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

        25.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기업에서는 자사 브랜드 또는 제품에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이나 캠페인 활동을 전략적으로 펼치고 있는 사례가 많아졌다. 특히 소셜 네트워크상의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해외에서는 이미 활성화 되있으며, 국내에서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나 SNS상에서의 인플루언서 유형과 제품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와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측면에서는 선행연구가 희박하다. 일반적으로 국내의 소비자들이 SNS상에서의 제품 광고나 마케팅을 접하였을때 느끼는 정도는 인위적인 차원인데 반해, 인플루언서 즉 영향력 있는 1인을 내세워서 그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스며들어 제품 을 보여주는 형태일때의 만족감이나 호기심, 주목성, 긍정적인 반응 등의 차원이 어떠할지 그 결과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세부적으로 알아보는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상에서의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제품이 소비자들의 관점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 소비자들의 평가를 조사하고자 인게이지 되는 유형중 사전조사를 통한 결과로 주목성이 제 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연구하였다. 그 결과 주목성의 고집단에서는 전문가가 더 높은 영향이 있으며, 저집단에서는 유명인이 높은 영향이 있음을 나타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주목성을 더 끌어올리기 위해서 인플루언서 유형 을 유명인에서는 자사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와 일치하거나 전문성이 있는 유명인, 또는 제품의 전문가를 적절히 활용하면 소비자 평가에 긍정적인 효과가 높아질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방향에 따른 결과로 기존의 전통 미디어와 다 르게 빠르게 변화하는 웹 2.0 시대에 맞는 미래지향적인 미디어로 SNS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진정성, 신뢰감 및 공감을 형성시켜, 기업의 제품이나 브랜드 마케팅 활동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26.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Past research has not given much attention to the roles of consumers’ social relationship type in the effects of justice type of service failure recovery alternatives on their satisfaction to the alternative exposed to them. Current research aimed at exploring the moderation role of consumers’ social relationship central versus peripheral in the effects of justice types of service failure recovery alternatives on the recovery satisfaction, and this research also explored whet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interac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their social relationship central and peripheral relationship.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2(social relationship central versus peripheral) between-subjects design was employed. 50 participants for each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Participants of each group took forceful steps in choosing one between the procedural justice-focused alternative and the distribu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χ2-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at the number of choosing each alternative becomes different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and a one way ANOVA was used to verify that the extent to which participants are satisfied to the alternative chosen by them becomes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The number of participants choosing procedural justice-focused alternative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central was larger than that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where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choosing distribu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was larger than that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central.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procedural justice-focused alternative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central was higher than that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whereas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distribu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was higher than that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central. In addition,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interac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 Marketers should give attention to the type of justice when developing alternatives by which consumers’ service failure can be recovered. They should suggest procedural justice-focused alternative to consumers under social relationship central, whereas they should develop distribu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for consumers under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And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service failure they also should focus on interaction justice.
        27.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광고유형에 따른 노인과 청년 모델에 대한 노인과 청년소비자의 태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광고유형과 광고모델의 유형에 따라 노인소비자와 청년소비자가 광고태도에서 유사성과 차이점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연구결과 노인소비자는 제품광고에 청년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보다 노인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를 더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청년소비자는 제품광고에 청년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를 노인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보다 더 선호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역시 더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노인소비자는 공익광고에 청년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보다 노인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를 더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청년소비자는 공익광고에 청년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를 노인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보다 더 선호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역시 더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한국사회가 급속도로 고령화사회가 되어가면서 국내 노인 인구가 점점 늘어나고 노인을 대상으로 한 정부나 기업, 공공단체들의 마케팅 활동의 중요성이 제기되는 시점에서 노인소비자와 청년소비자를 비교 연구한 것은 큰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이번 연구결과는 노인소비자와 청년소비자의 차이점을 보여주면서 비교 연구의 중요성을 확인해 주었다.
        28.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광고유형에 따른 외국인과 한국인 모델에 대한 외국인과 한국인 소비자의 태도를 비교 논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광고유형과 광고모델의 유형에 따라 외국인 소비자와 한국인 소비자의 광고태도, 브랜드에 대한 태도, 공익에 대한 태도에서 유사성과 차이점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연구결과 외국인 소비자는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 공익태도에서 제품광고와 공익광고 모두 한국인 모델보다 외국인 모델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았다. 한국인 소비자는 제품광고에서는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에서 외국인 모델과 한국인 모델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공익광고에서 한국인 소비자는 외국인 모델보다 한국인 모델에서 선호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