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8

        21.
        2018.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4살부터 26살까지 고쇼라는 특별한 공간에서 한 명의 여성으로서, 또한 뇨보로서 살아 온 니죠가 천황을 비롯, 당대의 최고의 정치가, 최고의 고승으로 존경받은 남성들과의 애욕유전의 생애를 여성의 생명으로, 그것을 차원 높은 문학으로까지 승하시킨 일기 「도와즈가타리」를 통하여 작자 니죠의 여성으로서의 매력을 고찰하여 전체적인 니죠상을 그려보고자 했다. 먼저 그녀의 전반전 인생이 시작된 고쇼에서 한 명의 여성 커리어 우먼인 뇨보로서 출사하였다. 그러나 일하는 뇨보로서의 그녀의 꿈은 천황인 고후 카쿠사인에 의해 깨어져 버렸다. 고후카쿠사인은 그녀를 단순한 뇨보로 두지않고, 자신의 정식인 부인도 아닌 애첩으로 그녀를 사랑했던 것이다. 그리고 그녀도 고후카쿠사인의 사랑을 받으면서 동시에 당시의 최고 정치가인 유키노아케보노와의 삼각관계를 형성한 것이다. 또 얼마 지나지 않아 당대의 최고의 종교 지도자인 아리아케노 츠키와도 남녀관계를 맺으며 불꽃같은 사랑의 편력을 이루어간다. 고쇼라는 특별한 공간에서 당대의 최고의 남성들과의 관계를 통해 그녀는 자신의 여성으로서의 매력 과 높은 자존심은 그녀를 사랑에 뛰어난 멋진 여인으로 더욱더 빛나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고쇼를 중심으로 그녀는 당대의 최고의 남성들과 복수의 연애관계를 맺지만, 그 형태는 당시의 도덕적, 사회적인 규범으로부터 일탈한 형태였다. 이러한 애욕유전의 생애를 니죠는 아무도 묻지도 않았지만, 자신의 일생을 일기로 쓸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여성으로서의 높은 자존심과 남녀간의 사랑에 뛰어난 여성이었기에 가능한 자신감의 표출이었다고 생각된다.
        6,900원
        2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상이 “놓친 여인”에게 가장 잘 머무를 것이라는 예이츠의 내적 탐색은 그의 연시의 지향점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놓친 여인” 모드 곤은 역설적으로 불변하는 주제인 사랑의 완전한 스펙트럼을 제공한다. 시인에게 사랑의 번민과 고뇌를 안겨준 그녀는 그의 작품에서 다채로운 이미지로 등장하며 대부분의 연시에 영감을 준다. 예이츠의 후기 연시에 그려진 연인의 모습은 초기의 정서적 좌절과 정신적 고통을 극복하고 새롭게 승화시킨 기억속의 놓친 여인이다. 예이츠는 이루지 못한 사랑의 기억을 상상으로 승화시켜 시화한 것이다. 문학으로 승화된 이 여성은 그의 시에서 언제나 살아 숨 쉴 것이다.
        5,400원
        24.
        2016.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월경전증후군 증상의 지속적인 신체적 고통으로 일상생활과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40代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호흡명상을 실시하여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 단일사례연구이다. 연구방법은 ABAB 설계에 따라 제1기저선 단계(A)에서 진단평가 4회기(15일간), 1차 개입단계(B )에서 호흡명상 8회기(25일간), 프로그램 개입을 철회한 40일간의 제2기저선 단계(A )에서 진단평가 2회기, 2차 개입단계(B )에서 호흡명상 8회기(27일간)를 차례로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수집된 연구참여자가 느끼는 월경증후군증상에 대한 자기 보고식 호흡명상 전·후 평가지, 월별 월경에 따른 조사 기록지, 척도검사, 상담 축어록, 인터뷰 자료 등을 분석하고 해석한 결과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연구참여자의 월경전증후군에서 눈썹, 코, 볼의 경직은 1차에서는 53% 감소, 전신증상은 30% 감소, 근육 통, 소화기계는 24% 감소, 생식기계는 35% 감소가 되었으며 2차에서는 눈썹, 코, 볼의 경직은 12% 감소, 전신증상 은 20% 증가, 근육통, 소화기계는 3.3% 증가, 생식기계는 20%로 감소하였다. 평가질문지 검사 중 신체증상 척도검 사 결과는 1차 개입으로 57점에서 24점으로 33점 감소하였고, 2차 개입에서는 28점에서 29점으로 1점 증가한 것으 로 나타났다. SSI-3/5 검사에서는 1차 개입으로 64점에서 33점으로 31점 감소하였고, 2차 개입으로 42점에서 35점 으로 7점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용 억압 검사 결과는 1차 개입으로 57점에서 38점으로 19점 감소하였고, 2차에서는 46점에서 29점으로 17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호흡명상이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하는 여성들의 신체적 고통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월경전증후군 증 상 감소에 대해 안전하고 효율적이라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4,000원
        25.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의 후기시를 이해함에 있어 여성이미지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시인은 대표적인 여성이미지로서 모드 곤과 크레이지 제인을 제시하여 아일랜드인의 개인적, 역사적, 민족적 정체성에 대한 상징으로 삼아왔다. 특히 상류계층의 양심적 지 식인의 대표인 초기시의 모드 곤과 달리 후기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 창녀 크레이지 제인의 상징적 역할은, 궁극적으로 시인이 거칠고 조악하지만 적나라한 삶의 이중성을 가감 없이 수용하는 아일랜드 민중의 지혜에 대한 신뢰를 드러낸다. 그러나 예이츠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모드 곤과 크레이지 제인의 한계를 극복하고 동시에 그들의 상징 성을 통합하는 여성이미지를 꾸준히 제시하고자 노력하는 데 바로 댄서이미지가 그것 이다. 예이츠에게서 댄서란 앞서 두 여인의 이미지가 상징하는 양심적 지성과 민중적 삶의 지혜를 연결하는 동시에 각각이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는 이미지로서 예이츠 후 기시의 궁극적인 여성이미지이면서 민족적 구원을 약속하는 상징이다.
        4,200원
        27.
        2015.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발표문은 19세기 영국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 올리브 슈라이너(Olive Schreiner)의 『아프리카 농장 이야기』(The Story of an African Farm)를 기존 질서와 충돌하는 인물들과 그들의 종교를 통해 분석을 시도한다. 이 작품을 종교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은 분명 적절하다. 특히 세 명의 주인공 중에서 가장 중심 역할을 하는 월도(Waldo)가 작가인 슈라이너의 분신(alter ego)과 같다는 면에서 이 작품에서 종교의 역할은 크다고 할 수 있다. 기독교 신앙에서 무교로, 다시 자연주의 신앙으로 발전되어가는 월도의 종교적 변화는 작가의 종교적 고민을 그대로 드러낸다. 문제는 이 종교를 중심으로 한 분석이 논지의 또 다른 축인 새로운 남성상과 여성상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가이다. 발표문이 기존 질서와 충돌하는 새로운 여성과 남성에 대해서도 논한다고 공표했기에, 이 갈등과 종교의 문제와 어떻게 연결되고 의미있는 결론을 도출될 수 있는지 기대하게 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어떤 설명도 부재하다. 이와 더불어 본 발표문에서 여성 주인공인 린달(Lyndall)은 기존 사회 질서에 대항하지만 이내 꺽이고 쓰러지는 패배한 선구자 정도로 치부될 뿐 그녀의 실패가 종교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아무런 언급이 없다. 다음으로 본 발표문에서 중요한 주제어로 등장하는 “불교”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불교는 궁극적으로 세계에 대한 환멸을 지니고 있다. 자연과 일치가 아니라 도피를 주장하고 그 도피가 완성된 열반을 꿈꾸는 불교를 월도의 단순한 “물아일치”에 그대로 대입할 수 없다. 본 토론자는 발표문에서 에머슨의 다양한 동양사상이나 종교가 혼재된 종교를 불교란 이름으로 단순 치환하고 있지 않는가 의심해본다.
        29.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1일 300~400 kcal의 섭취 열량을 제한하는 프로그램(대조군)과, 열량의 제한은 없이 음 양 체질에 따라 식품의 종류를 선택하는 프로그램(실험군)을 8주간 실시하여 체중 감량 효과를 비교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체중감량 프로그램 참여 후 유의 적인 체중 변화가 있었으며, 대조군은 평균 1.1 kg, 실험군은 2.8 kg의 체중이 감량되었고, 실험군 내에서는 음체질이 3.3 kg, 양체질이 2.3 kg 감량을 보였다. 프로그램 참여 후 대조군 과 실험군 모두 체지방,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엉덩이둘레가, 실험군은 체지방, 체질량지수,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 레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감 소폭이 더 큰 경향을 보였다. 2. 대조군의 경우, 1일 섭취 열량이 프로그램 실시 전 2,061.0 kcal에서 실시 후 1,588.4 kcal로 약 17%가 감소하였다. 반면, 실험군은 프로그램 실시 전 1,679.6 kcal 에서 체중감량 프로 그램 실시 후 1,810.6 kcal로 약 7% 증가하는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 상태를 살펴보면 대조군은 체중 감량 프로그램 실시 후 지방과 단백질, 당질, 나트륨, 콜레스테롤, 나이아신, 비타민 B1, 아연, 인, 칼슘의 섭취가 각각 유의적으 로 감소하였다. 실험군은 탄수화물과 식이섬유, 칼슘, 인, 철 분, 비타민 A, 비타민 B2, 비타민 C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증 가하였다. 3.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프로그램 실시 전 음양 식품의 섭 취빈도에 차이가 없었으나,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에서 양 체질인은 음성식품을, 음체질인은 양성식품을 섭취하는 빈도 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4. 프로그램 실시 후 대조군은 헤모글로빈 수치가 유의적 으로 감소하였으나, 실험군은 헤모글로빈 수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혈당,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유의적 으로 감소하였다. 이상과 같이본 연구에서는 체질식이를 섭취한 경우, 체중 감소가 더 효과적으로 나타나고, 영양소 섭취상태도 개선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앞으로 식습관과 질병의 연관성 및 질병에 따른 체질식품의 효과 유무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200원
        3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e on simulation-based practice in woman’s hospital and to figure out the factors that level of satisfaction affect to clinical competence. Method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93 students who did simulation-based practice and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were 70 students who practiced in woman’s hospital. Data was analyzed using ex post factor experimentation during second semester in 2013. Results: There wa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u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ain variables. The most significant affecting factors to clinical competence in experimental group were satisfaction of contents and duration(R2=.24). The most significant affecting factors to clinical competence in control group were satisfaction of evaluation and practice stressor (R2=.32). Conclusion Sinc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ce the difficult part in clinical practice of maternity nursing is practiced repeatedly, student’s competence can be improved. Hence the continual study was required.
        4,500원
        3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크레이지 제인은 예이츠 후기시의 퍼소나를 논할 때면 어김없이 비평의 초점이 되어 왔다. 소스연구, 페미니즘적 분석, 정신분석학적 해석, 전기적 사실분석, 후기식민사관적 연구 등 다양한 접근이 잇었으나 크레이지 제인의 초상은 대체로 세 가지로 분류되는 바, 예이츠의 객관적 마스크로서, 예이츠의 타자를 표현하는 양성적 목소리이자 성역할전도의 주체로서, 그리고 전통적인 성역할에 대한 예이츠의 수정이 자 아일랜드라는 국가적 아이덴티티로서이다. 본 논문의 초점은, 크레이지 제인이 이 세 가지 초상의 결합체인 동시에, 더 중요하게는 단순한 결합을 넘어 선/악으로 대비 되는 모든 대비적인 것의 구원적 통합이라는 것이다.
        5,700원
        32.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사진이 언론매체를 통해 보도되는 여성이미지의 젠 더의 맥락성과 이데올로기를 연구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런던올 림픽 경기 기간에 종합 일간지와 스포츠신문의 보도된 사진을 분석하고 사진의 제 목을 통해 언어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사진에 대해서 해석하고 텍스트분석을 시도 하였다. 또한 올림픽기간에 스포츠 사진이 가지는 특성과 성 불평등 및 여성이미 지를 규명하려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보도사진의 의미와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 이 있다. 연구결과 스포츠 사진이 언론매체에 에로티시즘과 성 상품화을 통한 마케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선정성과 결합된 인간의 지적요구의 일정인 에로티시즘이 나 타났다. 여성스포츠나 여성 운동선수의 운동행위보다는 특정 신체부위나 복장 등 을 강조하는 사소화(trivalization)나 성격이 아닌 미모 등 스포츠와 무관한 특성에 기사의 초점을 맞춤으로써 스포츠 장면에서의 의미를 축소하는 한계화 (marginalization)가 이루어지는 방식, 여성 운동선수의 신체를 성 상품화 (sexualization)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사진에 함축된 이데올로기는 과감 한 노출 사진을 통해 성 상품화를 강조한 기사의 제목과 내용을 통해 볼거리를 제 공한다. 또한 여성의 우는 모습을 통해 여성의 나약함과 함께 성적 차이를 강화시 켜 여성 나약함을 표현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8,400원
        33.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ver 1.4 million foreigners live in South Korea now. The number of marriage-related immigrants is 125,673 and that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is 107,689. These facts are brand new ones during the last five thousand year history of Korea. Such a change challenges Korean people and Christians to rethink respectively about their identity. This article aims at describing the current situation of immigrants, especially marriage-related immigrant women and multicultural family, identifying tasks for immigrant mission in Busan, Ulsan and Kyungsangnam-do and searching for the immigrant theology. Methodologies used in the article are: literature study, interview with specialists in immigrant mission, social biography of marriage-related immigrant women, missiology of encounter with other and Post-colonial Feminism. In Busan, the researcher chose four church/mission center/Christian NGOs participating in the immigrant mission in 2009. And he chose five mission centers/Christian NGOs participating in the immigrant mission in 2010. He interviewed with 31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with 9 specialists in the immigrant mission. Ninety-nine marriage-related immigrant women responded to the survey prepar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of the social biography of multicultural family and the surveys of marriage-related immigrant women are: first of all, recovery of ‘normality’ of the multicultural family, for the family has been represented by the mass media as ‘abnormal’ one with family violence: secondly, Christian faith contributes for them to accommodate to Korean culture and to overcome conflicts between husband and wife of multicultural family: thirdly, the international marriage initiated by commercial agencies is blamed as money- exchange-marriage but the reality of such a family life is similar to that of a marriage arranged by a go-between: lastly, marriage-related immigrant women are faster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an migrant workers. Tasks for immigrant mission are: to strengthen the multicultural family by overcoming cultural conflicts, to support for their children education, to establish multicultural faith community, to encourage marriage-related immigrant women to get a job, to suggest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Christians and Korean citizens, and to prevent from religious conflicts through peace education among religious groups.
        8,900원
        35.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sign for daily hanbok with Jacquard textile design developed by using the traditional patterns that suit the needs and lifestyles of the middle and old aged group. This study will also develop Jacquard textile design that has elaborate and luxurious patterns and abundant expression of colors using the traditional patterns that suit the needs and lifestyles of the middle and old aged group. Developing daily Hanbok design for woman's casual and formal occasion will contribute to fashion business significantly by popularization of daily hanbok as one of the important fashion genre. The “Texpro Design CAD V8.21” program was used for the textile design. A total of 3 designs were developed as the Jacquard textile design with traditional patterns using lotus flower motifs. One type of fabric was produced for each of the textile design with a color selected from 『Pantone Color Chips』. And finally, three woman's daily Hanbok design for either casual or and formal style were developed and these daily Hanboks were consisted of Durumagi, one-piece dress, and one set of jacket and trouser. And the actual garments were constructed and the design procedure and the photos of these works were presented.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highly sensible daily hanbok that suits the fashion trend of middle aged women and the widening of consumer range and the creation of new market by developing Jacquard textile design.
        4,800원
        36.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consumer's recognition on brand's peculiar style on Korean contemporary women's apparel brand. The contemporary women's apparel brands show advanced and stylish merchandise at better price points. This segment of the Korean ready-to-wear market has been growing fast in last decades. Four contemporary women's apparel brands(I, K, M, and T)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n=216)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 survey at 24 apparel retail shops in metro Seoul area. The questionnaire measured the consumers' recognition on each brand's peculiar style. The subjects evaluated each brand's typical silhouette, materials, and style image.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style image factors were ‘stylish’, ‘simple’, ‘casual’, ‘feminine’, and ‘classic’. The style image of each brand was differentiated from others. The brand T had classic image, the brand K had simple and casual image, brand M had stylistic image, and the brand I had feminine image. The features of materials that used at the four brands were not very different by the brands. They used the high valued materials. The common features of the materials were ‘smooth’, ‘thin’ and ‘light weight.’
        4,200원
        37.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tra-sexual phenomenon that is recently focused is one of the new factors, which is focused when explaining the life style of progressive woman’s image and it is creating cultural category. Moreover, the contra sexual people that are rising as new consuming subjects are not simple primary consumers but their shopping culture and cultural tastes are giving effects to many people. Because of the tendency, marketer of consuming industry are making efforts to predict the changes of contra-sexual people’s shopping habits and tast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sp contra-sexual phenomenon and research the fashion design aiming at that in order to predict woman’s fashion image in the future. Therefore, the study considered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contra-sexual phenomenon and surveyed its example in the popular culture. And, the study analyz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contra-sexual fashion shown in the public cultures such as drama and movie. On the basis of the result, design was suggested by reflecting contra-sexual fashion characteristic under the concept of ‘Urban Splendor’. From the results above,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contra-sexual phenomenon, which appeared as a trend and understand new woman’s image and the fashion that has changed because of it. It is consider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of contra-sexual phenomenon, which plays as an important variable in woman’s fashion, fashion accessory, cosmetic and advertisement field but it is hard to clarify, by analyzing the work aiming at contra-sexual phenomenon will be helpful for predicting the change of woman’s fashion in the future.
        4,500원
        40.
        2008.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김혜순의 시론집『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은 ‘여성성’과 ‘시작(詩作)’의 관계를 본격적이고 심층적으로 탐색한 저작이다. 여성성은 인간성의 반쪽이 아니라 근본적인 차원이다. 김혜순은 여성성을 부정하는 방식을 부정하면서, 여성성을 글쓰기의 근본적이고 심층적인 차원에서 드러내고 또한 미학적인 원리로 내세운다 김혜순이 사유하는 여성성의 핵심적인 자질은 생성의 능력이라 하겠다. 시적 주체의 엔트로피와 운동성은 여기에서 나온다. 김혜순이 시쓰기에 ‘바리데기’를 호명했던 이유 또한 여기에서 찾을 수 있었다. ‘바리데기-되기’, ‘어머니-되기’는 은폐된 타자들을 해방시키고 활성화하는, 이를테면 타자들을 낳는 ‘자궁-되기’와 같은 것이었다. 김혜순에게 삶과 죽음, 현실과 환상, 나와 타자, 주체와 세계는 안과 밖의 이원론적 구조가 아니라 표면과 심층의 일원론적 관계 속에서 개시된다. 이를 ‘외부의 내재성’, ‘초월의 내재성’ 같은 말로 표현해 볼 수 있다. 내가 내 바깥의 타자들을 포획하고 규정하는 방식의 동일시가 아니라, 어머니가 아이를 생산하듯이 내 안에서 타자들을 출산하고 폭발시키면서 ‘나’를 바꾸는 방식으로 ‘시-하기’는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하기’는 내 안에서 숨겨진 ‘어머니’를 찾는 것이면서 ‘어머니’를 거꾸로 출산하는 것이기도 하다. 김혜순은 자아 중심의 기존 시학을 부정하면서 타자성의 시학을 제출한다. 그녀에게 ‘시-하기’는 ‘자아 지우기’이며 고체의 몸을 유동적인 액체의 형질로 바꾸는 사건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녀의 시론에서 떠오르는 것은 타자에 대한 시선의 문제가 아니라 타자를 낳고 경험하는 몸의 사건, 즉 자아와 타자가 접촉하고 섞이는 사건이다. 시의 장르적 원리로 간주되어 왔던 ‘세계의 자아화’라는 정의에 대하여 김혜순이 강력하게 수정을 요구할 때, 아니 이러한 시론의 요구 이전에 이미 ‘시-하기’는 이 관습적인 울타리에 갇히지 않고 ‘세계와 자아가 함께 동참한 소용돌이’, 나와 타자의 접촉 속에서 자유를 실천해왔다고 할 수 있을것이다.
        5,5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