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21.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碧珍 李氏 가운데 密陽 來進 門中의 경우 조선 중기 이후 후기에 들어 많은 학자들이 배출되어 여러 대에 걸쳐 문집이 이어져 나오고 벼슬도 이어졌던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문중이 번창할 수 있었던 것은 중간에 東巖 李而樟과 松岡 李命徵 부자의 효우 돈목의 정신이 크게 작용하였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한다.동암은 아버지 秉節公 李繼胤으로부터 ��小學��의 실천궁행의 정신을 받아 위로는 아버지의 뜻을 받들고 아래로는 五友堂을 지어 형제와 우애 있게 지내고 자질의 교육에 힘썼다. 그 결과 중년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가 재자들과 교유를 확대하는 등 도약의 단계에 있는 듯하였다. 그러나 함께 서울에 머물던 셋째 아우 李而相의 급작스런 죽음으로 충격을 받아 세상에 나아가는 일을 단념하였지만 그 후유증으로 일년 만에 자신도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동암의 시는 그의 생애를 깊이 있게 알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동암은 그리 많은 시를 남기지는 않았고, 시도 輓詞가 위주이지만 시작품들은 비교적 뛰어난 것으로 보인다. 만시는 여러 작품들이 거의 일관되게 자신만의 독특한 구조로 작품을 구성하고 있어 하나의 특징을 이루고 있다. 抒情詩와 交遊詩는 그리 많지 않으나, 시 속에 절제된 감정이 잘 스며들어 있다. 송강은 아버지 동암이 갑자기 돌아가시자 많지 않은 나이에 조부모와 어머니, 그리고 여러 명의 삼촌을 모셔야 할 뿐만 아니라, 아래로는 처자와 형제를 돌보아야 하는 막중한 일을 맡게 되었다. 처음에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벼슬에 대한 미련을 가지고 있었으나, 중간에 환로에 대한 환멸을 느끼고 과거를 포기하였다. 그는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효우와 돈목을 매우 중시하여 一家契를 조직하였으며, 12說을 지어 유자로서의 기본에 충실하고자 하였다.송강의 시도 그의 생애가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그의 생애와 사상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그의 시는 아버지의 것에 비해 양적으로 많으며, 내용에 있어서도 아버지에 못지않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시는 벗과 주고받으며 우의를 다진 交友詩, 자신과 동갑인 숙부와 벗처럼 주고받은 唱酬詩, 고향의 산천에 대한 자부를 드러내거나, 특히 고향에 계신 어머니를 그리며 지은 思鄕詩 등등의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이들에 대한 연구는 동암과 송강 부자 각각의 삶과 사상을 살피고 시를 통하여 이를 확인하는 것 이외에 벽진 이씨 내진문중이 흥왕하게 한 원천이 무엇이었던가를 이해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2.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栗山 田相武는 舊韓末 宜寧에서 살았던 인물로, 江右地域을 대표하는 儒學者 중의 한 사람이었다. 그는 激變하는 시대를 살면서 유학자로서의 自存意識과 正體性을 잃지 않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하였다. 이 논문은 그의 詩世界를 통하여 그가 살아온 삶의 흔적과 학문적 성향을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는 특정한 지역의 인물을 발굴하여 조명함으로써 학계에 널리 알리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 때문이다. 그 결과 日本이 懷柔策의 일환으로 집요하게 제시한 ‘恩賜金’을 栗山이 끝까지 거부하였다는 것과 그 편지를 총독부에 보내서 排日意識을 提高하여 자존의식을 고취시켰다는 사실을 알았다. 또한 不戶籍, 不墓籍을 주장하여 일본의 政策에 抗拒하는 글을 남겼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가 ‘獨立宣言書’의 33인에 참여하여 국가를 위한 救國의 念願을 펼치기도 하였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정서적인 뒷받침이 가능했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는 곧 그가 평소에 體得해 온 實踐躬行의 도리를 몸소 실천함으로써 그의 儒學者的 삶을 지켜온 결과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정황을 역시 「赤猿日記」와 「西行日錄」을 써서 그가 당시에 보고 들은 사항과 그의 정서를 기록으로 남겼다는 사실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그가 일생을 단순히 明哲保身의 일환으로 삶을 영위한 것이 아니라 시대의 아픔을 여러 문학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기록으로 남겨 놓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은 적지 않은 소득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이 논문은 그의 正體性을 어느정도 이해하는 한편,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일정한 意義를 갖는다.
        23.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의령지역을 대표하는 학자 西岡 李中厚의 생애와 시세계를 다룬 것이다. 그는 아버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張福樞의 문하에서 학문을 하였으나 중년에 건강이 악화되어 더 이상 공부를 하지 못하고 건강의 회복에 힘을 썼다. 그는 요양에 집중하는 동안에 다른 한편으로는 근검절약하여 가산을 모았고, 부친의 유명에 따라 종족이 돈목하게 지낼 방책으로 別莊을 지어 집안의 大小事를 의논하고 도왔다. 이렇게 하던 공부를 그만두고 집안을 일으키는 데에 평생의 심력을 다한 그에게 자제들이 별장 곁에 西岡精舍를 지어주었다. 그는 만년에 이곳에서 그간 하지 못한 공부를 다시 하면서 집안을 다스렸는데, 무엇보다도 이곳에서 자제들이 열심히 공부하여 가업을 일으켜 주기를 바랐다. 그는 이처럼 질병과 가산을 모으는 일에 힘을 썼지만 선비로서의 도리는 잊지 않아 인근의 지인들이 세상을 떠났을 때 지은 輓詩가 100여 편에 이르고, 또 공부하고 요양하는 여가에 벗들과 모여 명승을 찾아 즐기기도 하였는데 이 때 한편으로는 술을 마시고 다른 한편으로는 시를 짓기도 하였다. 시에 전념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시는 상당히 수준에 이르러 그와 절친하게 지내던 深齋 曺兢燮이 시에는 情來·氣來·神來의 三來가 있는데 그의 시는 이것을 거의 이루었다고 높이 평가하기도 하였다. 시 가운데 가장 분량이 많은 輓詩는 일반적인 만사와는 달리 자신의 슬픈 감정과 마음을 드러내기 보다는 고인의 생애를 정리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어떤 시는 만시라기보다는 고인의 일생을 정리한 誄詞와 비슷한 성격을 갖는 것이 많다. 반면에 次韻詩는 다른 사람이 지은 시를 따라서 짓는 제약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서정적인 표현을 통하여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는 것이 많다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24.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鄭載圭(老柏軒, 1843-1911) 시세계에 나타난 학문정신을 탐구하 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에 이르는 영 남 기호학파의 문학세계, 그 일단을 이해할 수 있었다. 정재규의 삶과 문학에 저류하고 있는 것은 강한 호학정신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활발한 저술활동과 강학활동은 모두 여기에 기반한 것이라 하겠다. 정재규의 시세계에는 수많은 사람이 등장한다. 이것은 그의 시세계가 학문적 연대를 통해 구성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동시에 창작활동은 학문을 위해서 필요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재규의 학문 내용은 그 중심에 율곡학이 있었고, 그 주변에 남명학과 퇴계학 이 있었다. 이것은 그의 학문이 기호학에 연원을 두면서도 영남학으로 열려 있 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재규의 시세계에 등장하는 자연은 성리학적 이념과 굳건히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의 시세계는 자연과 문학과 성리학이 일체를 이루며 작품군을 형 성할 수 있었다. 사물에 대한 이념적 인식과 그것의 시적 형상은 정재규의 시작 법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그러나 그의 작품이 관념성으로 편향되어 있 다고 하기는 어렵다. 유례없는 위난의 시대를 맞아 위기의식에 입각하여 작품 을 창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변복령과 단발령이라는 심각한 문화적 위기를 경 험하면서 明末 절의를 지키며 죽어간 중국 선비들을 시로 칭송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그는 위정척사의 의지를 더욱 강하게 나타내고자 했던 것이다. 정재규 시세계의 의미구조는 단순하지가 않다. 호학정신에 바탕하여 학문적 연대를 통해 작시활동을 전개하면서 선현의 도학을 계승하고자 했고, 또한 다 양한 사물에서 이치를 발견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것이 관념으로 흐를 수 있다 는 자각 하에 당대를 극도의 위기적 현실로 인식하면서 사회적 실천을 추구하 고자 했다. 그러나 정재규의 시는 실천정신과 결합되어 있다기 보다 성리학적 이념이 강하게 나타나는 작품이 우세하다. 이것은 그의 시세계가 전통적인 세 계관에 입각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자 성리학을 묵수하면서 현실대응을 시도한 당연한 결과라 아니할 수 없는데, 그의 시세계에 이러한 점이 확연히 드 러나 하나의 특징과 한계를 이룬다.
        25.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芳洲 文國鉉은 둔암-성재-순암-성호-퇴계로 이어지는 학통에서 발견되는 보수적이고 반외세적인 영향으로 일찍부터 서구세력의 동점을 경계했다. 외세에 의한 침탈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그가 제시한 것은 자기 수양과 함께 유학의 부흥과 후진의 양성이었다. 그의 전 생애에 걸쳐 조선에서 일어난 여러 가지 사건과 국권의 상실의 역사적 상황은 그로 하여금 그의 이념의 적극 적인 실천 보다는 세상으로부터의 도피와 은둔을 선택하게 하였다. 은둔자로 자처하던 방주는 개방적이기 보다는 보수로 삶의 방향을 결정하여 유가의 전통적인 이념을 묵수하면서 혼란한 시대에서도 本性의 유지와 심성의 함양을 통한 인간 도리의 실천 그리고 유가의 전통적인 학문 공부를 통해 미래 사회에서의 재기를 꿈꾸었다. 이 시기의 방주의 학문경향이나 문예관은 조선 500여년을 면면히 이어온 유 가적 학문・문예관을 충실히 계승하기는 하였다. 그렇지만 근대로 들어서는 시 대 상황을 고려하여 평가할 때는 역사의 변화에 순응하지 못하는 또는 동참하 지 않으려는 보수적인 유학자로서의 문예관을 고수한 인물로 평가된다.
        26.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雪溪 文勵(1553-1605)는 曹植의 제자인 文益成의 아들이자, 조식의 고제자 인 鄭仁弘의 제자이다. 그는 임진왜란 중 의병장으로 활약했으며, 난후에는 그 의 충의에 감격한 명나라 장수들에게서 󰡔翰墨流芳󰡕을 선물받기도 했다. 지역 한문학적 측면에서 陜川을 연구하기 위해서도, 그리고 南平 文氏의 학맥을 연 구하기 위해서도 문여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그의 생몰연대는 물 론 죽음의 이유까지 그릇되게 기록되어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본고는 이에 그의 삶과 시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그는 일찍이 학문보다는 姜呂尙처럼 출사하여 경제제민의 포부를 펼치고자 했다. 그러나 뇌물수수 사건에 연루되어 억울한 누명을 쓰고 옥사하고 말았으 니, 그의 꿈은 미완의 상태로 남아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의 시는 자연의 승경 을 노래한 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눈물로 점철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 다. 임진왜란 중의 우국충정의 시, 이별을 읊은 시, 보고픈 이를 그리워하고 고 향을 그리워하는 시가 그러하다. 이것은 민족의 대재앙이었던 임진왜란이라는 시대상을 반영한 것으로, 그의 시는 길 위에서 방황하는 동시대인의 아픔과 소 망을 대변하고 있다고 하겠다.
        27.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文益成은 1526년에 태어나 1584년 肅川都護府使로 재직 중 59세를 일기로 생을 마친 인물이다. 그의 문집인 󰡔옥동집󰡕은 전란으로 잃어버리고 남은 詩文 들을 모은 것으로 그 분량이 매우 적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고는 특히 관직 생활과 연관된 시를 중심으로, 그 삶의 과정들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 승문원과 사섬시에 근무할 때 지은 것으로 보이는 「禁中題立春」과 「題 司贍寺契軸贈同僚」에서는 관직 생활의 희망, 임금을 송축하는 마음이 작품의 주조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洪原縣樓贈別朴公鳴渭」 「次端川上房韻」에서는 향수와 함께 약간 울적한 심사를 내비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澤稚」라는 작품을 들고, 그것이 울산군수를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온 즈음에 지어진 것이 아닐까 추정해 보았다. 매우 위험한 추정이지만, 관련 자료가 소략한 상황에서 조금 과감한 상상을 해 본 것이다. 마지막으로 숙천도호부사 시절에 지은 「聞雁 有感」은 아마 문익성이 남긴 마직막 시가 아닌가 여겨진다. 그는 벼슬에서 완전 히 물러나 여생을 마무리할 뜻을 굳힌 상태에서, 다시 고향을 떠나 평안도 숙천 에 부임하게 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곳에서 삶을 마쳤다. 이 시에서는 나 라를 걱정하는 마음과 함께 인생의 종착점을 목전에 둔 비장함을 엿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28.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단파 하계룡의 학행과 그의 시세계를 살펴본 것이다. 단파 하계룡은 세상에 크게 알려진 인물이 아니다. 겉으로 보아서는 이렇다 할 벼슬을 한 것도 아니고, 남긴 약간의 저술이 󰡔단파유고󰡕라는 이름으로 후손에 의해 정리되어 출간된 것 이외에는 내세울 것이 없다. 하지만, 그는 당시의 사람들에게 삼불후 가운데 벼슬을 뺀 치와 덕을 누린 사람으로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당대의 대표 적 학자인 정재규와 권재규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가 당시에 이러한 평가를 받았던 까닭은 그의 선조 창주와 습정재로부터 물 려받은 가학, 그 가운데에서도 효성을 깊이 본받았고, 또 우암 송시열과 동춘당 송준길에서부터 이어져온 학문, 그 가운데에서도 실천적 행실을 배운 때문이었 다. 그래서 그는 집안에서는 위로 선조와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고, 아래로 친족 과 자손들에게 돈목과 우애를 강조하였다. 따라서 향촌의 인사들에게 존모를 받았던 것이다. 그의 이러한 일생과 삶의 지향은 그의 많지 않은 시에 그대로 드러나 있다. 첫 째는 과거가 자신이 갈 길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공령을 버리고 학문을 좇았 던 일을 노래한 것이고, 둘째는 자신의 부모형제와 선조가 있는 고향에 대한 그 리움을 노래한 것이다. 셋째는 효를 실천하는 차원에서 일생 심력을 기울여 추 진했던 선조에 대한 추념을 노래한 것이고, 넷째는 같은 선조 아래에서 우애 있 게 지내기 위해 노력하던 마음이 담긴 친족 간의 화목을 중시하던 뜻을 읊은 것 이다.
        29.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만성이 그의 시에서 어떠한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러한 관심은 그의 어떠한 생각이 반영된 것인가를 살펴본 것이다. 만성은 그의 시에서 역사와 현실 속에 놓여 있는 인간의 참모습을 찾으려 애 를 쓴 흔적이 역력하다. 이러한 것은 그의 도문일치에 입각한 그의 문학관에 기 초하고 있다. 일반 사대부들도 문학에 대하여 그와 비슷한 생각을 피력한 바 있 다. 그러나 그들의 문학관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매우 단편적이거나 편의적 인 경우가 많다. 예컨대, 잡록 부분에서 잠간 언급하거나, 청탁에 의해 짓는 개인 의 문집 서와 발에서 이에 대해 언급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매우 체계적으로 문 학론이나, 문론 혹은 시론이라는 글을 지어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문학에 대한 견해를 정리한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는 또 생각에만 머물고 그의 문학 세계에서 그의 문학에 대한 생각을 구현한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만성은 문학관에 대해 피력한 글이 많지는 않으나, 최장한・곽종석에게 보낸 편지에는 그의 문학관을 일목요연하게 사적 체계를 세워 정리한 것을 볼 수 있 으며, 이러한 문학관은 그의 많지 않은 시작품 속에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올바른 인간에 대한 관심과 수양은 그의 몇 몇 잡저들 예를 들면, 「명덕 설」, 「위인론」, 「입지설」 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그의 시 속에서 나란히 읊어진 한유한, 정여창 등 선현에 대한 그의 생각과 남명에 대한 생각, 그리고 당대의 어진 사람들과의 교제를 읊은 시 등에서 발현되어 있다. 그가 매 화에 대해 관심을 가졌던 것, 특히 납매에 대한 그의 특별한 관심과 이를 바탕 으로 지은 「납매설」은 그의 참된 인간의 모습을 탐구하고 현시하려한 의도를 읽기에 충분하다. 그리고 그가 그러한 인간이 속해 있던 그리고 속해 있는 시간과 공간에 관심 을 가지는 것은 또한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그는 역사를 회고하고, 또 시사를 걱정하고, 민속에 관심을 기울이는 등 그가 속해 있는 현실의 과거와 당대에 깊 은 관심을 기울였던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만성의 시문학에는 자신의 시대와 그 시대를 열어가는 당대의 바람직 한 인물들과 깊은 교유를 하였는데, 이러한 것은 바로 그의 과거와 과거의 인물 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하겠다. 그래서 만성이 바라보는 현실은 없어져야할 대상이 아니고, 보존하고 안존하 고 싶은 곳이다. 시사를 걱정하는 것도 현재를 걱정해서가 아니라, 미래를 걱정 해서이다. 그래서 그의 현실에 대한 인식은 심각한 문제를 찾아볼 수 없다. 다 만 미래의 불안과 걱정이 있을 따름이다. 미래의 불안과 걱정은 바로 굴욕적이 고 처참했던 과거를 돌아보며, 예측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의 과거는 현재를 보 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시점에서 미래를 보는 거울인 것이다. 인물의 경우에도 사람을 평가하는 바람직한 기준이 무시되는 현실을 매화를 통하여 비유적으로 이야기하고, 현실 속에서 그러한 인물들을 모색하였으며, 과거에서는 그러한 바람직인한 인물들이 어떻게 살았던가를 인식하고, 현실의 인물들에 교우를 유지하였다.
        30.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조위의 학문연원과 시세계 가운데 특히 조위가 김종직 문하에서 차지 하고 있던 위치와 무오사화를 전후로 하여 달라지는 시세계의 두 국면을 중심 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조위의 이복누이가 김종직에게 시집을 감으로써 조위는 김종직과 처남ㆍ자형 의 지친이 되었고, 이것을 인연으로 김종직의 제자가 되어 도학을 강론하였으 며, 김종직이 죽은 뒤에 그의 처남이며 문집을 수찬하였다는 이유로 갑자사화 때에는 김종직과 마찬가지로 천양지화를 당하였다. 당시에 수많은 제자를 길렀던 김종직 문하에는 여러 부류의 사람들이 있었는 데, 조위는 여러 부류의 제자들 가운데에서도 문학으로 이름이 났고, 결국 문학 으로 입신하여 성종의 지우를 받아 「호당기」를 짓고, 󰡔두시언해󰡕를 편찬하고 그 서문을 쓰는 일을 맡게 되었다. 그런데 성종 사후 연산군이 즉위한 뒤 유자광 등이 무오사화를 일으켜서 승승 장구하던 그의 벼슬길이 급전직하하여 귀양길로 이어지는 시기를 당해서는 글 에 대한 그의 생각과 철학이 바뀌었다. 그는 무오사화 이전에는 김종직의 문학에서 다진 도학을 바탕으로 문학으로 발양하였고, 이 시기의 그의 시는 벼슬살이 가운데의 한가함을 노래한 것이 주 조를 이루었다. 그러나 무오사화를 지나면서는 실의에 빠지고 문학에 대한 관심이 도학으로 회귀하였음을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그의 시는 귀양살이 속에서의 한가함을 노 래하는 가운데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마음을 노래한 것이 많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