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

        21.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sky-bridge로 연결된 고층건물의 진동제어성능을 검토하여 보았다. Sky-bridge를 이용한 진동제어의 원리는 서로 다른 동적특성을 가진 구조물이 sky-bridge를 통하여 제어력을 발휘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응답을 줄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건설 중인 sky-bridge로 연결된 고층건물(49층 및 42층)을 대상으로 구조물의 변위, 가속도 및 베어링반력, sky-bridge의 응력 등을 해석적인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역사지진, 인공지진 및 풍동실험을 통해서 얻은 풍하중 시간이력을 사용하였다. 해석결과 sky-bridge를 사용하여 고층건물의 풍응답 및 지진응답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22.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초고층 건축물은 바람이나 지진에 의한 횡변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국내의 초고층 주거형 건축물에 주로 사용되는 횡력 저항 구조시스템인 아웃리거 시스템은 별도의 공간을 요구하여 시공이 어렵고 공사 기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불리한 점들이 있다. 반면 근래에 사용되고 있는 제진 시스템은 동적 하중에 의한 진동에너지를 부가적인 제진장치에 집중시킴으로써 건물의 횡변위를 저감시키며, 댐퍼의 설치도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아웃리거 설치와 같은 횡변위 제어시스템은 강성증가로 인해 풍응답이 증가되어 거주자의 불편과 같은 사용성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이는 다른 추가적인 제어방식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주거형 건축물에 대한 횡변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면서 아웃리거시스템을 대체 또는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써 다양한 제진장치를 적용하여 각각의 횡변위제어 성능을 검토해보았다.
        4,000원
        23.
        200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xperimental real-time hybrid method, which implements the wind response control of a building structure with only a two-way TLMD, is proposed and verified through a shaking table test. The building structure is divided into the upper experimental TLMD and the lower numerical structural part. The shaking table vibrates the TLMD with the response calculated from the numerical substructure,which is subjected to the excitations of the measured interface control force at its top story and an wind-load input at its base.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ventional method can be replaced by the proposed methodology with a simple installation and accuracy for evaluating the control performance of a TLMD
        4,000원
        24.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수정 슬라이딩 모드제어기의 비선형 이력구조물의 지진응답 제어성능이 평가되었다. 수정 슬라이딩모드 제어는 제어력을 계산하기 위해 Lyapunov함수의 목표변화율을 이용하는 기법으로 기존 연구에서는 선형구조물에 대한 성능만이 조사되었다. 그러나 강진시 대부분의 구조물은 비선형 거동을 보인다는 점을 고려할 때 기존 연구의 결과는 실제 적용에 있어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Bouc-Wen 모델을 사용하여 구조물의 비선형 거동을 모델링 하였으며, 이력이선형 단자유도 구조물에 대한 통계해석과 비선형이력 면진구조물에 대한 해석결과는 제안된 수정 슬라이딩모드 제어알고리즘이 기존의 슬라이딩모드 제어기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짐을 보여준다.
        4,000원
        25.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지진하중을 받는 탄성 및 비탄성 구조물에 대하여 수동 및 준능동 TMD의 지진응답제어성능을 평가하였다. 먼저 기존의 연구에서 제안된 식을 사용하여 최적 설계된 수동형 TMD와 본 연구에서 제시된 준능동 TMB가 설치된 탄성 구조물의 변위스펙트럼을 구하였으며, 준능동 TMD가 TMD보다 작은 스트로크를 가지고도 최대변위응답제어에 있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조물의 주기와 TMD의 주기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의 성능저하에 대한 TMD의 강인성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Bouc-Wen 모델을 사용하여 모사된 비탄성이력 특성을 가지는 구조물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탄성구조물에 대하여 최적화된 수동형 TMD의 성능은 구조물 응답의 비탄성이력 부분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저하되는 반면 준능동 TMD는 수동형 TMD보다 약 15-40% 정도의 더 많은 응답감소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4,000원
        26.
        200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trol performance of LCVA designed for mitigation of wind-induced motion of Songdo high rise building is evaluated using 1/20 scaled test model. The effectiveness of the LCVA is then examined tuning LCVA to 90%, 100%, and 110% of the natural frequency, 0.74Hz. The test structure is excited using a sinusoidal signal ranging 0.2 ~ 1.2 Hz with 5.5mm displacement, and acceleration and displacement of structure, water height, and shear force are measured.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LCVA tuned to 100% of the natural frequency with orifice opening ratio of zero reduce the peak and RMS displacement up to 67% and 72%.
        4,000원
        27.
        200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설치의 용이성과 경제성, 여러 다른 용도로의 전용 가능성, 유지보수의 용이성, 그리고 재동조의 편의성 등을 고려할 때 TLCD (Tuned Liquid Column Damper)는 기존에 건물의 응답제어에 많이 사용되는 TMD를 대체할 수 있는 감쇠장치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TMD (Tuned Mass Damper)와 TLCD의 지진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응답제어 성능평가에 관한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성능비교분석 결과, 층간변위 제어성능에서는 TLCD가 TMD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 가속도 제어성능에서는 서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층간변위 제어에서는 저층에서 큰 제어성능을 발휘하고, 절대가속도 제어에서는 상층부에서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TLCD가 지진에 가장 문제가 되는 구조물의 안전성 및 거주자의 사용성에 있어서 효율적인 감쇠기라 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4,000원
        2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many investigations have been conducted to evaluate and analyze the seismic response of structures equipped different types of damper. Viscous dampers are known as effective energy dissipation devices improving structural response to earthquakes. The damping force developed by the viscous damper depends on internal structural system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luid used in the device. This study has developed a viscous damper for vibration and seismic control of structures.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a viscous damper, experimental tests were performed.
        29.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f the MR fluid damper does not work, the magnetic powder (carbonyl iron powder) will sediment. To overcome this problem, we developed an EMR (Enhanced Magneto Rheological Fluid) fluid and evaluated control performance. For the dynamic load test using MR fluid and EMR fluid was conducted to evaluate control power and DR (Dynamic Range). In the damper performance test, the current was tested at intervals of 0.5A from 0.0A to 2.5A, and the control power of the EMR fluid was 84% compared to the control power of the MR fluid, The DR of the EMR Damper was 7.5. When the DR is 5.0 or higher, it is generally used as a semi-active control device. Therefore, the EMR fluid has proved its usability as a semi-active control device by showing 7.5 DR to 76% control performance of existing MR damper.
        30.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SMG fluid was developed for compensating the defect of the MR Fluid that is commonly used in Semi-active control system. And the damper with SMG fluid have been developed for practical application. The dynamic load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trol performance of the SMG damper at 0.5Hz and 1Hz frequency conditions and 0A and 0.5A current conditions. As a result, the remarkable performance of the SMG damper was verified.
        31.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oposes a Dual Controller System for Precision Control (DCSPC) for control of the gripper. The DCSPC consists of two subsystems, CDSP (Controller based DSP) and CARM (Controller based ARM processor). The CDSP is developed on a DSP processor and controls the gripping motor and LVDT. In particular, the CARM is implemented using Linux and ARM processor according to recent research related to open-source. The robot for high-precision assembly is divided into the robot control and the gripper control section and controls CARM and CDSP systems respectively. In this paper, we also proposed and measured the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API. As a result, it is expected to recognize improvements in communication between CARM and the robot controller, and will continue to conduct relevant research among other commercial robot controllers.
        32.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ims to developed SMC-Fractional algorithm, that is, enhances the performance of Sliding Mode Control(SMC) algorithm for pounding control of Multi-span bridges using MR-damper. The pounding control performance of SMC-Fractional algorithm has been evaluated in shaking table test on multi-span bridg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SMC-Fractional algorithm showed the performance od reducing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adjacent spans over other algorithms.
        33.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MR(Magneto-Rheological) Grease fluid was developed for compensating the settling phenomena of MR(Magneto-Rheological) fluid which is widely used in semi-active control system.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settling phenomena of the MRG fluid, the experimental comparison was conducted. The control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MRG fluid was also evaluated.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e MRG fluid have the sufficient performances to use as a material for semi-active control device.
        34.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t was modelled high-rise building applying outrigger damper system and analyzed by applying eccentric load. By controlling the variation of damping and stiffness of the damper, the seismic response control performance of outrigger damper system was analysed. An outrigger damper system is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top floor displacement response and torsional angle. Therefore, the damper should be selected the proper stiffness value because the variation of stiffness have an influence on the torsional angle.
        35.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ims to developed SMC-Fractional algorithm, that is, enhances the performance of Sliding Mode Control(SMC) algorithm for pounding control of Multi-span bridges using MR-damper. The pounding control performance of SMC-Fractional algorithm has been evaluated in shaking table test on multi-span bridg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SMC-Fractional algorithm showed the performance od reducing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adjacent spans over other algorithms.
        36.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MR(Magneto-Rheological) Grease fluid was developed for compensating the settling phenomena of MR(Magneto-Rheological) fluid which is widely used in semi-active control system.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settling phenomena of the MRG fluid, the experimental comparison was conducted. The control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MRG fluid was also evaluated.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e MRG fluid have the sufficient performances to use as a material for semi-active control device.
        37.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ttempted to assess performances of adopted MR-damper to control the complex behavior caused by the interaction of independent continuous structures. For this, MR-damper (30kN) was designed and fabricated, and the MR-damper model was investigated using the Nonlinear Bingham Plastic Damper (NBPD). To assess experimental performances, a control test on the model structure was performed while El-centro 150% of seismic load was being applied. Then, MR-damper was placed between two independent structures to have it control independent displacement and complex behavior between the two structures. This study found that MR-damper is effective in controlling complex behavior of structures.
        38.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건축물의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발된 무선 가속도센서 시스템 및 프로토타입 (Prototype) AMD 시스템을 결합하여 피드백 진동제어 시스템을 구성하고, 모형 건축물을 대상으로 구성된 제어시스템의 기초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우선 MEMS 센서 소자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 기반의 무선 가속도 센서 유닛, 실시간 가속도 응답획득 및 제어법칙에 근거한 제어출력을 구현하도록 구성한 운영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였다. 또한 AC 서보모터를 이용해 기동되도록 설계한 프로토타입 AMD 및 모터 드라이버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이용해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2층 모형 건축물을 대상으로 실험실 규모의 진동제어 실험을 수행하여 목적된 구조물의 진동저감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의 결과, 모형 구조물의 1차 및 2차 공진주파수 그리고 랜덤주파수 등의 실험조건에서 명확한 진동저감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종국적으로 본 논문에서 개발한 무선 가속도센서 시스템 및 AMD 시스템이 향후 여타 구조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39.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구조적으로 유연한 특성을 갖는 교량 구조물을 대상으로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실시간으로 제어하고자 준능동형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시스템을 구성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여기서 진동제어를 위한 대상 교량 구조물은 서해대교를 약 1/200 크기로 규모화 하여 설계/제작한 모형 교량 구조물을 사용하였고, 실험실 여건을 고려해 규모화 된El-centro 지진파형으로 구조물을 가진하였다. 또한, 교량 상판 중앙지점에는 전자석이 채용된 전단형 MR 댐퍼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발생된 진동을 제어하도록 하였고, 동시에 변위계 및 가속도계를 설치하여 구조물의 응답(변위, 가속도)을 획득하였다. 이때 진동제어의 실험은 크게 비-제어, 수동 on/off 제어, Lyapunov 안정론 기반 제어 그리고, Clipped-optimal 제어조건으로 구분하여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때 진동제어의 효과는 상판 중앙지점에 대하여 각 실험방법 별절대최대변위와 절대최대가속도 그리고, 인가전원의 소모량 등을 성능지수를 이용해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진동제어실험의 결과로부터, Lyapunov 제어 및 Clipped-optimal 제어방법 모두 구조물의 발생 변위 및 가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켰으며, 특히 진동제어 시 요구되는 외부 인가전원의 소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논문에서 구성한 준능동형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시스템은 교량 구조물에 발생된 진동을 제어 ․관리하기 위한 적극 ․ 효율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40.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건설구조물의 스마트 제어를 위해 오리피스 구간의 갭(gap) 조건을 달리한 2개의 준능동 MR 감쇠기를 개발하고, 동하중 실험을 통해 갭 조건에 따른 감쇠성능을 비교·평가하였다. 여기서, MR 감쇠기는 그 특성상 재료적 및 기계적인 다양한 변수들로 인해 그 감쇠성능이 크게 좌우될 수 있으나, 특히 MR 감쇠기의 오리피스 구간에 대한 갭 크기의 영향은 MR감쇠장치의 설계 시 핵심적인 요소 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리피스 구간의 갭 조건을 1.0mm와 2.0mm로 각각 설계하였으며, 인가전류 조건을 달리한 동하중 실험을 통해 발생 감쇠력을 획득하였다. 이들 획득결과는 힘-변위 이력곡선과 힘-전류 관계곡선으로부터 최대·최소 감쇠력 및 동적범위로 분석·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갭의 조건에 따른 MR감쇠장치의 감쇠성능 변화를 규명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2개의 MR 감쇠기는 인가전류셑 및 코일 권선수 등의 추가핵심설계요소를 효과적으로 고려함으로써 건설구조물의 스마트 제어를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