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5

        21.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포장의 단면보수용 복합재료 8개(초속경시멘트계열 : RCC 3종, 폴리머시멘트계열 : PCC 2종, 폴리머계열 : PC 3종)에 대해 역학적인 특성 및 내구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역학적 특성으로서 응결시간, 압축강도, 휨강도, 탄성계수, 경화수축에 대해 실험하였고, 내구성으로서 동탄성계수 및 동결융해 후 부착강도, 흡수율, 내화학성, 자외선 노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탄성계수는 RCC〉PCC〉PC계열의 순으로 나타나서 폴리머가 사용되면서 연성의 특성을 보였다. 초기 재령에서의 폴리머 콘크리트의 경화수축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관찰되었지만 재령 28일에서는 다소 안정된 결과를 보였다. 상대동탄성계수, 흡수율, 10% CaCl2와 10% Na2SO4의 화학용액을 사용한 내화학성 실험결과 PC계열, PCC계열, RCC계열 순으로 저항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300회 동결융해 이후의 부착강도 실험결과 PC-2를 제외하고는 모두 1.3MPa 이상을 확보하였고, PC 및 PCC 제품의 부착강도가 RCC 제품보다 전체적인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편을 500시간동안 자외선 노출시험 결과 모든 패치재료 시편에서 균열 및 표면 결함 등이 발견되지 않아 PC 및 PCC 제품의 자외선에 대한 내구성이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4,000원
        23.
        200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vious researches for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concrete structure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oncrete using glycol ether admixture, and determined the optimal addition rate and evaluated durability of concrete. However, today’ s ready mixed concrete uses various industrial byproducts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oncrete, and the quality of concrete changes depending on the addition of glycol ether admixture and curing condition. Considering this, we ne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uring methods according to field condition. Thu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replacement with fly ash as a binder and curing conditions (temperature and humidity) on the performance of concrete, and obtained data from a mock-up test for the practical use of concrete containing glycol ether admix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rete showed resistance performance of around 30% to carbonation and around 40% to drying shrinkage. In addition, as for resistance to freezing and thawing, the relativ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was over around 85% through atmospheric curing. These performances prove the effect.
        4,000원
        25.
        200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rbonation in concrete structures has been handled as the most fundamental and critical factor related to the dur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As a result, there have been efforts to develop repair materials to control carbonation As one of these efforts, alkali recovery agents have been presented as materials for increasing the re-alkalization and durability of carbonated concrete structures. However, in applying them in the field,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concrete recovered after an alkali recovery agent is applied has not been fully assessed. Therefore, to examine the recovered performance of concrete structures resulting from the application of an alkali recovery agent,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depth of carbonation and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20 years or olde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analyzed the quality of concrete after applying an alkali recovery agent to the structures.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of alkali recovery agents in the field. In this experiment, alkali recovery agents of the lithium silicate line, which are most common in Korea, were applied and cured using concrete of the same size. The degree of recovery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ime in the initial curing stage, and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e maintenance performance of the alkali recovery agent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age of exposure to the open air. For these tasks, this experiment sampled concrete of different degrees of deterioration, applied alkali recovery agents to them, and observed re-alkalization and changes in the internal texture of the concrete.
        4,000원
        27.
        2004.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paired RC flexural members with ductile cementitious composite are numerically simulated to understand the improved performance in post-peak behavior. Also, stress distributions along steel reinforcements and crack width on the tensile surface are monitor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using ductile cementitious composite as a repair material. The results provide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repaired structures under flexural loading condition.
        4,000원
        29.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새로운 교면포장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LMC; Later Modified Concrete)는 부착강도 및 휨 강도가 우수하고 염분 및 수분침투에 방수효과가 있어 점차 활용이 증가될 전망이다. 또한,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RSLMC; Rapid-Setting Latex Modified Concrete)는 3시간에 실용강도를 발휘하여 긴급을 요하는 공사나 보수재료로서 적합하나, 염화물의 침투 및 동결융해로 인한 내구성능 저하 등의 문제가 검증되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SLMC의 내구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염소이온 투과실험 및 동결융해 저항성 실험을 수행하여 투수특성과 동결융해 저항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은 ASTM 규정과 KS 규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실험변수는 라텍스 혼입률 0, 5, 10, 15, 20%와 소포제 혼입률 0, 1.6, 3.2, 4.8, 6.4%로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RSLMC는 라텍스 혼입률 15%에서 소포제 혼입량에 상관없이 모두 100이하의 전하량을 나타내어 매우 낮은 투수특성을 보였다. 또한, 소포제의 혼입률 3.2% 이상인 경우 동결융해 300 싸이클까지 상대동탄성계수가 90% 이상을 유지하여 소포제의 사용이 동결융해 저항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0.
        200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새로운 교면포장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LMC; Later Modified Concrete)는 부착강도 및 휨 강도가 우수하고 염분 및 수분침투에 방수효과가 있어 점차 활용이 증가될 전망이다. 또한,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RSLMC; Rapid-Setting Latex Modified Concrete)는 3시간에 실용강도를 발휘하여 긴급을 요하는 공사나 보수재료로서 적합하나, 염화물의 침투 및 동결융해로 인한 내구성능 저하 등의 문제가 검증되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SLMC의 내구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염소이온 투과실험 및 동결융해 저항성 실험을 수행하여 투수특성과 동결융해 저항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은 ASTM 규정과 KS 규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실험변수는 라텍스 혼입률 0, 5, 10, 15, 20%와 소포제 혼입률 0, 1.6, 3.2, 4.8, 6.4%로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RSLMC는 라텍스 혼입률 15%에서 소포제 혼입량에 상관없이 모두 100이하의 전하량을 나타내어 매우 낮은 투수특성을 보였다. 또한, 소포제의 혼입률 3.2% 이상인 경우 동결융해 300 싸이클까지 상대동탄성계수가 90% 이상을 유지하여 소포제의 사용이 동결융해 저항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1.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혼합골재 종류 변화 및 CGS 치환율에 따른 콘크리트의 내구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CGS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AE공기량의 영향으로 내동해성은 저하, 조직치밀화의 영향으로 탄산화는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2.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분말도 슬래그를 사용할 경우 초기재령에서의 강도발현은 우수하나 수화열 및 품질관리에 따른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본 연구 에서는 3000급 저분말도의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강도특성 및 내구특성을 분석하였다. 작업성을 기준으로 3가지 배합을 고려하였으며, 압축강도와 내구특성시험이 수행되었다. 강도특성 결과 3000급 슬래그를 혼입한 콘크리트는 28일 재령에서 OPC(Ordinary Portland Cement) 배합 대비 강도가 떨어지지만 장기재령에서는 잠재수경성의 촉진으로 인하여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탄산화 및 동결융해 실험에서는 4200급 슬래그 배합 대비 약간 우수한 저항성능이 나타났는데, 이는 동일 슬럼프를 목표로 배합을 진행하여 3000급 슬래그 배합에 단위수량을 적게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장기재령의 경우, 3000급 슬래그 배합의 염화물확산계수는 OPC 배합 대비20% 수준으로 감소하여 우수한 내염해특성이 평가되었다. 단위수량을 조정하고 3000급 저분말도의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입하여 사용할 경우, 기존 분말도의 슬래그가 사용된 콘크리트 및 OPC 콘크리트와 비교시 우수한 작업성능과 내구특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3.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fter analyzing the evaluation details of the durability items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for a certain period, the problems were identified. The lack of competency and lack of institutional skills of participating engineers have been analyzed as the main factors, and the improvement of technical and institutional aspects is required.
        34.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는 장기간 사용환경에 노출되면서 다양한 표면열화과정을 거친다. 실리케이트 기반 함침제는 콘크리트 표면에 적용되어 불용성 수화물을 형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다양한 공학적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분산형 실리케이트를 사용하여 표면의 내구성능을 강화하고 이후 광촉매를 분무함으로서 표면 함침된 콘크리트의 자기정화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리케이트 함침 콘크리트에 대하여 압축강도 뿐 아니라, 흡수성, 건조 수축, 염소이온저항성, 황산저항성, 동결융해 저항성 등과 같은 내구성 실험이 수행되었다. 또한 아세트 알데이드 및 메틸렌블루 반응 평가를 통하여 독성카스의 제거와 자기정화성능을 평가하였다. 실리케이트 함침 후 광촉매 도포를 함으로서 광촉매의 부착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콘크리트의 내구성 개선과 광촉매 고유의 정화성능을 유지할 수 있었다.
        35.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prepare prediction method of the durability establishment for the effective maintenance of reinforced concrete substation structures.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d research trends about the foreign practices relating durability design.
        36.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소득 향상에 따른 레져 생활의 증가로 인해 해안가에 펜션, 리조트등 건축물을 많이 짓는 추세이다. 하지만 바닷가에 건물을 짓는다면 염분으로 인해 철근이 부식되어 건물의 내구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콘크리트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라텍스를 콘크리트에 혼입하게 되면 염분 및 수분의 침투에 대해 투수 저항성이 증가하고 수분증발 또는 흡수 등에 의한 건조수축 또는 팽창현상으로 인한 체적변화에 대해 안정성을 가지게 된다. 라텍스란 고무나무로부터 얻어지는 천연제품으로 반투명한 우유빛을 띠는 액체상태로서 콜로이드 같은 작은 구형의 유기체 폴리머입자가 물 속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라텍스는 48%의 폴리머와 52%의 물로 구성된 Styrene-Butadiene계열이다. 라텍스는 유연성을 지니고 있고,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을 충진시켜주며 골재 주위에 필름막을 형성하지만 압축에 의한 파괴가 골재주위의 필름막에서 이루어져 라텍스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미세 강섬유를 보강 하면 콘크리트 내부에 국부적인 인장응력을 발생시켜 입자의 분산을 막아주기 때문에 압축강도가 개선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닷가, 해안가에 사용이 가능하고 보통강도를 발현할 수 있는 콘크리트를 개발하고자 한다.
        37.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 세계 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노력으로 시멘트 산업에서는 비소성 결합재인 석회석을 시멘트에 첨가하여 콘크리트 를 제조하고 있다. 특히, 유럽에서는 석회석을 시멘트의 35%까지 치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2013년에 KS L 5201을 개정하여 석 회석을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5%까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아직 석회석 혼합 시멘트에 대한 규격은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 구에서는 비소성 결합재인 석회석을 활용하여, 석회석 혼입량에 따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및 내구특성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38.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salt attack durability of the concrete structure which has experienced the fire. Mechanical properties and chloride ion diffusivity of concrete specimens were measured after 2 hours heating at 200℃, 400℃, 600℃, 800℃. FEM analysis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life expectancy of RC structure using the property values by a series of experiment.
        39.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case of marine 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damaged by the various environment effect(sea damage, freeze-thaw, carbonation), and t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going bad in the saf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periodic measurements and tests on the durability test site constructed at sea and to provide basic guidelines for future maintenance based on the analyzed data.
        40.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salt attack durability of the concrete structure which has experienced the fire. Mechanical properties and chloride ion diffusivity of concrete specimens were measured after 2 hours heating at 200℃, 400℃, 600℃, 800℃. FEM analysis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life expectancy of RC structure using the property values by a series of experiment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