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3

        2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예인들은 항상 대중들에게 젊고 아름다운 외모와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이러한 스트레스는 불안과 우울을 거쳐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친다. 연예인의 직업적 특성과 심리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이 공적 자의식이다. 공적 자의식은 남에게 보이는 외적 자기에 집중하는 것으로, 대인 불안에 영향을 주고, 내적으로 자신을 과도하게 억압시켜 부정적인 정서를 높인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공적 자의식은 항상 좋은 모습을 보이기 위한 연예인의 정서 및 심리과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 연예인들의 외모관리 행동을 공적 자의식이라는 심리적 기제를 통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연예인들의 불안과 스트레스, 자살생각을 이해하고 예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였다.
        4,800원
        2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지금까지 생체 부분 간 이식을 위한 공여자의 간 용적 측정에서 방사선을 이용한 CT 3D 용적측정 검사가 매우 우수한 측정방법으로써 시행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수술 시 공여자의 안정성 판단을 위해 MR 검사가 함께 시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R 검사와 CT 검사를 함께 시행한 공여자를 대상으로 각각 3D 용적측정 후 그 우수성을 비교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은 간 이식 수술 전 MR 검사와 CT 검사를 함께 시행한 공여자로 남자 23명, 여자 7명이었고, 평균나이 29.1세였다. 검사장비로는 MR Systems Achieva Release 3.2.2.0와 CT Brilliance 64CH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장비로는 MR Adw 4.2와 CT Mx View 3.5를 사용하였다. 검사방법은 Primovist 조영제를 사용한 MR 검사 eTHRIVE Portal Phase(Fov 340×340, Thickness 5.0mm) 영상을 MR Adw 4.2 Workstation에서 용적을 측정하였으며, Ultravist 조영제를 사용한 CT 검사는 CT Hepatobiliary Portal Phase(FOV 350×350, Thickness 3.0mm) 영상을 Thickness 5.0mm로 Reconstruction 후 Mx View Workstation에서 용적측정 하였다. 분석방법은 MR 3D 검사와 CT 3D 검사에서 측정된 전체 용적 측정값과 좌엽 용적 측정값이 일치하는지 분석하였다. 공여자의 안정성 판단에서 중요한 사항으로 나타내는 우엽 용적 측정값 비교에서는 실제 수술실에서 적출한 우엽 간 용적값을 MR 3D와 CT 3D의 우엽 용적 측정값과 각 각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방법은 SPSS version 18.0를 사용하여 대응표본 t-test(p < 0.05)와 Pearson 상관계수로 검증하였다(r > 0.001). 결 과 : MR 3D 검사의 전체 용적 측정값은 1238cm³이며, CT 3D 검사는 1402cm³로 전체 평균 용적 측정값이 차이를 보였다(p < 0.05). 좌엽 간의 MR 3D 검사에서 용적 측정값은 450cm³이며, CT 3D 검사에서 용적 측정값은 554cm³으로 좌엽 용적 측정값의 차이를 보였다(p < 0.05). 우엽 간 측정값은 수술 후 적출한 우엽 간 평균 용적 측정값이 678g이었으며, CT 3D 검사의 우엽 용적 측정값은 847cm³(r=0.852)였고, MR 3D 용적 측정값은 787cm³ (r=0.871)로 측정되었다. 결 론 : 지금까지 간 이식 공여자는 이식 될 우엽 간을 미리 예측하기 위하여 주로 CT 3D 용적 측정검사를 하였다. 그러나 MR 3D 용적 측정검사 역시 CT 3D 용적 측정검사와 함께 매우 정확하고 우수한 측정방법으로써 증명되었으며, MR 3D 용적 측정검사가 간 이식 전 공여자의 안정성 판단에 중요한 검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8.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공적방제는 식물방역법과 농작물 병해충 예찰· 방제에 관한 규정에 따라 농촌진흥청장 및 시·도지사가 해당 병해충의 확산을 저지하기 위하여 국가차원에서 실시하는 방제를 말한다. 이러한 공적방제는 국내에 유입되었거나 이미 국내의 일부 지역에 분포하여 있는 병해충이 퍼져서 농·임산물에 중대한 피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경우나 병해충으로 인하여 농·임산물이나 그 밖의 물품의 수출이 지장을 받을 우려가 있는 경우에 해당 병해충의 박멸을 목표로 실시한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식물병에 대해 공적방제를 시행한 사례들이 있다. 본 발표에서는 공적방제의 개념, 공적방제 시행과 손실보상, 그리고 사과 화상병, 감귤 궤양병 등을 대상으로 한 대표적인 공적방제 시행 성공 및 실패 사례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2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서양의 문학과 예술의 비평역사에서 가장 근본적이면서도 중심적 문제로 다루어져 온 숭고미를 동양의 종교인 불교의 철학, 특히 선(챈, 젠)불교와 접목시켜 더욱 발전시키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문학과 예술작품을 감상할 때에 경험하게 되는 향유(enjoyment; jouissance)가 가장 고조되는 순간이 숭고미의 순간이라 함이 맞는 말일 것이다. 이것은 불교에서 보면 독자의 생각을 형성하는 이분법의 양변이 없어지고 중도를 통해 공에 접근하는 경험이다. 유뿐 아니라 무의 개념도 초월하여 개념이 성립하지 못하는 영역을 잠시나마 접하는 경험이다. 이러한 목적과 취지로, 본 논문은 우선 데리다, 라캉, 들뢰즈 등의 이론을 조명함으로써 왜 레비나스의 윤리학이 자아의 바깥인 타자를 가장 근본적으로 접근하고 동양철학과 가장 근접해있는 이론인가를 살펴본다. 그 다음은 불교철학에서의 개념들을 유대교와 기독교에 큰 영향을 받은 철학자인 레비나스의 생각과 접목시켜서 서양의 문학비평이론에 위치시키는 작업이 뒤따른다. 서양의 절대 신과 불교의 공의 개념의 개념을 비교하며, 그 툴이 생각과 언어가 미치지 못하는 가장 깊은 차원에서는 하나의 뜻을 지녔음을 설명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생각과 체제의 차원에서는 엄격히 다른 종교들이 결국 추구하는 바는 같고 그것이 문학의 목표이기도 함을 논의하는 것이다. 레비나스의 "순수자아"는 불교의 "진아" 또는 "참나"와 같으며, 그것은 가장 깊은 내면에서 자아가 자기해체를 하며 절대적으로 자신의 외계(단순히 무시 받는 남으로서의 타자가 아닌)인 타자를 직면하는 자아이다. 문학서적을 읽음으로써 독자가 생각의 이분법을 넘어 자신의 외계를 일견하는 것은 이러한 종교적 의미보다는 작은 개념으로서, 텍스트가 마치 선불교의 "공안"과 같은 구조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텍스트의 총체성을 해체시키는 읽기는 마치 이성의 힘, 생각의 차원 이상을 목표로 하는 선문답과 같은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 독자는 문학텍스트를 읽음으로써 향유와 숭고미를 경험할 때 그 의식이 텍스트와 하나가 되며, 텍스트의 총체성 뿐 아니라 자신의 인생의 의미를 규정하는 자아의 틀까지 해체하게 됨으로, 이것은 곧 (언어와 행동의 틀을 가지고 있는 "도덕"이 아닌) 절대윤리를 대변하는 것이 된다. 화엄경 등에 나오는 공과 무한에 대한 말들이 어떻게 현재의 포스트모던 윤리학과 그것을 이용한 문학비평 형성의 발전에 공헌될 수 있는가가 논의된다. 결국 독자의 문학택스트 읽기의 최종점은 부처의 마음과 지혜에 도달하는 것인데, 큰 규모가 아니라 단지 섬광과 같이 그 무한한 공의 상태를 숭고미를 통해 맛보는 것이다. 마지막에는 필자의 생각인 "숭고주체"가 설명된다.
        7,000원
        31.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구지역 공⋅사유림 내 산림습원의 식생구조와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보존가치가 있는 산 림습원의 발굴 및 보전, 향후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 FGIS 를 이용하여 예상 지점을 도출하고, 산림습원의 보호를 위한 완충구역을 설정하였다. 산림습원으로 판별된 11개 지점을 층위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63과 131속 148종 2아종 14변종 5품종으로 총 169분류군의 식물이 출현하였다. 산림습원의 종다양도는 관목층에서 1.5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균재도는 관목층에서 0.913로 가장 균일한 상태를 나타냈으며,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모두 0.3이하로 나타나 한 종이 우점하지 않고 층위별로 다수의 종이 공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완충구역은 습지의 종류, 지형 등을 고려하여 핵심지역 경계부로부터 20~50m로 설정하였다.
        4,900원
        35.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Vacuum pump for industrial machinery(fuel dispenser for gas station) is developed using reverse engineering process. The 3-D Modelling for a sample imported pump is constructed by 3-D scanner and CATIA. The kinematic analysis are accomplished using LMS Virtual Lab. The analysis shows quite reasonable result. The prototype vacuum pumps are fabricated by the die casting method with 3-D modelling. The pumps show applicable performances compared to the current pump with a point of view of pressure, durability.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