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21.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cer mono and A. okamotoanum were compared after beingextracted by low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LTHP) at 20 MPa and 60℃ for 15 minutes. Extraction yield of both A.mono and A. okamotoanum was increased about 40~43% by this extraction process. On scavenging activities, the bark of A.okamotoanum from this extraction proces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s about 97%. This value was higher than that fromconventional water extraction and A. mono extracts. Both of A. mono and A. okamotoanum showed high ability on nitritescavenging, but de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increasing of pH. On SOD-like test, A. okamotoanum had the highestactivity as 46.28% at 1.0㎎/㎖ concentration. A. okamotoanum extracted by LTHP also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s197.38% in adding 1.0㎎/㎖ concentration. Generally, the extracts from low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are higher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at from conventional water extraction. It can concludethat the bark of A. okamotoanum has bett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other parts of A. mo
        22.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tioxidant activities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activity according to parts of the Acer mono and A. okamotoanum. Most extracts showed high scavenging activities on DPPH. Especially, the bark of A. okamotoanum showed higher activity as 98.4% than the control, BHA as 96.5%. A. mono and A. okamotoanum showed high ability on nitrite scavenging, but de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decreasing of pH. On SOD-like test, the wood of A. okamotoanum showed highest activity as 35.4% at 1.0mg/ml concentration. Also, the extracts obtained high activity on GST test. Therefore, the water extracts from the bark of A. mono and A. okamotoanum have relatively good antioxidant activity and GST activity. Especially, the bark of A. okamotoanum showed the highest activity on all of extracts, could be the use of functional foods and biomaterials.
        23.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간 정상 폐세포인 HEL299을 이용한 세포 독성을 살펴본 결과, 각 추출물은 1.0 mg/ml의 농도에서 최고 19.5%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암활성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2가지의 암세포를 이용하였는데, AGS, A549, MCF-7, Hep3B에서 수피 추출물의 경우 1.0 mg/ml의 농도에서 55% 이상의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암세포의 생육활성에 대한 정상 세포의 세포독성 비로 나타낸 선택적 사멸도는 고농도에서는 모두 3이상으로 나타났다. B cell과 T cell을 이용한 면역세포의 생육 촉진 실험에서는, BT cell 은 배양 5일째 수피 추출물이 각각 7.5×104cells/ml, 8.2×104cells/ml로 가장 높은 세포농도를 나타냈다. 면역세포를 이용한 cytokine의 분비량 측정실험에서는 수피 추출물이 배양 시간에 따른 cytokine의 분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세포의 TNF-α의 분비량은 6일째 최고의 분비량을 나타내었고, 수피 추출물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7-8 배가량 정도 더 높은 분비량을 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IL-6의 경우 6일째 최고의 분비량을 나타내었고, 수피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우산고로쇠 수피 추출물을 첨가한 배지에 의한 NK cell의 면역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모든 추출물에서 배양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중 우산고로쇠 수피 추출물에서 B cell의 경우 18.0×104cells/ml, T cell의 경우 17.2×104cells/ml으로 가장 높은 생육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하여 고로쇠와 우산고로쇠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유용성분 분리와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보다 다각적으로 가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24.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발아율이 낮고 발아가 불균일할 뿐만 아니라 발아소요기간이 긴 고로쇠나무 종자의 발아율 및 발아속도를 향상시키고자 PEG를 이용한 priming 처리를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분퍼텐셜을 0, -0.25, -0.5, -1.0, -2.0MPa로 각각 조절한 PEG 용액에 3일 동안 침지시켜 priming 처리한 고로쇠나무 종자는 무처리구에 비해 priming 처리구에서 발아율, 평균발아일수, 발아속도 및 발아균일지수가 향상되었다. 특히, -2.0MPa 처리구에서는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priming 처리는 무처리구에 비해 휴면율이 낮게 나타나 휴면타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riming 처리가 종자발아 뿐만 아니라 유묘활력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priming 처리 후 발아된 종자로부터 생장한 유묘를 대상으로 상대생장율 및 T/R율을 조사한 결과 -2.0MPa 처리구의 유묘에서 상대생장율은 가장 높고 T/R율은 가장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2.0MPa의 수분퍼텐셜에서 3일 동안 priming 처리하는 것이 고로쇠나무 종자에 있어 가장 합리적인 종자처리 방법이라 할 수 있었다.
        25.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남지방의 고로쇠나무 수액에 대해 sucrose, 무기물, phenol화합물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ucrose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2차 채취시기에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2∼3%정도였다. 채취방법은 사구법이 천공법보다 높게 나타났다. 2. ToTal phenol화합물 역시 2차 채취시기에 높게 나타났으며, 0.034∼0.151 mg/100ml의 수준이었고, 가장 다량 함유된 phenol화합물은 phloroglucinol이었으며, 역시 사구법에서 천공법보다 높게 나타났다. 3.무기물의 경우 역시 2차 채취시기에 높게 나타났으며, 역시 사구법에서 천공법보다 높게 나타났다.
        26.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예로구터 그 수액이 건강보조식품으로 사용되어온 고로쇠나무의 줄기를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성분을 찾기위하여 실험에 착수하였으며, 그 MeOH추출물의 ETOAc분획을 대상으로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scopoletin, isoscopoletin, (-) -epicatechin등 3종의 화합물을 분리하고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중 scopoletin과 isoscopoletin은 BHA나 α-tocopherol보다 활성이 약하였으나 (RC50 : 120, 110 mug), (-)-epicatechin의 항산화활성 (RC50 : 7.5 mug)은 BHA나 α-tocopherol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