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

        25.
        202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베이비붐 세대의 팀 동일시, 시청몰입, 사회적 고립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함으로 코로나19(COVID-19) 시대에 베이비붐 세대가 겪고 있는 사회적 고립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또 다른 고립의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302명의 베이비붐 세대 스포츠 팬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이 진행되었다. 또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 방법이 활용되었다. 결과: 그 결과, 첫째, 팀 동일시가 시청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시청몰입은 사회적 고립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팀 동일시는 사회적 고립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시청몰입은 팀 동일시와 사회적 고립감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는 현재 베이비붐 세대가 사회적 거리두기로 겪고 있는 사회적 고립감 문제를 대면하지 않고도 해결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더불어 향후 또 다른 고립의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26.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Present study investigates character identification and emotional response to character that may affect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the character-attached products. And this study explores whether symbolic relevance and object relevance affect the character identification, and whether character attractiveness and character salience affect the emotional response to charact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SNS characters, animated characters, game characters, and traditional characters were used as experimental characters. And stationery as experimental product was used. 250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mpirical stud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hypotheses. Results - First, the character identification and emotional response to characters affected the intention to purchase the products positively, and the emotional response to characters also positively affected character identification; second, symbolic relevance had no positive impact upon character identification, while object relevance had positive influence on character identification; and third, character attractiveness and sal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response. Conclusions - Present study contributes to the progress of character theories. Marketers should find ways to increase consumers’ object relevance to characters and the level of characters' attractiveness and salience in order to promote the intent to purchase the products.
        27.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비디오게임에서 입력기의 사실성과 시점이 게임이용자에 미치는 심리적 영향을 알아보았다. 먼저, 피험자들에게 레이싱 게임을 선택하여 사실적인 핸들형 입력기와 덜 사실적인 게임패드 중 하나를 제공하고 1인칭 시점과 3인칭 시점을 모두 이용하게 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입력기의 사실성과 시점의 차이에 따라 피험자의 각성, 동일시 정도, 관여도에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얻어진 결과들의 함의와 관련논의가 제시되었다.
        28.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스포츠에서 변혁적 리더십 요인을 확인하고, 변혁적 리더십이 지도자에 대한 선수들의 동일시 및 신뢰, 그리고 운동수행, 관여 및 동기에 미치는 효과 및 그 차별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15개 고등학교와 2개 대학에 재학중인 선수 414명이 연구에 참가했다. 스포츠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 요인, 지도자에 대한 신뢰 및 동일시, 선수의 운동수행, 동기, 관여를 측정하는 문항들을 Likert식 5점 척도에서 평정하도록 제작된 `체육지도자 행동특성 질문지`를 제작해서 사용했다. 문항반응 요인분석을 통해서 질문지의 구성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지적 자극, 지도자에 대한 동일시와 신뢰, 그리고 운동수행, 관여, 동기 요인을 추출했다. 자료는 SAS V.8.O for win을 이용해서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들을 개별적으로 배려하고 카리스마적이고, 지적을 자극할수록 선수들은 지도자를 더 동일시하고, 신뢰하고, 운동수행, 관여, 동기수준이 더 높았다. 둘째, 지도자를 신뢰하고 동일시할수록 운동수행, 관여, 동기수준이 더 높았다. 셋째, 변혁적 스포츠 리더십의 세 요인인 개별적 배려, 카리스마, 지적 자극은 동일시, 신뢰, 수행, 관여 및 동기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개별적 배려는 동일시, 수행 및 동기에 영향을 미쳤다. 카리스마는 동일시, 신뢰, 수행, 관여 및 동기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지적 자극은 동일시에만 영향을 미쳤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