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4

        23.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기후변화와 더불어 국제 교역량, 여행객 및 외국 이주민 등의 증가로 인해 국내 농작물에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고위험 식물 병의 유입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Candidatus Liberibacter asiaticus’가 원인병원균인 감귤황룡병의 경우, 발생하게 되면 감귤과원에 큰 피해를 야기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국내 유입되지 않은 감귤황룡병과 매개충인 아시아감귤나무이(Asian citrus psyllid; ACP; Diaphotima citri)에 대한 예찰 조사를 남부지역에 집중된 유자 재배지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유자는 감귤황룡병의 기주가 될 수 있는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작물로 기후 특성상 우리 나라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주로 재배되고 있다. 예찰 조사는 전남과 경남에 속하는 각 3개 지역 중심으로 수행하였는데, 전남 권역은 고흥, 보성 및 광양 중심으로 그리고 경남 권역은 거제, 통영 및 남해 지역이며, 지역당 3개 지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ACP 포획을 위해 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조사를 병행하였다. 예찰 조사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에 걸쳐 수행하였고 2018년은 6월부터 10월까지, 2019년과 2020년은 4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예찰 조사 결과 감귤황룡병과 매개충 ACP는 국내에서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식물병을 조기에 탐지하기 위해 구축된 전국적인 모니터링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할 수 있었고, 국외 고위험 식물 병들의 예찰 조사를 위한 지역 거점을 확보하는데 기여하였다고 평가된다.
        4,000원
        2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research, Pb (II), Co (II), and Ni (II) toxic heavy metal ions adsorption from synthetic aqueous system have been studied using the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Citrus limetta leaves.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sorption parameters (solution pH, dosage of adsorbent, temperature, initial concentration of the ions, and adsorption time) and the removal percentage of the prepared adsorbent have been investigated. Additionally, the adsorbent was analyzed through BET, SEM, EDX, FTIR, and XRD analys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aximal adsorption efficiencies for heavy metal ions were achieved in pH = 6, the adsorbent dosage of 1 g/L, temperature = 25 °C, the ion initial concentration of 5 mg/L, and contact time of 60 min, which were 99.53%, 98.63%, and 97.54% for Pb, Co, and Ni ions, respectively. Based on Kinetic studies, the performance of pseudo-second-order kinetic model was better than pseudo-first-order model for the description of time-dependent behavior of the process. Additionally, the equilibrium data were fitted by Langmuir and Freundlich isotherms, while the former performed better than the latter.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values for Pb, Co, and Ni ions were achieved equal to 69.82, 60.60, 58.139 mg/g,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thermodynamic data, the studied processes were exothermic and spontaneous.
        4,900원
        27.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렌지는 우간다에서 식량 및 영양 공급과 농촌 일자리 창출에서 매우 중요한 작목이다. 그러나 최근에 우간다 오렌지 주산지 Teso지역 농업인들은 잎과 과일의 반점병뿐만 아니라, 관개시설의 절대적 부족과 기후변화에 의한 가뭄으로 생산량 감소와 폐농하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간다 오렌지 생산 농가들의 생산량과 소득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효과적인 반점병 및 토양수분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자 농가를 대상으로 실증을 실시하였다. 1. 오렌지 반점병 방제에 효과적인 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ridomil, carbendazim, 그리고 cooper 살균제들의 단제, 교호 및 혼합 살포한 결과 Carendazim 단제 사용으로 오렌지 반점 병을 방제하였을 때 농가 생산량과 소득은 각각 55.2% 및 74.8% 증가하여 오렌지 나무 대부분 생육단계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2. 오렌지 과수원 토양수분 관리는 외부에서 과수원으로 연결하는 빗물 유도로(trench)와 오렌지 나무 밑 수반형 빗물 저장시설(basin)을 설치한 다음 가축 배설물(manure)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농가소득이 약 2배나 증가하는 등 가장 효과가 좋았다. 3.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오렌지 주산지역 농가를 대상으로 시범마을 사업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4,000원
        28.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ative changes of the citron by identifying the type of solution and addition of the solution to prevent the browning reaction of the citron in a way that inhibits the browning of the citron. The browning inhibitor solution was investigated using the individual and mixture, and the results of the degree of browning and chromaticity showed that vitamin C+NaCl+cyclodextrin (CD) had the lowest browning of 0.52. In chromaticity, the ΔE values indicate that the higher the value, the greater the change in color, and the lowest value of the vitamin C+NaCl+CD mixture was 47.0, indicating that there was minimal browning compared to other treatment. The active change of the polyphenol oxidase (PPO) in the citron increased enzyme activity as the browning progressed, and the vitamin C+NaCl+CD solution was the lowest at 68.40 μ/g among the anti-browning solu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seems that the CD mixing solution can be used as a citron browning inhibitor.
        4,000원
        29.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감귤의 해충인 귤굴나방(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 의 포식 기생자 천적의 종류와 기생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13~2014 제주 감귤원에서 발견된 귤굴나방 포식 기생자 천적은 좀벌상과에 속한 총 7종을 발견되었다. 그 중 좀벌과에 속한 Sympiesis striatipes가 73%, Quadrastichus sp.가 22%로 우점하였다. 나머지 종은 Neochrysocharis sp., Ageniaspis sp., Pnigalio sp., Holcopelte sp., Trichomalopsis sp. (Pteromalidae) 등이었다. 천적의 평균 기생률은 관행방제 과원에서 10.7%, 무농약 과원에서는 32.2% 이었다.
        4,000원
        3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귤굴나방은 감귤의 잎을 가해하여 나무의 생산력을 떨어뜨리는 해충으로 특히 유목기 피해가 큰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초 잎의 위치에 따른 알의 분포 특성과 포장상태에서 유충의 생존률을 구명하였다. 감귤원에서 귤굴나방 알의 발생 양상은 신초의 발생시기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성충이 페로몬 트랩에 계속 유살되고 있음에도 신초의 성장이 중단된 경우에는 알 발생도 중단되었다. 감귤신초 잎에서 귤굴나방 알의 밀도는 끝에서 5번째 또는 6번째 잎에서 피크를 보였고, 전체적으로 첫 번째에서 8번째 잎 범위에서 90% 이상의 알이 발견되었다. 2015년과 2016년 유충이 번데기까지 생존한 평균 비율은 1.4%이었고, 성충 우화까지 생존한 비율은 0.2%로 대부분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감귤 신초 잎에 서 알의 분포 및 유충 생존율에 따른 귤굴나방 관리전략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4,000원
        3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감귤 주생산 지역인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감귤연구소는 감귤의 품종, 재배, 병해충, 수확 후 가공 이용, 유통에 관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 중 병해충연구실에서는 감귤 병해충 생태, 예찰 및 방제에 관해 연구하고 있으며 특히 해충 분야는 감귤 주요 및 돌발 해충의 예찰 및 방제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감귤 해충 개체군 모형, 발생 시기 예찰 모형, 적기 방제 결정 모형 등을 개발하고 적정 방제 약제 선발 등을 통해 적용하고 있다. 감귤은 병해충 방제에 많은 노동력이 투입되므로 노동력 절감을 위한 무인 병해충방제시스템 개발하였으며 이를 고도화하기 위해 반자율주행 고속농약살포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미소곤충이며 가장 주요 해충인 볼록총채벌레를 예찰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미지 분석 장치 및 페로몬을 이용한 스마트트랩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34.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루비깍지벌레 Ceroplastes rubens는 감귤에 피해를 주는 주요 깍지벌레 중 하나로 연 1회 발생하며 수액을 흡즙하는 직접적인 피해와 분비된 감로로 인한 그을음병 유발의 간접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제주지역에서 루비깍지벌레 천적으로는 루비붉은깡충좀벌 Anicetus beneficus와 애홍점박이무당벌레 Chilocorus kuwanae 2종이 확인되었다. 1975년 일본에서 도입 방사한 천적인 루비붉은깡충좀벌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었으며, 루비깍지벌레 발생 억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2018년 4월부터 12월까지 도내 유기재배 감귤원 (2개소)에서 황색끈끈이트랩을 이용 루비붉은깡충좀벌 성충의 시기별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월동세대 성충은 5월 중순, 제1세대와 제2세대 성충은 각각 7월 중순과 8월 하순에 발생 정점을 나타내었다. 조사 포장에서 루비깍지벌레의 기생률은 9월 중순에 9.6%와 19.6%이었다.
        3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thyl bromide (MB) has been still routinely used in quarantine fumigation on imported citrus, although there had been issuing chronic inhalation toxicity to fumigators and related workers as well as phytotoxic damages after fumigation. Ethyl formate (EF), is the only option to replace MB in terms of its safety for consumers (food additive and naturally occurred) and worker with higher threshold level limit (TLV = 100 ppm). Its application technology also provide cost effectiveness, good commercial practice in terms of application time (< 10 min) for 40 ft container. The replacement of MB with EF is recommended not to fumigate with hazardous and phasing-out MB on imported oranges.
        3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replace hazardous methyl bromide (MB) post-fumigation on imported fruits, due to insufficient ventilation process in industrial practice, alternative fumigation with liquid ethyl formate (EF) with N2 application, which is multi benefits to safe to workplace and environment, has been developed by APQA. Although EF was found to be shown proven efficacy to invasive external feeders such as mealybugs and scales on export and imported fruits and vegetables, there was still some conflicts to accept one of the phytosanitary disinfestation method somewhere because of on reliable and confirmative studies on between MB and EF in terms of efficacy to mealybugs on perishable commodities. In here, we evaluated comparative efficacy of EF and MB to target citrus mealybug, which was seems to be hard control pest, based on the current disinfestation guideline of them in Korea. The potential benefits of using liquid ethyl formate (EF) for future quarantine use could provide for safer workplace involved on and post-fumigation such as cold and packing storages, cost-effectiveness as well as meet the environmental friendly solution.
        3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citrus flatid planthopper, Metcalfa pruinosa is one of the invasive insect species in South Korea. M. pruinosa is a broad polyphage damaging over 200 plant species including ginseng,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preference. We selected six insecticides that showed high mortality in ginseng field such as emamectin benzoate EC, sulfoxaflor SG, etofenprox EW, cypermethrin EC, thiacloprid SC and pyrifluquinazon SG. In addition, a method to attract and kill M. pruinosa by treating pesticides on attractive plants (e.g., corn, perilla) with high preference was also tested. The control effect varied from 10 to 80%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forest and farmland. These methods can be used for the control of M. pruinosa in the ginseng farm when the PLS (Positive List System) is fully implemented in 2019.
        3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rails of the convergence ladybird negatively affected the brown citrus aphid population. On 3 days after treatment of ladybird trails, the population growth rate of the brown citrus aphid on treatment and control swingle flushes in the test tube were –0.1848 and –0.0385, respectively. In pot experim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pulation growth rates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swingle plants on 3 and 7 days after treatment of ladybird trails. But, on 10 days after treatment, each population growth rate was -0.0415 and 0.1125, respectively so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Thus, our result support the potential practical application of ladybird trails as an effective control agent for managing of herbivorous insect pests in citrus groves.
        4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주도 노지 감귤원에 발생하는 나방류 해충 4종; 귤굴나방(Phyllocnistis citrella), 차잎말이나방(Homona magnanima), 왕담배나방(Helicoverpa armigera), 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orana)에 대한 밀도를 2013~2017년 총 5년에 걸쳐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제주도의 경우 지역별 병해충 발생양상이 상이하여 5개 지역(동, 동남, 서, 서남, 북) 20개소의 감귤원을 선발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나방류 중 가장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진 귤굴나방의 경우 평균기온 이 상대적으로 높은 서남, 동남 지역에서의 발생량이 높아 시기별 발생 예찰을 통한 정확한 방제시기 결정이 필요하였으며 그 외 차잎말이나방, 왕담배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경우는 그 발생량이 미미하여 이를 위한 방제가 필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귤굴나방 다음으로 심각한 해충으로 알려진 네눈쑥가지나방(Ascotis selenara)의 경우 2016, 2017년 과실 피해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피해도는 높지 않으나 발생과원율이 37%, 61%로 높게 나타나 방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