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26.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the partitioning of newly absorbed N derived from NO3 - and NH4 + , 6 mM K15 NO3 or 3 mM (15 NH4 )2 was fed continuously in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rum L.) for 7 days. Nitrogen metabolites (nitrate, amino acid, soluble- and insoluble protein) were analyzed at the end of 15 N feeding. Dry weight in shoot, stubble and roo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NO3 [-10] and NH4 + feeding. Total nitrogen content in all three organ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H4 + than NO3 [-10] feeding. Sum on N content in reduced N fractions (amino acids + proteins) in shoot, stubble and roots in NH4 + feeding increased by 13.3, 12.5 and 35.4 %, respectively, compared to NO3 [-10] feeding. The Relative Specific Activity (RSA, percentage of newly absorbed 15 N relative to total N in a sample) values of amino acids and insoluble protei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H4 + feeding. Total amount of newly absorbed 15 N in NO3 [-10] and NO3 [-10] feeding was 52.3 and 69.5 mg/plant on dry matter basis, respectively. In both NH4 + and NO3 [-10] grown plants, most of the N was allocated to the shoot, 67.5% in NH4 + feeding and 58.8% NO3 [-10] feeding, respectively. The 15 N amount incorporated in the reduced N compounds (amino acids and proteins) in NH4 + grown plants significantly increased by 74.8% compared to NO3 [-10] grown plants. The increase of the 15 N amount assimilated to amino acids in NH4 + grown plants was remarkably higher in roots as more than 7.25 times compared to NO3 [-10] feeding.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talian ryegrass was much efficiently utilized NH4 + -N for the synthesis of reduced N compounds.reduced N compounds.
        27.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assess changes in yield difference between waxy (IWR) and non-waxy (INWR) near isogenic rice by evaluating the translocation and accumulation of assimilates in different parts of the rice plants after heading stage under different fertilizer application. Nitrogen content of culm in both IWR and INWR decreased rapidly from 35 days before heading to flowering time and after then it was maintained constantly, while the nitrogen content of leaf blade was continually reduced. Sugar content of leaf blade in IWR decreased steadly by 10 days after heading, but that in INWR increased 20 days after heading.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arch content of culum between IWR and INWR from 35days before heading to heading, but that of culm of IWR increased again after heading. Dry weight of IWR plant was less reduced during ripening as compared with INWR. The dry weight of culm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isogenic lines.
        28.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amlet (PI549276) possessing 2RL was obtained by cross between a wheat cultivar ND7532 (Froid/Centurk) and a rye cultivar Chaupon. Chaupon was known to have resistant gene to biotype L of Hessian fly [Mayetiola destructor (Say)] larvae. The wheat-rye translocation line (Coker797*4/Hamlet) was also known to be resistant to biotype L of Hessian fly larvae. We analysed a set of 96 ESTs from the wheat-rye translocation line (2BS/2RL). ESTs were classified by various physiological processings, such as primary metabolism, secondary metabolism, transcription, translation, transport, signal transduction, defense, transposable element, and others. Three sequences encoding thioredoxin peroxidase, 26S rRNA, and rubisco small subunits were homologous to registered genes in rye. Although limited number of clones were used to develop ESTs, these clones and their sequence information may be useful for researchers studying general physiology and molecular biology on the translocation line.
        29.
        199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ptake, assimilation and translocation of nitrogen and dry matter assimilation and translocation in ten rice cultivars were observed in no-till direct-sown rice-vetch cropping system. There was a large degree of variation in N-uptake, grain yield, nitrogen translocation efficiency and dry matter assimilation and translocation in tested rice cultivars. Forty kg N/ha base, as compound fertilizer (21-17-21% of N-P-K) three weeks after sowing and 30 kg N/ha top-dressed at panicle initiation stage as in the form of (NH4 )2 CO2 was applied. ‘Newbounet’, ‘Daesanbyeo’, and ‘Hwayeongbyeo’ showed higher translocation efficiency. The contribution of pre-heading dry matter assimilates to grain ranged from 33% to 99% of dry grain weight. Dry matter of ‘Calrose 76’ was lower than Newbounet but N content was higher in Calrose 76 than Newbonnet. By maturity, N content in vegetative parts declined considerably more than dry matter, vegetative and reproductive parts, N translocation efficiency, and N harvest index. Nitrogen translocation efficiency was greater in ‘Nonganbyeo’, Daesanbyeo, and Newbounet. Grain N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 concentration or N content of the vegetative parts at heading in Nonganbyeo, ‘Dasanbyeo’, ‘Dongjinbyeo’, and Newbonne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reater amount of dry matter and N accumulated before heading stage, the higher translocation rates of dry matter to grain and the greater net losses at maturity.
        30.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ed storage proteins have been used for studying biochemical genetics and end-use quality aspects. We conducte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one-dimensional SDS-PAGE (1D SDS-PAGE) to evaluate different cereal crop species and Korean wheat lines for rye secalin proteins. The antisecalin antibody showed consistent specificity for rye secalin with little cross-reactivity to gliadins. Immunological cross-reactivities measured by the ELISA technique using competition assa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f absorbance among rye, triticale, wheat-rye translocated wheat and non-translocated wheat. The absorbance values were lowest in rye followed by triticale, translocated wheat and non-translocated wheat. The ELISA for discrimination of wheat-rye translocation on the basis of antigen-antibody reactivity showed that none of the Korean wheat lines possessed 1RS and secalin proteins. The competitive ELISA experiment demonstrated specific determination for secalin that was originated from rye chromosomal parts. The result of 1D SDS-PAGE for identifying rye secalin subunits showed all three rye specific secalin protein subunits (75 KDa, 45 KDa, and 40 KDa) for rye and triticale, and 1RS specific secalins (45 KDa and 40 KDa) for 1AL/1RS and 1BL/1RS translocated wheats. All Korean wheats were lacking 1RS of rye chromosome and secalin
        31.
        199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생식생장기인 착협시(R3)에 상부40%와 하부 60%로 구분하여 엽제거와 협제거처리에 의한 엽과 종실의 건물중, 가용성 당, 전분, 단백질 및 기름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덕소농장에 황금콩을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엽하협제거처리의 하부 엽 건물중이 가장 높았고 상부 종실 건물중은 가장 낮았다. 2. 가용성 당합량은 처리간 엽과 종실에서 차이가 없었다. 3. 전분함량은 상엽하협제거의 하부 여에서 가장 높았다. 4. 단백질함량은 하부 엽이 상부 엽보다 높았는데 종실에서는 하엽상협제거의 하부에서 가장 낮았다. 5. 기름합량은 하엽상협제거의 상부 엽과 하부 종실에서 가장 높았다. 6. 콩 생식생장기의 장거리 전류에 있어서 동화물질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루어지며, 단백질원은 하부에서 상부로 일어나지만 엽에서의 재이동은 약했다.
        32.
        199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eenhouse po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lime, fly ash and ash(from rice straw) on the cadmium and lead translocation from soil to radish. The soils with low metal contents(Cd 1.52 ppm and Pb 25.37ppm) were prepared and high metal contents (Cd 8.99 ppm and Pb 50.81ppm) were prepared and amended with 0.25%, 0.5%, 1.0%, 2.0% each of lime, fly ash and ash. Radishes(Raphanus sativus) were cultivated and cropped on the soils during 25, 50 and 75 days after sprout, and then cadmium and lead contents of radishes were analyzed by roots and top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Lime and ash were effective in raising the soil pH, but fly ash was not effective. 2. The growth of radishes were not impaired by the cadmium and lead contamination but, impaired by soil pH 7.5 or more. 3. Cadmium was accumulated very strongly in radishes and the greater concentration was found in than roots, but lead showed no evidence of accumulation in radishes. 4. In general, when the concentrations of lime and ash in soils increased, the uptake of cadmium and lead by radishes decreased, and lime was more effective than ash, while fly ash revealed no effect of reducing the translocation of cadmium and lead from soils to radishes. 5. The uptake of cadmium by radishes decreased more effectively than lead and the uptake of Cd or Ph by radishes grown in the soils with high metal contents decreased more effectively than low metal con tents. 6. Cadmium and lead contents of radish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il pH values and the relationship in cadmium content was stronger than that in lead content.
        33.
        199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출수후 등숙기간 동안에 엽신의 노화속도와 동화산물의 전류특성과의 관계를 구명하며 등숙향상 및 단기등숙 품종육성을 위한 선발지표를 제공코자 엽신의 노화정도가 다른 올보리외 29품종 및 계통을 공시하여 엽신 노화율, 등숙율 및 상호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던 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신의 노화속도 및 입충전속도(등숙율)는 계통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2. 등숙초ㆍ중기(출수후 10-20일) 및 등숙중ㆍ후기(출수후 20-30일)의 엽신 노화율과 해당 각 시기의 등숙율과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등숙초ㆍ중기의 엽신 노화율과 등숙전기간(출수후 10-35일)의 등숙율과는 부의 상관이 등숙중ㆍ후기의 엽신 노화율과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입중과 등숙중ㆍ후기 및 등숙전기간의 등숙율과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등숙초ㆍ중기의 등숙율 및 등숙일수와는 상관이 없었다. 5. 노화지수의 감소 양상은 계통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종실수량 및 등숙율면에서 가장 이상적인 유형은 IV형이었다 6. 본 시험결과 단기등숙형 대맥 품종으로 가장 이상적인 형은 등숙초ㆍ중기에는 노화지수가 높으면서도 노화속도가 느리나 등숙중ㆍ후기에는 노화속도가 빠른 품종임이 구명되었다.
        34.
        199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대맥 등숙기간중 급속한 온도상승과 고온건조 및 과습 등 불량환경으로 맥체가 급격히 노화되어 충분히 등숙되지 않은 상태에서 성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대맥은 품질이 불량할 뿐만 아니라 수량성도 외국에 비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등숙기의 엽신노화와 동화산물의 전류특성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등숙향상을 위한 품종 육성 선발의 기초 자료로 이용코자 실시하였던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등숙일수 경과에 따른 엽신의 생엽수 및 노화속도는 품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2. 입출전 및 동화물질의 전류속도는 엽신의 노화가 빠른 품종군이 늦은 품종군에 비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3. 엽위 및 기관별로 14 C 물질의 전류 양상을 본 결과, 등숙초기에는 노화가 빠른 품종군은 산위엽(지엽, 2엽)과 하위엽 ( 3, 4, 5엽)에 흡수된 14 C의 량이 이삭으로 전류되는 비율이 비슷하였으나 등숙이 진전되면서 상위엽에 흡수된 14 C은 전류가 급격히 이루어지나 하위엽은 반대의 경향이고, 노화가 늦은 품종군은 등숙초기에는 하위엽의 전류속도가 월등히 높고 하위엽은 낮으나 등숙이 진전되면서 반대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4. 경엽에 흡수된 14 C이 종실로 정류되는 양상과 입충전속도가 엽신의 노화속도 조만 품종군별로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5. 광합성 속도는 등숙중기까지는 엽신노화가 빠른 품종이 높았으나 중기후는 낮았다. 6. 종실수량은 엽신의 노화속도가 빠른 품종군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35.
        198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체내 무기양분이 등숙진전에 따라 이행 집적되는 정도와 주이동부위에 대한 검토를 위하여 생태형과 숙기가 상이한 4품종을 재배하여 출수기부터 1주간격으로 9회에 걸쳐 시료를 탐취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산은 등숙진전에 따라 현미내 함유율이 증가되고 경엽에서는 감소하여 인산의 재이동을 인정할수가 있고 이동정도는 절간에서 가장 많고 다음이 엽초, 엽신의 순이었으며 이삭에서 가까운 상위의 절간, 엽초, 엽신에서의 이동이 하위에서 보다 컸다. 생태형간에 차가 있고 통일형에서 이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가리는 엽신과 엽초에서는 등숙진전에 따른 변동이 없는 반면 절간에서는 현저히 증가되었고 특히상위절간에 집적이 많았다. 현미에서는 성숙기민 6주까지 함유율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다가 7주부터 다시 증가하여 절간과 반대경향을 보였으나 기간중 현미중의 증가를 고찰하면 단위미립내의 가리함양의 변동은 미미하여 절간의 가리축적이 현미에서 재이동된 것으로 볼 수는 없었다. 도체내 부위별 가리함양은 품종의 생태형보다 숙기에 따른 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고토는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해미내 함유율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고 경엽에서는 호숙기까지 증가되나 이후 성숙기까지 감소경향을 보여 인산만은 못해도 곡실로의 이동을 인정할 수가 있었고 이동상태는 부위나 숙기, 생태형에 따른 경향은 인정하기 어려웠고 품종간에는 차가 있었다. 4. 규산은 현미에서 미량이 검출될 뿐이나 왕겨에서는 등숙진전에 따라 계계 단가되고 경엽에서도 증가되나 엽신>엽초>절간의 순으로 축적되어 재이동은 생각할 수가 없었고 품종의 생태형간의 는 발견할 수가 없었으나 숙기간에는 차가 있어 조생종보다 중생종인 상풍벼와 금강벼의 경엽에 함유율이 높았다. 5. 석회는 곡실로의 이동이나 축적은 없었고 엽초와 절간에서도 변동이 없었으나 엽신에서는 등숙진전에 따라 축적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다수계 품종민 태백벼와 금강벼에서 축적정도가 컸다. 엽위별로는 지금이 많고 차엽이 낮았다.
        38.
        197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맥품종 Pennfield의 등숙기동안 이삭의 14 C-sucrose 침지, 14 CO2 의 지엽 또는 이삭 조사로서 동화물질의 source를 달리하였을 때 grain sink의 기능을 종실성숙의 정도, 소수의 수, 종실의 위치를 비교하여 검토하고, 절엽 및 제영처리를 하여 source와 sink간의 균형을 변화시켰을 때 종실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절취된 이삭의 하부에 14 C-sucrose를 침지하였을 때 종실로 14 C물질의 전류는 개화후 15일까지 직선적으로 상승하고 18일까지 급격히 하락하여 종실중의 증가보다 빨리 시작하고 먼저 끝나는 경향을 보였다. 하위절위 종실이 상위절위보다 14 C의 전류가 높았는데 이는 등숙의 진행이 늦은 때문이었으며 일차영화는 이차영화보다 높은 sink의 기능을 보였다. 2. 식물체에14CO2 를 조사하였을 경우 이삭조사가 지엽조사보다 전류률이나 종실당 specific activity에서 3배 이상 높게 나타나 이삭이 종실의 등숙에 보다 효과적인 source임을 보여주었다. 종실당 specific activi쇼는 sink인 소수의 수의 영향보다 source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달라졌으며 source의 activity가 큰 순서인 이삭의14 C-sucrose 침지 > 이삭의 14 CO2 조사 > 지엽의 14 CO2 조사 순으로 나타났다. 3. 절엽 및 제영처리로서 source/sink ratio를 변화시켰을 때 source/sink ratio가 감소함에 따라 종실중이 감소하였으며 엽면적과 소수의 수를 동시에 반감하였을 때 정상식물의 종실중과 차이가 없었다. 모든 잎을 제거하였을 때도 종실중에서 16% 감소에 불과하여 이삭의 동화작용이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