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5

        2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esity is a worldwide disease and one of the major risk factors. Virus among many factors can lead to obesity. Adenovirus 36 (Ad-36) is the adipogenic virus linked with human obesity. Nevertheless, there is no drug to treat both Ad-36 infection and obesity associated with virus. For the precedent study on anti-cholesterol test, Distylium racemosum (D. racemosum), Quercus salicina (Q. salicina) and Raphiolepis indica (R. indica) were select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cholesterol effects, anti-lipid effects and inhibition of Ad-36 replication from three extracts. D. racemosum (50 μg/mL)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on 3T3-L1 adipocyte. D. racemosum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suppression of regulato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genes and adipocyte-specific genes such as adipocyte protein 2 (aP2). D. racemosum inhibited replication of Ad-36 at 50 μg/mL of concentration. Therefore, the extract of D. racemosum could be a candidate for development of anti-Ad-36 and anti-obesity drugs.
        4,000원
        2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초향은 항동맥경화나 항박테리아의 특성을 가지는 한약재에 널리 사용되는 영년생 약용식물이다. 연구의 목적은 수경재배에서 배양액의 종류와 PPFD값에 따른 배초향의 생장 및 항산화 물질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다. 배초향은 주야간 16:8 시간의 일장조건에서 150과 200 μmol·m-2·s-1 PPFD 조건과 일본원시(HES), 서울시립대(UOS), 유럽채소연구소(EVR), 오오츠카 배양액(OTS)을 이용하여 6주간 재배하였다. OTS 배양액조 건에서 자란 배초향의 지상부 및 지하부 건물중은 다른 배양액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배초향의 틸리아닌 함량은 OTS 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EVR, HES, UOS 순서로 낮아졌다. 총 아카세틴의 함량은 EVR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나 OTS처리와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200 μmol·m-2·s-1 PPFD 조건에서 자란 배초향은 PPFD 150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생체중과 건물중이 증가하였으며 기능성 물질은 틸리아닌과 아카세틴의 함량도 높았다. 본 연구는 수경재배 방식을 이용하여 식물공장에서 배초향을 재배할 경우 200 μmol·m-2·s-1 PPFD 조건과 OTS 배양액 조건에서 경제적인 광원조건으로 최적 바이오매스 생산량과 틸라아닌과 아카세틴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한다.
        4,000원
        2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uncertainty of demand and supply for energy has expanded as energy market change rapidly. Rapid accumulation storing of cold heat is a method for decreasing the gap between demand and supply of time, quantity and quality of heat energy. It is stored rapidly when electric power is on. And cold heat energy in heat is phase change material (PCM) heat storage is used when electric power is off. Porous media for cold heat is PCM. The present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cold heat storage in refrigerator using characteristics on laten heat and phase change of PCM.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performance of cold heat using characteristic of PCM. Also, this study predicts and measures specific points in PCM heat storage during process of phase change.
        4,000원
        28.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UV 조사가 대두 발아 시 이소플라보노이드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두 품종인 ‘풍원콩’을 사용하여 UV-A(315~400nm), UV-B(280~315nm)에 각각 2, 3, 5, 7일동안 광 감응을 하였다. 1일 16시간 광 감응 시켰으며, 증류수를 사용하여 수경재배 하였다. 종자가 발아하여 생육을 하는 동안 자엽, 하배축, 뿌리에서의 물질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위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종자의 발아 후 생장은 암 조건과 UV-A에서 잘 자라며 생육 상태는 UV-A에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 페놀의 경우 자엽, 하배축에서는 UV-A에서 7일차에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뿌리에서는 UV-B 처리 7일차에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분석은 자엽에서 UV-A와 UV-B를 처리한 생육기간 동안 꾸준한 증가를 보였고 하배축에서는 암 조건과 형광등에서 꾸준히 증가하였다. 뿌리에서는 암 조건 처리구에서 7일차에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콩의 이소플라보노이드 12종은 부위별로 다른 함량을 나타내었다. 자엽의 경우 7종(Daidzin, Genistin, Malonyl glycitin, Acetyl glycitin, Malonyl genistin, Daidzein, Genistein)의 이소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었고 하배축과 뿌리에서는 9종(Daidzin, Glycitin, Genistin, Malonyl daidzin, Malonyl glycitin, Malonyl genistin, Glycitein, Acetyl genistin, Genistein)의 이소플라보노이드가 함유 되어 되었다. 자엽에서의 이소플라보노이드 함량은 UV-A를 처리한 곳에서 생육이 진행될 때 감소하는 것이 나타났다. 하배축에서는 이소플라보노이드가 암 상태를 제외한 처리구에서 생육기간동안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는 경향을 보였다. 뿌리에서는 이소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암 조건과 형광등에서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UV-A와 UV-B 처리구에서는 감소하다 7일차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콩의 초기 생장 촉진과 높은 이소플라보노이드의 집적은 UV-A 조사에서 가장 효율적 임을 알 수 있었다.
        3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bamboo stands(Phyllostachys pubescens(Mazel) Ohwi, P. bambusoides Sieb. et Zucc, P. nigra var. henonis Stapf ex. Rendle) were selected to determine suitable biomass equations and productivity of Gajwa and Wola National Experimental Forests, Jinju, Southern Korea. Different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or the combination of DBH and height(H) were used to develop biomass equations(Allometric model : logY = a + blog DBH; Linear-quadratic model : Y=aDBH + bDBH2; Linear model with DBH and height : Y=a + bDBH2·H) for each bamboo component from two age-sequence(current-year, > 1-year-old) of three bamboo stands. Based on statistical indicators, the most suitable equation model to estimate biomass from bamboo stands was a linear-quadratic model. Aboveground biomass of three bamboo stands estimated by the model was 48.864 Mg ha-1 for the P. pubescens, followed by 36.632 Mg ha-1 for the P. bambusoides, and 36.504 Mg ha-1 for the P. nigra var. henonis stands, respectively. The highest biomass in the P. pubescens stand was attributed to the morphological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DBH and height. Belowground biomass was also highest for P. pubescens(53.35 Mg ha-1), followed by the P. bambusoides(36.73 Mg ha-1) and the P. nigra var. henonis(29.75 Mg ha-1) stand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rphological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DBH and height among bamboo specie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bamboo biomass productivity at a local level.
        4,300원
        3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퇴비에 함유된 영양소 및 중금속 함량을 파악하고 상추 재배시 퇴비의 적정 시용 비율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을 위해 두가지 퇴비를 이용하였다. 첫 번째 퇴비는 미완숙 퇴비(CA)이며 두 번째 퇴비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완숙 퇴비(CB)이다. 각각의 퇴비는 인공토양을 0%, 25%, 50%, 75%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50%와 75%의 비율로 혼합한 CA의 pH는 각각 5.39, 5.50으로 측정되었으며 약 산성으로 나타났다. CA 및 CB를 75% 비율로 혼합할 경우, 총 탄소 함량은 각각 14.5%와 6.5%로 다른 비율의 퇴비에 비해 높았고 대조구에 비해 총 질소와 인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총 탄소함량은 CA퇴비를 인공토양에 75% 혼합한 실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A는 CB와 비교하여 퇴비화율, 질소, 인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CB 75% 혼합한 실험구에서 구리(128 mg kg-1), 아연(260 mg kg-1), 납(0.32 mg kg-1), 카드뮴(0.48 mg kg-1) 의 함량은 다른 혼합구에 비해 가장 많은 증가하였다. 특히 비소는 CA퇴비를 25% 혼합한 실험구와 CB퇴비를 75%, 50% 혼합한 실험구에서 가장 높았다(6.69 and 6.28 mg kg-1). CA실험구 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염분 및 중금속 함량을 함유한 CA 25% 혼합한 실험구는 상추의 성장속도 및 엽면적 등이 CB에 비해 낮게 측정되어 최적의 성장조건은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CA를 사용하여 상추재배에 이용할 경우, 더 낮은 농도의 CA를 이용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7.
        2016.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yperlipidemia has been ranked as one of the greatest risk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evalence and severity of coronary heart diseases.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tangerine (Citrus unshiu) peel include the facilitation of fat digestive enzymes. Also, guarana (Paullinia cupana) has been used for stimulants and tonics over a long period. In this study, we aimed to optimize the mixed ratio of organic tangerine peel and guarana extracts to suppress fat accumulation. To determine the optimized the mixed ratio of tangerine (Citrus unshiu) peel extract (C) and guarana (Paullinia cupana) extract (P) on adipogenesis, maturing preadipocytes were incubated during the 8-day induction period with various ratio of the mixed extracts groups like as Vehicle (DMEM 200 μl/ml), Con (MDI DMEM 200 μl/ml), C10 (MDI DMEM 180μl/ml+C 20 μl/ml), C9:P1 (MDI DMEM 180 μl/ml+C 18 μl/ml+P 2 μl/ml), C5:P5 (MDI DMEM 180 μl/ml+C 10 μl/ml+P 10 μl/ ml), P10 (MDI DMEM 180 μl/ml+P 20 μl/ml). Thereafter, the adipocytes were stained with Oil-Red-O and analyzed for lipid contents. As the results, organic tangerine peel and guarana extracts were revealed to reduce fat accumulation in 3T3-L1 cells. The fat accumul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C5:P5 group, which is equally mixed with organic tangerine peel and guarana extracts, as compared to other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we found the optimized ratio with organic tangerine peel and guarana extracts to suppress fat accumulation. We suggest that this optimized organic tangerine peel and guarana complex might reduce effectively the serum lipid components and improve the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c patient.
        4,000원
        38.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약용식물로서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재배된다. 본 실험의 목적은 형광등과 LED 광조사가 당귀 생육의 발달과 기능성 물질로 알려진 Decursinol angelate와 Decursin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당귀 ‘만추’ 종자를 우레탄 스폰지에 파종 후 4주간 유리온실에서 육묘하였다. 본엽이 3 매 전개된 120주를 저면관수 시스템에 이식하였다. LED [적색: peak wavelength 660nm, 청색: peak wavelength 455nm, white = 3:2:4 비율]와 형광등 조건에서 최상부 군락에서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은 180±7μmol·m-2·s-1로 동 일하였으며 16:8의 일장조건에서 5주간 재배하였다. LED 처리에서 당귀의 엽수는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 형광등 처리와 비교하여 13.5% 증가하였으며, 형광등 처리에서 당귀의 엽장과 엽폭의 비율과 초장은 각각 24, 13% 증가하였으며 최대 근장은 두 그룹이 유사하였다. LED 처리한 당귀의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50, 42% 씩 증가하였으며, 지하부는 125, 45%씩 증가하였다. 형광등에서 재배된 당귀의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 는 LED처리한 당귀보다 지상부에서 단위 건물중당 188, 27% 증가하였으며, 지하부에서 78, 8% 각각 증가 하였다. LED와 형광등 처리에서 재배된 당귀의 한 개체 당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의 함량은 132과 122mg 이었다. 결론적으로 기능성 물질은 형광등에서 증가되고 생장은 LED 조건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9.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온은 사과(Malus domestica Borkh) 과실의 품질에 영향을 끼치는 가장 중요한 환경 요인 중 하나이다. 착색기의 ‘홍로’ 사과 과실을 3단계로 구분하여 Real-time PCR을 통해 온도조건에 따른 안토시아닌 합성과 당 축적 관련 유전자의 발현 차이를 조사하였다. 당 합성관련 유전자인 β-amylase(BMY)와 polygalacturonase(PG)의 발현은 변색 시작단계보다 마지막 단계에서 월등히 높았다. 과피의 착색과 관련있는 phenylalanine ammonia-lyase(PAL), chalcone synthase(CHS), flavanone 3-hydroxylase(F3H)와 malate dehydrogenase(MDH)유전자는 변색 초기작단계에서는 고온 처리 24시간후에 발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변색 중간단계에서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변색단계별로 보았을 때 25oC처리구가 다른 온도처리구보다 발현 정도가 더 높았으며, 변색 시작단계보다 마 지막 단계에서의 발현이 강하게 유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착색 초기단계의 과실이 고온스트레스가 가장 영향을 끼치므로 착색초기단계의 과실을 이용하여 전사체를 분석하면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사과의 성숙대사에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