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2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recipe prediction of colorant proportion showing nonlinear behavior, we modeled the effects of colorant proportion of basic colors on the target colors and predicted colorant proportion necessary for making target colors. First, colorant proportion of basic colors and color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instrument was applied by a linear model and a multi-layer perceptrons model with back-propagation learning method. However, satisfactory results were not obtained because of nonlinear property of colors. Thus, in this study the neuro-fuzzy model with merit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fuzzy systems was presented. The proposed model was trained with test data and colorant proportion was predic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odel was verified by evaluation of color difference(δE).
        4,000원
        22.
        200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orange sauce samples prepared with different sugar contents in order to create a standardized recipe.In the foodservice industry, attempts have been made to make superior sauces, often resulting in error. In this study, different sugar contents were examined for orange sauce to determine why varied results occur during its preparation as well as the best methodology for preparing orange sauce.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color differences, spreadability, and pH were analyzed, as well as sensory evaluations of taste, texture, col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pH values of the orange sauce samples ranged from 3.6 to 3.63 and after the initial simmering of ingredients, the weight reduction rates of the sauces were 88, 75, 64, 63, and 64% for sugar contents of 200, 300, 400, 500, and 600 g respectively. Hunter’s color L, a, and b values of the samples changed according to the sugar contents after simmering (1st sauce). The L and b values showed similar patterns, where increasing sugar content resulted in higher values; however, in the 2nd sauce, the pattern was reversed. This indicates that the color of the sauce was affected by sugar caramelization during the reduction process; however, the final color was modified by the additions of mayonnaise and butter as well as by aeration.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sample containing 30% sugar (500 g) had significantly higher acceptability scores (p<0.05) for color, mouth feel, appearance,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Finally, the optimal ingredient ratios of the standardized orange sauce recipe were determine as: 48% total liquid consisting of orange juice and mandarin and orange fruit; 30% sugar; 10% mayonnaise and 11% butter.
        4,000원
        23.
        200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tandardized recipe and to analyze the nutrients of stir-fried whip-arm octopus as one of the kind of traditional local foods in Busan. The standardized recipe was developed by using cookbooks, home recipes, and the recipes by commercial food restaurants. The nutrient was analyzed by using an AOAC method. Sensory evaluations were made on nine sensory attributes by a 12-member panel. As the results, the whip-arm octopus was recorded as a food source for health, rejuvenation in Jasanobo. Since early 1900, the stir-fried method has been used for cooking with the ship-arm octopus. The main ingredients were whip-arm octopus, onion, large green onion as the local stir-fried whip-arm octopus in Busan. The ingredients of soup were shrimp, little neck clam, and water. Seasoning sauce was mixed with red pepper powder, soy sauce, sesame oil, chopped garlic, chopped onion, and sugar. The seasoning sauce was fermented for three days. The results of sensory scores were salty seasoning 3.66/5.00, taste 3.75/5.00, thickness 3.84/5.00, and smell 4.09. Nutrient retention per 100g of the stir-fried whip-arm octopus was 67.54kcal, protein 6.43g, fat 1.66g, Ca 28.06mg, Fe 2.56mg, cholesterol 68mg, and taurin 51mg. Fatty acid consists of various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linoleic acid(46.24%) and oleic acid(33.67%).
        4,000원
        24.
        200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research was designed to collect recipe of set up a standard recipe and analyze the nutrients of broiled black goat meat (a kind of native local foods in Busan and south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cipe for goat(lamb) meat was recorded in Sanlimkyounggae and Jungbosanlimkyounggae between 1715 and 1827. The goat meat was explained as food for health, rejuvenation and recuperation Since late 1800, it has been utilized for such use. The flavor of broiled black goat meat is influenced by seasonings, fruit juice, heating treatment and cooker. And it also could be affected by the method of slaughter and the sex of the goat. There are lot of element in seasoning. Red pepper paste, garlic and ginger holdback the bad smell and make the taste better. Onion help to retain the water and improve the flavor. Starch syrup, sugar and sesame oil make the meat smoother, glossier and more tasty. The meat is usually roasted on grill over charcoal. It helps to remove or suppress the bad smell and make the taste better. Softness and scent of the meat depend largely on the way to butcher. Female goat meat tastes smoother and smells better. Fruit juice also improve the softness of the meat. Energy per 100g of the 'broiled black goat meat' is 170kcal. There are protein (23g), fat(2.4g), Ca(159mg), Fe(1.1mg) and so on. Amino acid is mainly comprised of essential amino acid such as cystine, lysine, leucine, and arginine. Fatty acid consists primarily of unsaturated fatty acid like oleic acid, linoleic acid.
        4,000원
        25.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rmeability is not a function of porosity alone, it depends on the porosity, pore size and distribution, and tortuosity of pore channels in concrete. There has been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structure and transport in cementitious materials, however, it is very rare to deal with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gas permeability coefficient of concrete. In this study, Yoon’s test was introduced. As the experiment result of gas permeability for carbonated concrete, gas permeability coefficient was successfully obtained and this was obvious for concrete with high w/c ratio
        26.
        2014.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햇순나물의 이용성 증진 및 소비 촉진을 위하여 햇순나물을 이용하여 4종의 햇순요리를 개발하고 이들의 관능적 특성 및 영양성을 평가하였다. 햇순요리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4종의 햇순요리의 전반적인 기호도가 3.0 이상으로 만족 수준이었으며, 그 중 '엄나무순닭고기냉채'의 기호도는 5점 만점에 4.48점으로 가장 높은 기호를 보였다. 엄나무 순을 이용한 '엄나무순닭고기냉채'는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E, 비타민 B6, 엽산의 함량이 권장량보다 높았으며, 비타민 C 및 아연의 함량은 권장량보다 낮았으나 권장량의 50% 이상은 충족하였다. 두릅의 새순을 이용한 '두릅곶감무침'은 곶감과 함께 무쳐 두릅의 쓴맛과 떫은맛을 약화시켰으며, 비타민 E, 비타민 C, 비타민 B6, 엽산 및 철의 함량이 권장량보다 약 1.2~1.7배 정도 높았다. 오가피 순을 이용한 '오가피순꽁치조림'은 무와 오가피순을 첨가하여 조리함으로써 꽁치의 비린내를 줄여 기호도를 높였다. '오가피순꽁치조림'은 단백질 함량이 권장량의 1.5배, 비타민 A, E, C 등 각종 비타민의 함량이 권장량의 1.4~3.6배 함유되어 있었다. 참죽순을 이용한 '참죽만두'는 고기를 넣지 않고 두부와 각종 채소를 넣어 만들었으며, 비타민 및 무기질이 풍부하고 다양한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었다. '참죽만두'는 햇순나물 요리 중 가장 열량이 높았으며, 비타민 A, 비타민 E, 비타민 C, 티아민, 인과 철의 함량이 권장량보다 높았다.
        27.
        200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둥굴레를 균일하게 열처리하여 탄내를 없애고 둥굴레차의 소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둥굴레차의 관능적 특성을 최적화 하였다. 둥굴레의 전처리 조건으로서 둥굴레의 세절두께는 2mm가 가장 적당하였다. 둥굴레 과립차의 향에 대한 최적 관능조건은 전체 농축액에 대한 둥굴레 농축액의 비율 82.17%, 전체 농축액 함량 13.16% 및 총당에 대한 포도당의 비율 39.17%에서 그 관능점수가 6.48로서 가장 높았으며,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평점은 전체
        28.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음료의 제조조건에 따른 늙은 호박의 품질 특성을 모니터링하고 음료 배합비를 설정하였다. 제조조건에 따른 음료의 색상, 향, 맛, 조직감과 전반적인 기호도를 회귀분석한 결과, 는 각각 0.7682, 0.9046, 0.9364, 0.9110, 0.8765이었고 pH, brix 그리고 점도에 대한 는 0.9264, 0.7135, 0.9906으로 나타났으며 색상과 brix를 제외한 다른 품질에서는 5~10%이내의 수준에서 유의성
        29.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산녹차에 있어서 보건적 효능과 관련된 특수성분의 유엽시기 및 제다법에 따른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용성 펙틴은 후기유엽기에 점차적으로 증가를 보였으며 평균함량은 봉산리 녹차가 2.05% 부춘리 녹차가 1.84%이었다. 생엽에 대한 제다엽의 변화는 증다법 22.8%, 부초법 17.9% 증가하였다. 총엽록소는 후기유엽기로 갈수록 증가하여 1번 유엽기에서 5번 유엽기까지 봉산리는 233mg%에서 334mg%로, 부춘리는 198mg%에서 4번유엽기 까지 331mg%로 증가하였으나 5번 유엽기에 다소 감소를 보였다. 평균함량은 봉산리 평균 293mg%, 부춘리 평균 275mg%이었으며, 엽록소 a : 엽록소 b는 봉산리 평균 70.0:30.0, 부춘리 평균 67.3:32.7이었고 제다법에 따라 엽록소 a와 엽록소 b의 감소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봉산리 2,156mg%, 부춘리 평균 1,723mg%로 갈수록 큰 폭으로 감소를 보였다. 카페인은 후기유엽기에서 다소 적은 함량을 보였으나 부춘리는 3번 유엽기에 2.86%까지 증가를 보이다 감소하였다. 평균 카페인함량은 봉산리가 2.033%, 부춘리가 2.620%이었다. 카테친류는 후기유엽기로 갈수록 증가를 보였으나 봉산리의 경우 4번 유엽기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평균 카테친함량은 봉산리가 11.52%, 부춘리가 14.05%이었으며 유리형의 카테친은 봉산리 평균 35.59%, 부춘리 평균 42.73%, easter형 카테친은 봉산리 평균 58.09%, 부춘리 평균 44.47%이었다. 카테친류 및 카페인의 식용시 용출량은 침출온도가 65℃ 에서 85℃ 로 높을수록, 침출시간이 3분에서 9분으로 길수록 증가하였으며, 85℃ , 9분 침출시 카테친류는 89.3%, 카페인은 97.3%가 용출되었다.상대적인 비율에 의해 크게 영향을 미쳤다. 엽록소와 가용성 단백질은 혼합처리구에서 전질소는 NH4 +-N 처리구에서 높았고, 특히 NH4 +-N 질소를 시비하였을 때는 질소함량이 증가하였다. 질산함량이 증가하였다. 질산함량은 NO3 -N 처리구에서 암모니아함량은 NH4 +-N 처리구에서 높았고, 산소 활성은 혼합처리구에서 nitrate reductase와 glutamine synthetase 활성이 높았다. therefore they are the same as Tang's. In the same way, Parhae's costumes are the same as Tang's, too. The point is, it is expected that the costumes of Parhae which were exchanged with ancient Japan are similar to those of Nara by the medium of Tang's costumes. the product category could be set up the population clearly.의 무게와 부피는 24주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냉동저장 감자의 무게와 부피 변화는 48주간 전혀 없었다. 상온 냉장저장 감자의 조직의 강도(hardness)는 24주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냉동저장 감자는 48주간 hardness의 변화가 전혀 없었다. Frozen mashed 감자는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응집력(cohesiveness)이 조금씩 떨어졌으나 다른 시료들은 전혀 변화가 없었다. 모든 시료의 저장기간 동안 색깔 변화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감자의 미생물학적,
        30.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산 녹차의 채엽시기 및 제차법에 따라 회분, 조지방 및 무기성분 등 일반성분의 변화를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채엽기의 신엽의 엽면적은 다엽(평균 7.23cm2 )이 봉산리 다엽(평균 6.93cm2 )보다 컸으며 엽면적의 변화폭은 2번 채엽기와 3번 채엽기 사이에 봉산리, 부춘리 각각 2.74cm2 에서 7.98cm2 , 3.10cm2 에서 8.23cm2 로 가장 컸다. 건물량은 봉산리 평균 26.3%, 부춘리 평균 26.6%이었으며 채엽기에 따라 일정한 경향은 증감을 보이지 않았다. 녹차의 일반성분 중 수분 및 회분 함량은 봉산리 평균 5.6, 6.1%, 부춘리 평균 6.2, 5.8%이었다. 총당함량 및 조지방은 봉산리 평균 4.6, 2.8%, 부춘리 평균 2.8, 2.2%이었으며 후기채엽기에 다소 높은 양을 보였다. 총질소량 및 수용성 단백질은 봉산리 평균 5.1, 1.08%, 부춘리 평균 5.7, 1.02%이었으며 총질소량은 후기채엽기에 감소하였다. 가용성 고형분은 봉산리 평균 33.1%, 부춘리 평균 35.2%이었으며 봉산리의 경우 후기채엽기에 감소를 보였다. 무기성분은 봉산리 평균 2.557%, 부춘리 평균 2.338%, 비타민 C, 비타민 E 및 비타민 A 함량은 각각 봉산리 평균 413, 71.8mg%, 32.15IU, 부춘리 평균 311, 52.3mg%, 25.68IU이었으며 채엽기에 따라 비타민 C와 비타민 E는 후기채엽기에 증가를 보였다. 재차시 증차법 및 부초법 처리에 의한 다엽의 일반성분의 변화는 가용성 고형분함량은 증차법 평균 0.111%, 부초법 평균 0.086% 증가하였으며 조지방은 증차법 평균 0.125%, 부초법 평균 0.241% 감소하였고, 총질소는 증차법 평균 0.019%, 부초법 평균 0.036%, 수용성 단백질은 증차법 평균 0.125%, 부초법 평균 0.078% 증가를 보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