of cracks due to autogeneous shrinkage as well as heat of hydration.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provides comparative analysis on temperature characteristics subject to varied locations through experiments adopting a PSC girder in which high-flowing concrete is used; moreover, it analyzes heat of hydration through the FEM to perform the crack analysis of the PSC girder in such a way that the result thereof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experiment.
        30.
        201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고유동 콘크리트(High Fluidity Concrete 이하 HFC)에 대한 연구는 많은 시공사례와 함께 진행되고 있지만, 콘크리트의 내구성능을 평가하는 항목 중 하나인 염소이온 침투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며, 기존의 내구성관련 연구는 고강도 이상(40MPa)연구됨에 따라 보통강도 고유동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석회석 미분말을 혼합한 보통강도 HFC를 제조하여 콘크리트의 공극구조 및 염소이온 침투특성을 분석․고찰 하였다. 실험결과 석회석 미분말을 혼합한 2성분계 및 3성분계 고유동 콘크리트의 경우 콘크리트의 공극 크기는 0.005∼0.05 ㎛ 사이에서 가장 많이 분포 하고 있으며, 석회석 미분말의 혼합률이 증가할수록 평균 공극 직경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석회석 미분말의 혼합률이 증가할수록 염소이온 침투깊이 및 확산계수는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며, 확산계수는 압축강도 및 평균공극직경 사이의 상관관계에서 결정계수 0.90 이상의 양호한 상관성이 있었다.
        31.
        200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시공성 및 품질향상 방안의 일환으로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HSCC)에 형상비 및 길이를 달리한 강섬유(SF)를 혼입한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강섬유보강 일반콘크리트(CC)와 유동 및 강도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SF를 혼입한 HSCC는 높은 유동성 및 점성의 영향으로 SF 자체의 뭉침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강섬유보강 CC의 경우보다 유동성능 및 통과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동일한 압축강도 범위에서 SF를 혼입하지 않은 HSCC의 경우보다 쪼갬 및 휨강도는 SF의 형상비와 관계없이 길이가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통하여 강섬유를 혼입한 HSCC를 현장 적용할 경우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강섬유보강 CC의 경우보다 시공성 및 품질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