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bamboo stands(Phyllostachys pubescens(Mazel) Ohwi, P. bambusoides Sieb. et Zucc, P. nigra var. henonis Stapf ex. Rendle) were selected to determine suitable biomass equations and productivity of Gajwa and Wola National Experimental Forests, Jinju, Southern Korea. Different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or the combination of DBH and height(H) were used to develop biomass equations(Allometric model : logY = a + blog DBH; Linear-quadratic model : Y=aDBH + bDBH2; Linear model with DBH and height : Y=a + bDBH2·H) for each bamboo component from two age-sequence(current-year, > 1-year-old) of three bamboo stands. Based on statistical indicators, the most suitable equation model to estimate biomass from bamboo stands was a linear-quadratic model. Aboveground biomass of three bamboo stands estimated by the model was 48.864 Mg ha-1 for the P. pubescens, followed by 36.632 Mg ha-1 for the P. bambusoides, and 36.504 Mg ha-1 for the P. nigra var. henonis stands, respectively. The highest biomass in the P. pubescens stand was attributed to the morphological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DBH and height. Belowground biomass was also highest for P. pubescens(53.35 Mg ha-1), followed by the P. bambusoides(36.73 Mg ha-1) and the P. nigra var. henonis(29.75 Mg ha-1) stand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rphological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DBH and height among bamboo specie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bamboo biomass productivity at a local level.
        4,300원
        2.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re are many other detection methods for Bursaphelenchus xylophilus. However, Baermann funnel method, PCR-based methods, which are laborious and time consuming processes that are unsuitable to rapid diagnose the Pine Wilt Disease (PWD) on the field. For these reasons, the aim of our experiment is not only to apply field diagnostic for pine wood nematode (PWN) but also to reduce total time for detection PWN in the pine trees by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with phosphate (Pi)-induced coloration reaction which could be yes or no answer for detection of PWN has not required UV detector but it just could be discriminated by naked eyes within 30 min. Genomic DNA was directly extracted from pine wood chips by Wood Chips Direct Lysis procedure which can be used for LAMP only after simple dilu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LAMP-Pi detection method, simple and rapid method for detection of PWN, could be applied to the field diagnostic for PWD.
        3.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had evaluated of insecticidal effect from Insecticide-treated net (ITN) that coated by deltamethrin against Monochamus alternatus which serves as a vector for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this experiment, vector has been shown that rapid insecticidal effect response time within 1 hour when they were contacted with ITN. In addition, vectors were showed high mortality within 48 hours. To evaluate insecticidal persistency of ITN and whether releasing insecticide to water, ITNs were soaked in water over various time periods. Water has not shown insecticidal effect to vectors and small amount of insecticide were detected that would not be harmful to other non-target organic being such as honeybee. Also, reduction of insecticidal effect was not observed from the ITN.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ITN had got highly insecticidal effect to vector as well as could be applied to effectively prevent dispersal of the vector on the field.
        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t is difficult to identification between Bursaphelenchus spp. and Pine Wood Nematode (PWN)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ithout expertise about nematode taxonomy. Furthermore, Baermann funnel method, which is nematode extraction method from wood chips or soil, requires at least 24 hours to extract nematode that is unsuitable to rapid diagnose the Pine Wilt Disease (PWD). For these reasons, the aim of this experiment is not only to improve accuracy of a PCR based method but also to reduce total experiment time for detection Bursaphelenchus spp. and PWN in the wood chips of PWD infected pine tree. In this experiment, we had been employed two PCR primer sets, which were originated from PWN specific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 region and Bursaphenchus spp. universal mitochondrial Cytocrome Oxidase subunit I (mtCOI) sequence region in order to discrimination between Bursaphelenchus spp. and PWN at the same PCR reaction. This experimental procedure was able to reduce experiment time and cost as well as to improve accuracy of detection than previous PCR based detecting method by not using Baermann funnel method and commercial genomic DNA extraction kit but using direct pine wood chips lysis method.
        5.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부지역의 효율적인 삼나무 임분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20m×20m 규모의 총 67개 조사구를 설치하였으며, 층위별 식생 및 임분구조 조사에 따른 군락유형 및 생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삼나무군락(C1)과 삼나무-편백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삼나무-편백군락은 다시 졸참-곰솔 군락(C2), 졸참-편백군락(C3)으로 구분되었다. 교목층 삼나무의 중요치는 C1 97.2%, C2 80.7%, C3 47.6%로 유형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아교목층에는 C1 8.9%, C2 15.2%, C3 5.7%로 C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3의 경우 아교목층에 솜대 및 이대가 나타나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관 목층의 경우 C1 9.2%, C2 7.0% 이었으나, C3에서는 삼나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목층의 종다양도는 C1이 0.059로 가장 낮았으며, C3에서 0.548로 가장 높았다. 우점도는 C1에서 0.958로 나타나 삼나무 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3은 우점도가 낮게 나타나(0.393) 다수의 종이 경쟁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평균직경연년생장량은 7.01(C2)∼8.04(C1)mm/yr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유형별 관리방안은 C1의 경우 경쟁목제거, 가지치기, 솎아베기가 적합하며, C2의 경우 경쟁수종 제거를 통한 삼나무 전형 군으로의 유도 및 수하식재를 통한 타 수종으로의 갱신이 더욱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200원
        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분포하는 붉가시나무와 졸참나무의 수고와 흉고직경 생장을 추정하고 특성을 비 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부지역에 분포한 지위지수 10~12인 졸참나무 표준지 28개소와 붉가시나 무 표준지 32개소의 조사 자료를 4가지 비선형 생장모형식으로 분석하였다. 붉가시나무와 졸참나무의 추정된 수고생장 모형식과 흉고직경생장 모형식 모두 Chapman-Richards식의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수종간 생장비교 결과, 졸참나무에 비해 붉가시나무의 초기 수고생장이 느린 것으로 나 타났으며, 45년에 가까워지면서 그 격차는 줄어드는 양상이 나타났다. 흉고직경의 경우 초기부터 지속 적으로 졸참나무의 생장이 우수한 특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두 수종간 생장특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적정 임분관리기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경수의 우량한 묘목 생산과 굴취비용의 절감을 위해 지상․지중 용기재배가 종가시나무 4 년생 묘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플라스틱 용기(상부 Ø19 × 하부 Ø13 × 높이 20㎝)로 묘목을 이식하여 활착시킨 후 묘포에 지중과 지상에 배치하였다. 시험구는 단일용기와 60g 부직포를 혼용한 2가지 처리구로 구분하였으며, A-type(노지묘: 대조구), B-type(지면용기), C-type(지면부직포용기), D-type(지중용기), E-type(지중부직포용기)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별 묘목의 상대생장률을 측정한 결과 간장 10.96㎝, 근원경 0.06㎜로 D-type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생장을 보였 다(p<0.05). 건물생산량은 D-type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묘목 품질지수 또한 D-type 처리구에 서 유의성이 높게 나타나 생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p<0.05). 뿌리형태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뿌리길이, 직경, 용적이 D-type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지중용기 처리구에서 묘목의 품질이 우수하였으며, 지중용기 재배에 따른 굴취비용 절감이 예상 됨으로 종가시나무 4년생 생산에 적합한 재배방법으로 판단된다.
        4,000원
        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온도와 차광이 참나물 종자의 발아와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은 온도별(5oC, 10oC, 15oC, 20oC, 25oC, 30oC) 발아 시험과 차광별(무차광, 35% 차광, 50% 차광, 75% 차광) 생육 시험의 두 종류로 실시되었으며, 발아실험 전 종자는 0일, 20일, 40일로 각각 저온습윤 처리를 하였다. 발아율은 20일 저온습윤 처리의 5oC에서 48.3%로 가장 높았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차광에 따른 초장, 엽면적, 엽장, 엽폭 등은 모두 50% 차광에서 각각 7.3cm, 12.8cm2, 5.4cm, 2.3cm로 가장 컸다. 특히, 뿌리는 35%와 50% 차광에서 생장이 좋았다. 지상부의 생체중은 50% 차광과 75% 차광에서 가장 높았으며, 건물중은 35% 차광과 50% 차광에서 높았다. 본 실험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참나물 유묘는 50% 차광을 유지하여 생육하는 것이 이식용 유묘 생산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능성 산채로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곰취를 포장에서 본격적으로 생산하는데 필요한 이식용 유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차광처리가 반음지식물인 곰취 유묘의 초기 생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은 차광수준(전광 및 35, 50, 75, 95% 차광)을 달리하여 실시하였으며, 차광별 생장과 형태적 특성을 각각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곰취의 초장은 75%차광에서 17.3cm, 뿌리직경은 전광에서 2.13mm로 가장 높은 생장을 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부위별(잎, 줄기, 뿌리) 및 전체 생체중은 모두 50% 차광에서 각각 1.784g, 1.330g, 0.791g, 3.905g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건물중의 경우, 지상부(잎, 줄기)와 전체 건물중은 35% 차광에서, 뿌리는 전광에서 가장 높게 나타 났다. S/R율, 부위별(잎, 줄기, 뿌리) 및 전체 함수율은 모두 95% 차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엽면적은 50% 차광에서 39.3cm2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SLA와 LAR은 차광 처리구에서 차광률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엽두께는 차광률이 높아질수록 얇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뿌리 특성에서는 95% 차광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좋은 생장을 보였으나 상대적으로 35~75% 차광에서 세근발달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곰취의 유묘는 50% 차광처리하여 생육하는 것이 포장 이식용 유묘 생산에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0.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선택적 투과막(FSS)이 결합된 복합재료 구조에서 구성 재료 간의 열팽창계수 차이로 잔류응력이 발생하므로 이로 인한 층간분리나 FSS의 손상 등 구조적인 파손 가능성과 잔류응력으로 인하여 변형된 FSS가 전파투과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FSS는 단위요소의 종류, 설계변수, 배열에 따라 전파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PSO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다이폴이 목표주파수에서 투과특성을 갖도록 설계하고 그 설계치수를 다른 N-pole 종류 단위요소(Tripole, Cross dipole, Jerusalem cross)에 적용하여, 복합재료 구조에 발생하는 잔류응력과 그로인한 구조적 손상과 전파특성을 영향성을 관찰하고 FSS패턴과 복합재료의 적층 변화에 따라 비교하였다.
        4,000원
        11.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cer pictum is a deciduous tree belonging to the family Aceracea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basic data on mass propagation techniques by surveying the germin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 pictum seeds. Methods and Results : A. pictum seeds were harvested in 2014 on August 19, September 5, September 29 and October 31. The seeds were then sown on the same dates they were harvested. A portion of seeds harvested in August 2014 were stored at low temperatures and subsequently sown on March 11, 2015. The germination rate of A. pictum seeds was highest in seeds that were stored harvested on October 31. Mean germination time (MGT) was shortest and germination velocity (Rs) was fastest in seeds harvested on October 31. Root collar diameter, total root length, and dry weight were also highest from seeds collected October 31. Conclusions : A. pictum seeds harvested on October 31 had highest germination and growth rates compared with seeds harvested on earlier date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demonstrating optimum harvesting and sowing dates will be applicable to future seedling production for this tree species.
        12.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functional wild vegetable, is perennial herb and young leaves with soft texture are generally used as edible food. So the demand for the vegetable has increased recent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shading on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A. dioicus. Methods and Results :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temperature and shading treatments. Seed pre-treatment before the germin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the storage in low temperature (4℃) under wet condition (LTW) for 0, 15, 30, 45 and 60 days and shading treatment were 35%, 50%, and 75% under control, BA (6-benzyladenine) and GA3 (gibberellic acid) condition for 24 hours.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storage periods led to increases seed germination percent in low temperature (4℃) under wet condition (LTW), germination rate of A. dioicus seed was the highest at 15℃ with 60 days of seed pre-treatment. In the case of seeds pre-treatment with LTW, the more temperature went up, the more days to 50% of Germination of Final Germination Rate (T50) went down. As a result of surveying shading treatment, germination rate was the highest in control of 35% shading and the next higher was in control of 50% shading. Conclusions : It is concluded that the temperature and shading are important factors to produce A. dioicus. Also, We suggest these results as basic data of A. dioicus for sexual propagation.
        13.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ight controls and leaf mold on root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Atractylodes japonica growing in forest farming.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light controls (100%, 62.5%, 40.3% and 19.7% of full sunlight) and application of leaf mold to soil. Height, stem diameter, number of flower buds and root collar diameter were the highest in leaf mold within 62.5% of full sunlight (relative light intensity 62.5%). And these were the higher in leaf mold within each light level. As the shading level increased, light saturation point and maximum photosynthesis rate decreased. As the light level decreased, SPAD value increased in control and leaf mold.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whole experiment, A. japonica was judged worse root growth under the lower light level. It was concluded that the light level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produce A. japonica. Also, producing high-quality of A. japonica with the price competitiveness by using leaf mold like the experiment can be an effective way to increase incomes for farmers.
        14.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겨울철 도시경관의 향상과 생태적 건전성을 위해 조경용 상록활 엽수 종자 및 묘목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이다. 본 연구는 종가 시나무에 대하여 채종시기와 종자크기에 따른 종자발아 및 유묘생 장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경남 진주시에 위치한 남부산 림자원연구소(N35°09’58.62”, E128°06’23.42”, 67m)에 식재 된 종가시나무에서 2011년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30일 간격으 로 종자를 채집하여 종자크기에 따라서 3가지로 구분하고 종자특 성과 발아 및 유묘생장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종자의 수 분함량은 채종을 개시한 11월에서부터 이듬해 1월까지 점차 증가 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배의 피해가 증가하 며 특히 대립에서 더욱더 많은 피해가 나타냈다. 발아율은 채종경 과일수와 종자 내 배의 피해 유무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상관 을 나타냈고, 종자크기와는 뚜렷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12월 까지 채종된 종자는 높은 발아율을 보였지만 이후에는 점차 발아율 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발아속도, 발아지수, T50값도 11월과 12월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였다. 유묘생장은 채종경과일수와 상관 을 나타내지 않았고, 종자크기와 유의성 있는 상관을 나타냈다. 종 자크기가 클수록 총 건중량이 높게 나타냈으며, 11월부터 12월까 지 묘목품질지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건전 한 종자발아 및 유묘생장을 위해서 종가시나무의 채종시기는 12월 까지가 적합하며 상대적으로 큰 종자를 선별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 로 판단되었다.
        15.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arly growth and root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Atractylodes japonica container seedling. Experiment was performed by light intensity (100%, 60%, 25% and 10% of fullsunlight). Height was surveyed well under 25% of full sunlight (overall 11.013.0%). Root collar diameter was the highest inthe full sunlight (7.52㎜). It was the highest fresh weight (1.52g, 0.92g, 0.90g and 3.34g) under 25% of full sunlight, rootdry weight was getting higher in the higher light level and the highest in the full sunlight (0.13g). Total root length, rootproject area, root surface area and root volume were the highest under 25% of full sunlight (434.7㎝, 17.4㎠, 54.7㎠,0.55㎤, respectively) and the lowest under 10% of full sunlight.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whole experiment, A. japonica isjudged nicely by maintaining 25% of full sunlight, excepting 10% of full sunlight. And light levels during the early growthare overly important to improve early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