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22.
        2015.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협동적 요리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 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대상은 충북 청주시에 소재한 S 단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 통제 집단 2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이경민(200)의 과학적 태도 검사와 김영옥(2003)이 개발 한 친사회적 행동평가 검사도구(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 하기 위하여 각 집단별 평균 증가 점수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 협동적 요리 활동을 실시한 실 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간의 과학적 태도와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협동적 요리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24.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통합교육의 적용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과학적 지식 획득, 과학탐구능력 습득, 과학에 관련된 태도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2000년 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온라인데이터로 구축되어 있는 국내의 과학 통합교육에 대한 학위논문과 저널 중에서 효과크기를 계산할 수 있는 자료가 포함된 양적연구를 대상으로, 연구물의 특성을 파악하여 코딩기준에 따라 코딩하고 효과크기 공식을 적용하여 60편의 논문으로부터 84개의 효과크기를 구했다. 분석 결과 첫째, 과학 통합교육은 학생의 과학적 지식 획득, 과학탐구능력 습득,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형성에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과학탐구능력 습득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났다. 둘째, 통합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내용(교과)중심 통합 방법이 가장 큰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며 주제(소재)중심 통합 방법과 문제해결중심 통합 방법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 셋째, 통합교육의 유형과는 대조적으로 학교급간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적인 맥락에서 과학교육의 통합적 시도에 대한 비교 연구가 필요하고 이러한 분석은 과학교육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연구와 실천에 기여할 것이다.
        25.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Result analysis on the free inquiry Metho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how free inquiry activities effect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For this study 150, sixth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Busan city were selected. The inquir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each of the following free inquiry methods: the PBL inquiry, the Project inquiry, the IIM inquiry, the small group inquiry and the science notebooks inquiry.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groups in which they incorporated the respective methods into their practice. Test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The environmental class which applies a free inquiry method(PBL inquiry, Project inquiry, IIM inquiry, small group inquiry and science notebooks) was effective in science process skills improvement. Second, The environmental class which applies a free inquiry method((PBL inquiry, Project inquiry, IIM inquiry, small group inquiry and science notebooks) was effective in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improvement.
        26.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원예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환경태도, 과학적 태도, 과학적 탐구능력,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일산의 H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5명을 대상으로 2009년 8월 25일부터 11월 13일까지 매주 1~2회, 회기 당 30~40분씩 총 14회에 걸쳐 유치원 교실과 옥상에 위치한 실외 텃밭에서 유아원예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영·유아발달영역의 인지와 정서 영역에 기초하여 유치원교육과정의 탐구생활과 표현생활을 연계하여 개발하였다. 1회기~8회기까지는 식물을 직접 기르며 식물의 성장을 관찰하는 것과 자연 환경에 대한 학습 활동으로, 9회기~14회기까지는 자신과 또래, 그리고 환경에 대한 정서적 표현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식물인 상추, 깻잎, 쑥갓은 생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기르기에 쉬운 식물로서 재배 시기와 재배 장소를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검사 도구로는 유아의 자연친화적 환경태도, 과학적 태도 및 과학적 탐구능력, 정서지능의 4가지 도구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에 실시되었다. 결과에서는 유아원예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유아의 자연친화적 환경태도,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 정서지능의 향상에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유아교육 현장에서 원예교육이 체계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위한 교육 정책의 수립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27.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대기 중의 수증기’ 단원에 대한 멀티미디어 교수자료 개발과 과학 관련 태도 및 학습 동기에 관한 효과 및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질집단 사전사후 검사로 본 연구를 설계하였다. 5가지 주제의 실험으로 동영상자료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6차시에 걸쳐 실험집단에 적용하였다. 수업 이후, 멀티미디어 교수자료를 활용한 교수학습에서 과학 관련 태도, 과학 학습 동기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멀티미디어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이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다른 강의식 수업과 비교하여 지구과학의 개념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다고 답했다.
        28.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재적응형 대안교육 고등학교인 D고등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인 Y고등학교의 과학과 교육과정 분석, 과학실험수업 분석, 과학/과학실험에 대한 학생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수업을 관찰․분석하고, 수업을 담당한 교사와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두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및 과학실험활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두 학교의 과학실험수업을 분석한 결과, D고등학교에서는 Y고등학교보다 수업시 학생들의 의견에 좀 더 수용적인 반면, 실험활동의 전 단계를 교사 주도로 이끌어가는 측면에서 일반학교 보다 교사의존적인 수업분위기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살아가면서 과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와 과학을 신뢰하는 정도가 Y고등학교가 D고등학교보다 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학실험활동에 대한 태도 분석 결과, 두 학교 학생들 모두 과학실험과 같은 탐구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재적응형 대안교육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의미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29.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탐구 중심 실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고, 연구 대상은 경기도 시흥시에 소재한 2개 병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0명으로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과학적 태도 검사와 문제해결력 검사를 사용하였고.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각 집단별 평균 증가 점수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탐구 중심 실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간의 과학적 태도와 문제해결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탐구 중심 실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
        2007.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 및 과학 관련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연구 대상은 충청북도 음성군에 소재하고 있는 2개 병설유치원 2학급의 만 5세 유아 28명으로 실험집단 15명(남: 9명, 여: 6명), 통제집단 13명(남: 7명, 여: 6명)이었다. 연구 대상 유아의 연령 분포는 5년 4개월에서 5년 6개월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년 5개월이었다. 연구 도구는 문제해결력 검사와 과학 관련 태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문제해결력 검사는 Tegano, Sawyer와 Moran(1989)의 유아 문제해결력 검사에 기초하여 문은자(2000)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과학 관련 태도 검사는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가 개발한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에 기초하여 채정연(2003)이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과학활동은 유아의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문제해결력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문제의 발견 및 진술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아이디어 제안 및 적용과 문제해결에 대한 결론짓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과학활동은 유아의 과학 관련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과학관련 태도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인식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