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8

        21.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용 풋찰옥수수 고품질 육종에 관련된 주요 형질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한 본 연구는 모계 02S6140(찰옥수수, SSww)와 부계 KSS22(단옥수수, ssWW)의 교잡(F1)에서 분리된 F2 집단에서 수량 및 식미관련 형질들의 유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출사일수는 모본(02S6140) 계통이 85일, 부본(KSS22) 계통이 66일로 현저한 차이가 있었지만, F1은 71일로 교배친의 평균값 75.5일보다 작아지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간장(PH)은 F1에서 159 cm, 모부의 평균값 95 cm와 비교하여 크게 나타났다. 착수고율은 F2 집단의 평균이 교배친의 평균값 44와 동일하였고 찰질이 일반질 옥수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피두께는 F1, F2 계통들에서 71 μm과 74 μm로 나타나 모부의 83.5 μm 평균보다 얇아지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아밀로스함량은 입질별로 매우 유의하게 차이가 있어 일반질이 평균 14.0%로 가장 높았으며 당질은 7.4%, 찰질은 5.0%의 값을 보였으며, 아밀로스함량에 대한 F1의 잡종강세는 비교적 높은 116.1의 값을 보였다. 유전자형 suwx는 이중열성돌연변이로 표현형은 sugary로 나타났다.
        22.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검정찰옥수수 교잡계와 그의 자식계통들에 대해 수분 후 일수가 늘어남에 따라 옥수수 알맹이의 총안토시아닌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변화 양상을 구명하고 육종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2009년 31개의 검정찰옥수수 자식계통의 총안토시아닌 함량은 평균 52.3 mg/100 g 이었고 KBW39가 173.3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KBW1 등 4개 계통의 총안토시아닌 함량은 150 mg/100 g 이상이었다.2010년 33개의 검정찰옥수수 교잡계의 총안토시아닌 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고 항산화 활성 역시 안토시아닌 축적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상관분석 결과 0.64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2011년 자식계통과 그의 교잡계의 총안토시아닌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변화는 2009년과 2010년에서 본 결과 총안토시아닌 함량, 수분 후 일수에 따른 변화 양상, 항산화 활성 등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기상환경에 따른 안토시아닌 축적의 변화와 안토시아닌 이외의 항산화물질들 함량변화와 관련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총안토시아닌 함량은 KBW2/KBW39의 교배조합이 120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모본과 부본 역시 각각 118.1 mg/100 g, 195.0 mg/100 g으로 함량이 높았다.총안토시아닌 함량과 Hunter’s Lab 값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명도는 총안토시아닌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상관분석결과 상관계수가 2010년에는 -0.8456, 2011년에는 -0.9050으로 고도로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23.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were conducted the construction of the framework map using SSR markers in the F2 population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waxy corn inbred line (02S6140) and sweet corn inbred line (KSS22), and also identifying of QTLs associated with eating quality traits by employing genetic linkage map of F2:3 population. The linkage map was constructed using 295 SSR markers on the 158 F2 individuals derived from a cross of 02S6140 and KSS22. The map comprised a total genomic length of 2,626.5cM in ten linkage groups and an average distance between markers of 8.9cM. Chi-square test revealed that 254 markers (86.1%) associating with all ten chromosomes exhibited a segregation of 1:2:1 Mendelian ratio. A total of 10 QTLs each for pericarp thickness (PER), amylose content (AMY), dextrose content (DEX), and sucrose content (SUC) were detected in the 158 F2 families. The number of QTL per each trait was ranged from 2 to 4, and also phenotypic variance was ranged from 4.26 to 30.71%. For PER, 4 QTLs were found to be controlled by four genomic regions at locations chromosomes 4, 5, 8, and 9 contributing 10.43, 6.71, 6.74, and 7.79% of phenotypic variance, respectively. While 2 QTLs for AMY, DEX, SUC traits, were found to be controlled by two genomic regions at locations chromosomes 4, 6, 8, and 9 contributing between 4.26 and 30.71% of phenotypic variance, respectively. Among them, 4 QTLs, such as qAMY4 (10.43%), qAMY9 (19.33%), qDEX4 (21.31%), and qSUC4 (30.71%), may be considered as a major QTLs, while the remaining six QTLs might be regarded as minor QTLs. In our study, qAMY9 for amylase content was detected on chromosome 9 in marker intervals phi027-umc1634, which was the same locus as encoding wx1 gene. Thus qAMY9 may be thought very useful molecular marker for selecting amylase content trait. The other QTLs may be thought very useful molecular marker for eating quality traits. The resulting genetic map will be useful in dissection of quantitative traits and the identification of superior QTLs from the waxy hybrid corn, and also this study ma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further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enes responsible for eating quality-related traits in waxy corn and sweet corn.
        24.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라 평균기온이 상승하고 무상기간이 길어지고 재배기간도 길어지고 있다. 이상기상으로 재해가 심화되는 위기요인이 있으나 작물 재배기간이 연장되고, 이러한 기회요인을 적극 활용한 작부체계가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봄 재배 시 7월 하순~8월 상순의 홍수출하로 인한 가격폭락 문제의 해법을 제시하고 신선한 풋옥수수 공급 기간을 늘리기 위한 찰옥수수 2기작 작부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생태형 및 파종시기별 수확적기를 구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2009~2010년에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찰옥수수의 조생종 품종 찰옥 1호와 만생종 품종 일미찰, 찰옥 4호를 재료로 하여 풋옥수수의 2기작 재배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기작재배에 따른 출사일수는 후기작으로 갈수록 짧아지고, 출사에서 수확까지 소요되는 일수가 증가하였다. 4월 상순~하순에 파종할 경우 생태형에 관계없이 수확기는 출사 후 23~25일 정도 소요되었다. 조생종인 찰옥1호를 7월 상순~하순에 파종할 경우 수확기는 출사 후 28~31일 정도 소요되고, 중만생종인 일미찰은 7월 상순~중순에 파종할 경우 수확기가 출사 후 29~31 일, 7월 하순에 파종할 경우 약 39일 정도 소요되었다. 2. 파종에서 수확까지 적산온도는 약 1700℃~2100℃ 정도였고, 출사 후 수확까지의 최소 소요 적산온도는 약 600℃~680℃ 였다. 3. 이삭길이는 전기작보다 후기작에서 다소 길어지고 일미찰과 찰옥 4호는 증가하였는데, 찰옥 1호는 1기작재배에 비하여 2기작재배에서 감소하였다. 4. 상품 이삭수는 2기작재배가 1기작재배에 비하여 찰옥 1호는 약 101%였고, 일미찰과 찰옥 4호는 92% 및 99%로 감소하였다. 수확량은 2기작의 경우 전기작에 비해 약 74%~78%정도였다. 5. 찰옥수수 2기작 재배는 파종 후 수확까지의 생육기간은 전기작에 비해 짧았으나, 출사 후 수확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오히려 길어졌다.
        25.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produce the organic foods in accord with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c seeds should be used in organic farm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stable production of organic seed of waxy corn by examining the growing characteristics, seed yield, and the economy for seed production by organic farming. The optimal sowing timing for organic seed production of waxy corn hybrid was within 10 days of the 1st of May with yield of 88~90% of conventional seed production. The optimal planting density was 41,600 plants/ha (80×30 cm) for organic seed production of waxy corn. The weight of 100 seeds and seed productivity increased at the planting ratio of 2:1 mother plant:male plant. Growth and seed production were improved by removing male plant at 7~10 days after silking. Organic fertilizer (mixed oil cake) was applied at a rate of 4~6 Mg/ha before sowing. Black plastic mulching was used for weed control. In addition, sex pheromone trap and bio-control agents were used for safe pest control and low labour cost.
        26.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얼룩찰1호'는 자식계통 KBW23을 종자친으로 하고 KW33을 화분친으로 하여 교잡된 단교잡종이며 알맹이가 흰색과 검정색의 두 가지 색을 가진 얼룩찰 옥수수이다. '얼룩찰1호'는 2003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 동안 전국 5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7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으로 결정되었다. 이 품종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얼룩찰1호'의 출사일수는 76일로
        32.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옥수수 유전자원을 계통육성하여 충남대학교 옥수수 유전 육종 실험실에서 새로 작성된 찰옥수수 교잡종을 2009년 5윌에 본 대학 옥수수 육종포장에서 재배하여 얻은 주요 식물학적 특성, 식미관련 물성검정, 영양가 분석 및 식미 평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찰옥수수 15개 교잡종에 대한 간장은 CNU08H-h39에서 235.7 cm, CNU08H-15에서 182.3 cm 범위로 공시종간에 큰 변이를 보였으며, 착수고 역시 Daehakchal Gold 1에서 83.7 cm, CNU08H-15에서 35.3 cm로 큰 차이를 보였다. 2. 이삭길이는 공시종 중에서 CNU08H-h121이 24.1 cm로 가장 길었고, CNU08H-71이 12.9 cm포 가장 작았으며 이삭직경은 Daehakehal Gold 1이 46.8 mm로 가장 굵고 CNU08H-69에서 26.1 mm로 가장 얇았다. 3. 공시종의 평균 당도는 15brix로 나타났는데 특히 CNU08H-15, CNU08H-35, CNU08H-h39, CNU08H-h102의 교잡종이 16 brix로 높은 편이었고 CNU08H-39에서 13 brix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과피는 대조구인 연농찰이 46.0um 로 가장 두꺼웠고 CNU08H-39가 23.0um 로 가장 얇았다. 4. 생체이삭 내 단백질 함량은 대조구인 Ilmichal이 13.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CNU08H-39가 8.6%으로 가장 낮았다. 아밀로펙틴 함량은 CNU08H-15의 교잡종이 94.5%로 가장 높았고 CaNU08H-71 에서 90.5%로 가장 낮았다. 5. 공시종에 대한 관능 평가 결과 대학찰골드 1호, CNU08H-h121 그리고 CNU08H-39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인 연농찰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33.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용 찰옥수수에 대해 소비자의 기호성과 기능성이 고루 높고 가공적성이 우수한 복합 신품종을 육성하고자 현재 재배되고 있는 장려품종을 대조구로 하여 총 15개 교잡종을 아밀로그램 특성, 항산화성 및 식미관련 종실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교잡종에 대한 아밀로그램 분석결과 식미에 유리한 최고 점도 및 강하 점도는 CNU08H-69 교잡종에서 각각 115.9와 53.8RVU로 가장 높았고 CNU08H-h121과 일미 찰이 각각 51.6와
        34.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waxy corn hybrid ‘Daedukchal 1’ was developed from single cross between CNU 504 and CNU 2396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2007. Inbred CNU 504 used as a seed parent and inbred CNU 2396 as a pollen parent were collected throughout domestic regions. Tasseling date of this hybrid was seven days later than that of check hybrid, ‘Chalok 1’. ‘Daedukchal 1’ was 19.7 cm in ear length and 4.5 cm in ear diameter. On yield trial, ear length of this hybrid was increased 29.7% compared with a check hybrid, ‘Chalok 1’. ‘Daedukchal 1’ had white kernels and good eating quality due to high sugar content and thinner pericarp. The ratio of kernel set length/ear length was similar to ‘Chalok 1’. It is moderately resistant to southern leaf blight and northern leaf blight but susceptible to corn borer. The yields of ‘Daedukchal 1’ in fresh ear weight and in number of fresh ear were 16% and 8%,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a check hybrid in regional yield trials for two years. Seed production for this hybrid was better because of the consistency of tasseling dates.
        35.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rowth, yield and chemical properties of waxy corn Sonjajang~timesKNU-7 and Asan~timesKNU-7 planted in different dates and mulch types in a converted paddy field was investigated.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in a split split-plot arrangement with four replications. Planting dates (D) [May 16 (D1, early), June 1 (D2, middle), June 6 (D3, late)] represented main plots, plastic mulch (M) [(BM, black mulch; TM, transparent mulch)] for subplots while waxy corn crosses [Sonjajang~timesKNU-7 (‘Sonja’) and Asan~timesKNU-7 (‘Asan’)] for sub-subplots. Results showed that 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growth characters except emergence, ear quality except ear diameter, and yield whereas M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growth characters only. Superior growth and ear quality performance were recorded in D1 and BM. In terms of crosses, ‘Sonja’ had better growth performance than ‘Asan’ regardless of D and M, but performed better at D1 and BM. Highest yield was obtained in D1 for BM (2,131 kg 10a-1 ) and TM (1,655 kg 10a-1 )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yield across V was recorded. In terms of starch and sugar contents, a decreasing trend was observed from D1 to D3 regardless of M and V.
        39.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bred lines were gained from corn genetic resources collected by our lab and also deveolped by our Corn Breeding Lab. Materials used were eleven hybrids including yellow waxy corn hybrid CNU19 (applied as Daehakchal Gold 1 in 2007). These hybrids were harvested at 30th day after fertilization for antioxidants activity analysis; polyphenol compounds, inhibitory effect of xanthin oxidase activity, catalase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aehakchal Gold 1 among hybrids were midseason variety and higher than check Chalok 1. The ratio of ear height to stem height was low as 50% below. Kernel set ratio was also higher than check hybrid. Among antioxidant analysis, Polyphenol compound was the highest in Daehakchal Gold 1 (CNU 19) as 3.77μg/ml, and CNU 21, CNU 93 and CNU153 including check were high trend compared to others. Xantine oxidase(OX) catalase activity, SOD activ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by using methanol extracts were also comparatively higher in CNU 19 hybrid than others. Besides, catalase activities of Daehakchal Gold 1 hybrid extracted by methanol and haxane were higher than other hybrids. From experiment results, this hybrid was superior to other used hybrids in botanical character, table quality and funtion.
        40.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ain the basic informations about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plant type and properties related to table quality for developing the new colored waxy corn hybrid. Materials used were produced by our laboratory in 2007 and their major traits were evaluated fro two years(2008 to 2009) at Corn Breeding Farm of Coll. of Agri. & Life in CNU. Items surveyed were major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ear length and traits related to edible. Botanical characteristics as a plant type and ear pattern of the developed waxy corn hybrids showed large ranges among them; stem height of CNU08H-h39 among used hybrids was the highest as 235.7cm, while CNUH08-15 was the lowest. Ear height of Daehackchal Gold 1 was the highest as 83.7cm and that of CNU08H-15 was the lowest among used hybrids. Ear length of CNU08H-h121 among used hybrids was the longest as 23.1cm, while that of CNU08H-71 was the smallest as 12.7cm. Kernel sugar content of the used hybrids appeared to be 16.1 to 13.0Brix(%). Especially, CNU08H-15, CNU08H-35 and CNU08H-h39 hybrids were highly appeared as 15 above. Pericarp thickness of check hybrid, Yeonongchal, was thicker as 46.0㎛, while that of CNU08H-39 compared to other hybrids showed the thinnest as 23.0㎛. From this study, we could obtain several superior colored hybrids with thinner pericarp and high sugar contents like CNU 08-39 and CNU 08-h121 hybrids. Accordingly, these hybrids will be apply as new developed variety through confirmed trials.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