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4

        21.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황각다귀(Nephrotoma virgata Coquillett)의 알, 유충, 번데기 단계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형태를 스케치하고 특징을 기재하였다. Nephrotoma속의 미성숙 단계는 한국에서 처음 기재된다.
        3,000원
        22.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체외 성숙액인 TCM-199 배지를 기초로 무혈청첨가물인 PVA, PVP 및 pFF의 한정배지를 이용하여 돼지 미성숙난자의 체외성숙, 수정 및 배양 후 난자의 수정율과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나아가 BSA 대체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1. 무혈청 첨가물을 이용하여 난포란의 체외 성숙을 유기한 결과 PVA, PVP, pFF, BSA의 전체 분할율은 각각 82.4%, 78.6%, 89.4%, 90.0%로 나타났으며, GV, MI-MII
        4,000원
        23.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ipula속에 속하는 한국산 어리아이노각다귀(Tipula patagiata Alexander)의 알, 유충, 번데기 단계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각 단계 및 영기별로 기재하고, 형태적 특징을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이 종의 미성숙 단계는 한국에서 처음 기재된다.
        3,000원
        26.
        200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미성숙 난포란의 유리화 동결액에 노출시 독성과 삼투압 스트레스가 가장 적은 유리화 동결액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성숙 난포란을 EFS(40% ethylene glycol +18% ficoll +0.3 M sucrose) 용액, ES(5.5 M ethylene glycol +1.0 M sucrose) 용액, GE(10% glycerol +20% ethylene glycol) 용액에 각각 노출하고 대조구로 아무 처리하지 않은 난포란을 체외성숙하여 관찰한 체외성숙율은 ES 용액과 대조구 에서 EFS 용액과 GE 용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유리화 동결액의 독성에 의한 난포란의 퇴화율은 대조구, ES 용액, EFS 용액, GE 용액 순으로 유의적으로 낮은 퇴화율을 나타내었다(P<0.05). 미성숙 난포란을 EFS 용액, ES용액, GE용액에 각각 노출하고 대조구로 아무 처리하지 않은 난포란을 체외성숙, 체외수정하여 관찰한 정상 수정율은 대조구가 세 종류의 유리화 동결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유리화 동결액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다정자 침입율과 난자당 침입한 평균 정자수는 모든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미성숙 난포란을 EFS 용액, ES 용액, GE 용액에 각각 노출하고 대조구로 아무 처리하지 않은 난포란을 체외성숙, 체외수정, 체외 배양하여 관찰한 수정 3 일째의 분할율은 ES 용액과 대조구가 EFS 용액과 GE 용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수정 7일째의 배반포 형성율은 모든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배양기간 동안 나타난 퇴화율은 대조구가 세 가지 유리화 동결액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ES 용액은 EFS 용액과 GE 용액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퇴화율을 나타내었다(P<0.05).
        4,000원
        27.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태계는 수은의 화학적 형상 및 산업화에 따른 방출로 지속적이면서 다양하게 오염된다. 또한 수은은 화학적 여러 형태로 분류되며 쉽게 기화되는 성질로 인해 수은을 공정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근로자들이 쉽게 급성 혹은 만성 중독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수은의 유독성이 알려져 있기는 하나 생체가 환경에서 노출 가능한 저농도의 수은 영향에 대해서는 정확한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이온화 방사선과 염화수은(II)의 영향을 비교해보고자 수행하
        4,000원
        28.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ragile X mental retardation (FMR) syndrome is the largest source of inherited mental retardation. The syndrome is usually caused by the transcriptional silencing of fragile X mental retardation gene (FMR-1). An 18 years old male wascompla띠ing of multiple toαh missing and abnormal facial profùe, of which signs were matemally dominant in his family. In the C)π。gene디c analysis the pa디ent and his parents did not show any discontinuity in the long arm end of X chromosome, but in the PCR produαs targeω19 the CGG repeat sequence in the 5' untranslated region of FMR gene both the patient'’ s and his mother' s gDNAs produced a normal and an extra bands, sized about 400 and 800 bps, respectively, while the his father' s gDNA produced only one normal band, sized about 400 bps. 까1US , we suppose that the pa디.ent has heterozygotic alleles of FMR gene inherited matemally, and that the patient s FMR gene was in a premutated state relevant to the dentofacial abnormalities.
        4,000원
        30.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iency and compared with different materials of loading vessels for vitrification-plastic/glass, copper grid and nylon. The loading method, vitrification, cryop-reservation and warming method of the oocytes were examined. The loading samples prepared in manual or company-made and sterilized, loaded the COCs selected on each samples and cultured for maturation during 40 hours, and then exposed sequentially to ethylene glycol solution. Thawing method was reversely treated and exposed for warmed oocytes. After oocytes were thawed, fertilized and cultured in vitro for 3-4 hours, rates of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appearance were examined. The results were as summarized: ㆍOPS from company-made or hand-made of the hematocrit micropipettes, NLS from fishing line and EMG from company-made for EM were used for loading oocytes, respectively. ㆍThe efficiency of freezing method and loading convenience were orderly higher in OPS, NLS and EMG. The optimal capacity per vessel was orderly lowered in NLS, EMG and OPS, respectively. ㆍAfter oocytes were warmed, the recovery rate, morphology and rate of development were orderly higher in OPS, NLS and EMG, respectively. ㆍIn conclusion, OPS has the advantages of achieving a little more survival and preserving results than other two loading methods.
        4,000원
        3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성숙 돼지난자가 체외성숙배양액인 TCM-199과 NCSU-23배지에서의 배양상태를 비교하였고, 체외성숙용 TCM-199배지에 Earle'ssalt와 Hank's salt의 첨가에 의한 세포분화와 배발달 상태를 각각 조사하였다. 1. TCM-199와 NCSU-23 배양액에 각각의 supplement를 첨가하여 5% 조건하에서 체외성숙을 유기한 결과, TCM-199 배양액에서 유의성(p<0.05)이 검증되었다. 2. 체외성숙용 TCM-199배지
        4,000원
        32.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소 미성숙 난자의 성숙 배양 시 세포주기 억제제인 cycloheximide, 6-DMAP, rosco-vitine를 첨가하였을 때 난자의 감수분열이 억제제비 첨가난자에 비해 높은 비율로 germinal vesicle 기에서 정지된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cyclohexi-mide, 6-DMAP, roscovitine을 배지에서 제거한 후 다시 추가적인 체외 성숙 배양을 실시하여 ger-minal vesicle기에 정지된 세포주기의 진행이 재
        4,000원
        33.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개 난소의 수송온도가 난자의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과 체외성숙 배양시 성숙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1. 개 난소를 4와 38에 저장 후 5시간 내로 연구실로 운반한 난소에서 채취한 난자를 체외배양 하여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체외배양 24시간째 13.2%(15/114), 77.8%(105/135)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48시간째는 0% (0/129), 72.9% (129/177) 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38에 수송한 난소에서 채취한
        4,000원
        40.
        200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우 미성숙 난자의 vitrification 동결시 발생단계별 생존성과 체외발생율을 알아보고자 난자를 0, 10, 14 및 20시간 성숙배양시킨 후 vitrification 동결 융해 후의 체외발생율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0, 10, 14 및 20시간 성숙배양시킨 난자를 vitrification 동결보존 후 MR 단계로의 발생율은 각각 33.3%, 55.0%, 68.3% 73.3%였으며, diploid로의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