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5

        22.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thods of effectively removing noises in the acoustic data collected from the cold water zone of the East Sea, and converted that data into NASC values for comparison and analysis. First, the noises accompanying the acoustic data were divided into background noise, impulse noise, transient noise and attenuated signals according to the pattern characteristics. Then, the NASC values before and after noise removal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background noises were found to show the highest difference of 6,946 times in the NASC values before and after removal. The attenuated signals showed that the NASC values were higher after the removal.
        4,000원
        2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디지털 정보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사람들은 점점 더 자연스럽고 편리한 방식으로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실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본고에서는 Leap Motion 센서를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하고 Unity3D 와 Leap Motion 플러그인을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하여 가상 거문고의 상호작용 설계를 개발합니다. 또한 Leap Motion 장치의 개발과 연구를 통해 Leap Motion 센서에서 수집된 제스처 정보의 처리와 인식을 알고리 즘으로 구현하고,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제스처를 분리하여 서로 다른 응답을 가능하 게 합니다.
        4,000원
        24.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wideband acoustic technology has been introduced and started to be used in fisheries acoustic surveys in various waters worldwide. Wideband acoustic data provides high vertical resolution, high signal-to-noise ratio and continuous frequency characteristics over a wide frequency range for species identification. In this stud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wideband acoustic systems were elaborated, and a general methodology for wideband acoustic data analysis was presented using data collected in frequency modulation mode for the first time in Republic of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described the data recording method using the mission planner of the wideband autonomous acoustic system, wideband acoustic data signal processing, calibration and the wideband frequency response graph. Since wideband acoustic systems are currently installed on many training and research vessel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knowledge for fisheries acoustic research using the state-of-the-art system.
        4,200원
        30.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hip security accidents that occur in ships, at sea, and in ports have become increasingly more serious in recent years, and in particular, maritime terrorism and the abduction by pirates are emerging as an international problem. Accordingly,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plemented a measures to enhance ship security by adopting SOLAS Chapter 11-2, ISPS-code in 2004.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whether JDS-S4, a directional sound receiver developed for responding to ship security accident, has durability and safety suitable for ships. For the purpose, the conducted emission test (CE102) of the US military standard test (MIL-STD-461F) was performed, and it was confirmed that JDS-S4 satisfies the test conditions sufficiently.
        4,000원
        31.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atholic school is a school that spreads religious ideology to students by combining religious education with regular school curriculum. But, most Catholic schools do not have a separate liturgical space, mass is performed in multipurpose spaces such as auditoriums, and are exposed to severe acoustic defects due to the very aging facilities and lack of sound performance suitable for the liturgical space. So, in this study, an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using sound simulation after identifying acoustic defects through field measurements in the liturgical space of Haeseong High School in Jeonju. Also, hearing experiment using Acoustic Psych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changes in subjective responses felt by students as they improved their acoustic performance. The results of study, before and after sound performance improvement sound pressure level(SPL500Hz) was 64.8dB at 66.7dB, the weighted sound level(SPLdB(A)) was 67.9dB(A) at 75.8dB(A), reverberation time(RT500Hz) was 2.04sec at 2.52sec, definition(D50,500Hz) was 40.2% at 33.5%, clarity(C80.500Hz) was –0.8dB at –1.18dB, and RASTI was 57.7% at 49.2% was evaluated. In addition, the amount of improvement in subjective responses before and after sound performance through psycho-acoustic experiment decreased by “Reverberation” -17.0%, “Loudness” -11.3% and increased by “Clear” 21.3%, “Vivid” 21.3%, “Intimacy” 12.4%, “Warmth” 14.3%, “Stability” 19.3%, “Godliness” 18.8%. Therefore, after improving sound performance, Haesung High School's liturgical space improved satisfaction with subjective sound performance felt by students and teachers to ensure sound performance suitable for the liturgical space.
        4,800원
        34.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밸브의 내부 누설 현상은 밸브의 내부 부품의 손상에 의해 발생하며 배관 시스템의 사고와 운전정지를 일으키는 주요 요인이 다. 본 연구는 버터플라이형 밸브의 내부 누설에 따라 배관계에서 발생하는 음향방출 신호를 이용하여 배관 가동 중 실시간 누설 진단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밸브의 작동 모드별로 측정한 시간영역의 AE 원시신호를 취득하였으며 이로부터 구축한 데이터셋은 데 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밸브의 내부 누설 유무를 진단하는 모델을 생성하였다. 누설 유무진단을 분류의 문제로 정의 하여 SVM 기반의 머신러닝과 CNN 기반의 딥러닝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데이터의 특징 추출에 기반한 SVM 분류 모델의 경우, 이 진분류 모델에서 구축된 모델에 따라 83~90%의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다중 클래스인 경우 분류 정확도가 66%로 감소하였다. 반면, CNN 기반의 다중 클래스 분류 모델의 경우 99.85%의 분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밸브 내부 누설 진단을 위한 SVM 분류모델은 다중 클래스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적절한 특징 추출이 필요하며, CNN 기반의 분류모델은 프로세서의 성능 저하만 없다면 누설진단과 밸브 개도 분류에 효율적인 접근방법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35.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arget strength for multi-frequency (38 kHz, 70 kHz, 120 kHz and 200 kHz)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was estimated using by the KRM model. The body shape of the Chub mackerel was described by an X-ray system and the body length of 20 individuals ranged from 16 cm to 28 cm. The swimbladder tilt angle ranged between – 8 and – 14°, the maximum TS value according to the swimming angle of chub mackerel was – 33.0 dB at – 11°. The averaged TScm according to fork length was – 66.02 dB at 38 kHz, – 66.50 dB at 70 kHz, – 66.00 dB at 120 kHz and – 67.35 dB at 200kHz, respectively.
        4,000원
        36.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베베른의 ≪3개의 가곡≫ op. 25, no. 1, ‘얼마나 행복한가!’(Wie bin ich froh!) 작 품을 스트라우스(Joseph Straus)의 총체적 성부진행(Total Voice Leading)을 통해 음향 사이 내재 된 모든 성부진행의 가능성들을 조명하고, 음향 간 성부진행의 관계를 다각적 관점에서 분석한 연 구이다. ‘음향 간 성부진행’ 분석을 통해, 베베른의 가곡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음향 간 총체적 성 부진행 구조와 시의 구조, 음악의 형식적 구조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본 작품과 관련된 무조음악 이론가들의 선행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으 며, 이를 토대로, 보다 감상자 중심의, 음악 중심의 음향 간 성부진행 분석을 통해 베베른의 작품 에 내재된 음향적 구조를 면밀히 밝히고자 한다. 무조음악의 깊은 층위에서 유기적 진행의 중추 적 역할을 하는 음향 간 성부진행의 구조가 작품 내 시의 의미적 구조와 어떻게 연결되어 ‘의미 화’ 될 수 있는지 필자의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접근한다.
        5,700원
        37.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매미아과를 대상으로 번식울음 시기를 전국적으로 관측하여 종별 출현 시기 및 서식지 분포 특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전국 보호지역 19개소이었다. 매미 번식울음 수집기간은 2019년 12개월간이었다. 매미 번식울음 녹음은 매시간당 1분씩 WAV, 44,100Hz 포맷으로 생물음향 측정장비를 설치하여 녹음하였다. 온도는 미기상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시간당 1~2회씩 기록하였다. 연구대상종은 국내 매미아과 9종이었다. 번식울음 분석은 매미종별 번식울음 시종점을 기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지 19개소에서 출현한 매미는 9종이었다. 종별 번식울음 시기는 말매미(7/12~9/30), 애매미(7/27~10/20), 참매미(7/25~10/9), 유지매미(7/28~9/5), 털매미(7/3~9/29), 늦털매미(9/14~10/30), 소요산매미(6/26~8/2), 참깽깽매미(7/27~9/28), 쓰름매미(8/8~9/11) 순이었다. 종별 번식울음 기간은 35일(쓰름매미)~89일 (털매미) 사이었고 평균 62일이었다. 종별 서식지 해발고도는 말매미(5~386m), 애매미(7~759m), 참매미(7~967m), 유지매 미(42~700m), 털매미(7~700m), 늦털매미(5~759m), 소요산매미(7~759m), 참깽깽매미(397~967m), 쓰름매미(7~42m) 순이었다. 종별 서식지 평균온도는 말매미(23.9℃), 애매미(21.8℃), 참매미(22℃), 유지매미(23℃), 털매미(22.9℃), 늦털매미 (14.6℃), 소요산매미(20.6℃), 참깽깽매미(19.3℃), 쓰름매미(24.4℃) 순이었다. 종별 서식지 분포는 애매미, 참매미, 털매미 는 전국 15개소 이상 분포하였다. 말매미는 서남부 저지대에 분포하였다. 유지매미는 한반도 서부 지역에 분포하였다. 늦털매미는 고산지대와 동남부 일부를 제외한 지역에 분포하였다. 소요산매미는 산지에 가까운 지역에 분포하였다. 참깽깽매미는 고산지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였다. 쓰름매미는 평지형 습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