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

        21.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eat soil to use peat soil as the materials for pot media and investigated seedling quality of horticultural plants in order to use peat soil as the raw materials for pot media.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eat soil, which is main ingredient of pot media are as follows; pH was 4.9, EC was less than 2.0 dsㆍm⁻¹, which interferes the growth of the plant and organic ingredient was 33%. When looking into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plants according to the mixture of pot media, red pepper showed 54.2% speed of germination and 97% germination rate in peat soil single treatment. Therefore the peatsoil was appropriate for the pot media for red pepper. In case of cucumbers, in the 50 : 50 treatment of main ingredient (peat soil) and auxiliary ingredients (vermiculite, peat moss and perlite) they showed 100% speed of germination and 100% germination rate. Therefore 50 : 50 treatment was appropriate for the pot media for cucumbers. In case of chinese cabbage, peat soil, perlite and peat moss mixture (50 : 25 : 25)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speed of germination (77.5%), while the germination rate was a little lower (92.15%) than comparative soil. However, it was appropriate for the pot media for chinese cabbage. In case of watermelon, germination was bad because of the influence of EC when the teat soil ingredient is over 80%. However, in the mixture of peat soil and vermiculite (50 : 50) treatment, they showed 91.6% speed of germination and 100% germination rate. Therefore it was appropriate for the pot media for watermelon. When looking into the growth of the plants according to the mixture of ingredients, peat soil and perlite (50 : 50) mixture showed excellent seedling quality for cucumbers, peat soil and perlite (50 : 50) mixture showed excellent seedling quality and it was proven to be appropriate for the pot media for cucumbers. In case of watermelon, peat soil, peat moss and perlite (80 : 10 : 10) mixture showed excellent seedling quality and it was proven to be appropriate for the pot media for watermelon.
        22.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라산의 대표적인 극지성 고산식물인 시로미의 현지내외 보존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증식체계를 마련하고 저지대에서 생장특성을 밝히고자 삽목조건 및 초기생육 특성 등을 알아보았다. 숙지삽시 식물호르몬의 처리나 상토의 조건에 따라 발근이나 생장 등이 다소 차이를 보였다. NAA 100 mg/l 또는 500 mg/l를 처리한 경우 생존율, 발근율 및 뿌리의 생장 등이 가장 양호할 뿐만 아니라 뿌리의 수도 많고 신초생장도 비교적 양호하여 시로미의 삽목증식을 위한 적정한 처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로미 삽목묘를 노지에 옮겨서 키웠을 때에는 2개월 후부터 고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7개월 후에는 26.7%가 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차광처리를 하면 고사율이 낮아 91.1~94.4%가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광처리가 시로미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온실에서는 차광처리에 관계없이 생존율이 전체적으로 95.6~97.8%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생육장소 및 차광처리별 시로미의 평균 생장량은 노지와 온실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특히, 차광처리를 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생장량을 보였는데 이는 차광처리가 상대습도를 높이고 광량을 낮추는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25.
        198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 및 메밀 건경의 물 추출액을 피 및 배추에 처리하여 발아 및 초기생장의 억제 양상을 본 결과 1. 두가지 추출액 모두 피와 배추의 발아를 억제하였으며 메밀 추출액이 들깨 추출액보다 심하였고 피보다는 배추에 억제효과가 켰다. 2. 발아후 초기 생장도 위와 같은 경향이나 발아억제보다는 생장 억제 효과가 약간 적은 영향이었다. 3. 이들 추출액은 지상부 생장보다는 뿌리 생장에 피해를 더 주는 경향이며 들깨 추출액보다 메밀 추출액이 더 심한 편이었다.
        26.
        198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성토양에서 Alfalfa에 대한 근류균의 접종효과를 밝혀 우리나라에서 Alfalfa의 재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1980년 포장에서 Alfalfa 품종 Luna를 공시품종으로 국내에서 분리한 근류균(Rhizobium meliloti)을 공시균주로 하여 근류근 접종과 석회시용의 효과를 단보당 농용석회 100, 300, 600kg의 3가지 석회 수준에서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근류균 접종구에서는 석회의 시용이 생육초기 근류형성량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위근류의 형성이 거의 없었으나 무접종구에서는 생육 초기부터 위근류가 형성되었다. 2. 석회시용 효과는 생육초기부터 나타났는데 석회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토양 pH, 초장, 근장, 지상부 건물중, 뿌리의 건물중 등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3. 예취기별 건물수량은 근류균 접종 및 석회시용 의해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특히 근류균 접종구에서 석회시용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연간 총수량은 무접종구가 약 83kg/10a, 접종구가 약 286ks/10a으로 근류균 접종에 의해 3배 정도의 수량증대를 보였다. 4. 식물체내 전질소함량은 근류균 접종에 의해 잎이 4.0~4.5%, 줄기가 1.5~l.8% 그리고 뿌리는 1.7~l.9%정도로 헌저히 증가되있으며 근류형성률이나 석회시용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