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23.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formulated feed additive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of Hanwoo steers. A formulated feed additive reported to reduce heat load in the rumen in our previous research was used (Cho et al., 2014). Total 32 herds of Hanwoo steers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of control and treatment. Total mixed ration was provided as basal diet for cattle and 100 g of additive was supplemented on diet for treatment. Feeding trial was performed during 120 days before slaughter. For growth performance, 3 periods (0~90 days; 90~120 days; 0~120 days) were allotted and average daily gain, feed requirement and final body weight were determined. Loin meat between 12th and 13th rib was used for meat quality analysis after slaughtering. Only 1st period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growth performance of treatment (P<0.05)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periods. At 3rd periods (overall), a trend of increased average daily gain was found at treatment (P=0.075). Carcass performance and qualit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P>0.05). In meat quality, treatment showed significant increment in all measured meat colors (P<0.05) and significantly less sharing force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yield were found, remarkably improved economic status was detected in treatment group. In conclusion, it could be suggested that application of a formulated feed additive specialized in reduction of heat load in the rumen was able to increase economical balance through enhancing heat stress condition of ruminant and growth.
        24.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고구마는 웰빙 추세에 힘입어 재배면적 및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영양번식작물인 고구마는 재배환경에 따라 농업적 특성이 달라지기가 쉬워, 실제 시장에서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은 편이다. 이에 환경에 따른 고구마의 품질변이를 면밀하게 검토하여 소비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별로 는 그 지역의 고구마 특성을 최대한 살리는 지역브랜드 개발 등 부가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국 6개 지역에 고구마 15품종을 동일한 재배법으로 재배하고, 생산된 고구마의 이화학적 특성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지역별로 생산된 동일 고구마 품종의 당도는 익산이 가장 높았고 강화가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 전분함량은 논산이 가장 높았고 강화가 낮은 경향이었으며, 전분의 수분함량은 논산이 높았고 보령이 낮게 나타났다. 아밀로스함량은 보령산 고구마가 가장 높았고 강화산 고구마가 낮은 경향이었다. 회분 함량은 강화, 통영이 높았고 보령이 낮았다. 고구마가 익는 온도인 호화개시온도는 논산이 73.0℃로 가장 낮았고, 익산이 77.3℃로 가장 높았다. 호화 중 열 및 전단에 대한 저항성 지표인 Breakdown(강하점도)은 보령 이 249.1로 가장 높았으며 익산이 185.1로 가장 낮았다. 전분의 노화 정도를 나타내는 Setback은 보령이 69.2로 가장 높아 가공 이용 시 장점이 많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구마의 지역에 따른 품질차이는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