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21.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and compar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one density, nutrient intake, blood composition and food habits between non-smoking, non-alcohol drinking and smoking, alcohol drinking 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South Korea. The data for food habit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were obtain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BQIs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by Quantitative Ultrasound (QU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SND (non-smoking and non-alcohol drinking, n=62) group and General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n=160) group.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were as follows: The average heights, weights, and BMIs of the two groups were 173.3 cm, 66.5 kg and 22.1 and 173.4 cm, 68.7 kg and 22.9, respectively.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regarding height, weight or BMI. SBP and DBP, howev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eneral group than in the NSND group (p〈0.01). The BQIs, Z-scores and T-scores of the two groups were 99.83, -0.23, and -0.31 and 98.24, -0.27 and -0.39, respectively, produc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percentages for normal bone status, osteopenia and osteoporosis were 83.88%, 16.12% and 0.0% and 74.37%, 25.62% and 0.01%, respectively. Mean intakes of animal protein (p〈0.05), animal fat (p〈0.05), fiber (p〈0.05), animal Ca(p〈0.05), animal Fe (p〈0.001), Zn(p〈0.05), vitamin B1 (p〈0.05) and niacin (p〈0.05)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nd mean serum levels of SGOT (p〈0.01), SGPT (p〈0.001), γ-GTP (p〈0.001), triglycerides (p〈0.01), total cholesterol (p〈0.05) and hematocrit (p〈0.05)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Overall,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eal regularity, frequency of snacking, reasons for overeating, exercise and defecation between the groups. However, favorite foods (p〈0.05) and night-time meals (p〈0.05)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nclusion, the health status of the NSND group was superior compared to the general group. Thus, students who smoke and alcohol drink should receive a practical and systematically-organized education regarding the increased health benefits of quitting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4,200원
        22.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appearance management attitude factor of male college students and groups them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Then this research analyzes their interest in knitwear, buying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to see what kind of differences exis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fter conducting a factor analysis to identify the appearance management attitude of male college students, 3 factors emerged(sought personality, pursued trends, and appearance interest). Second, as a result grouping th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attitude. It is created 3 groups(fashionista group, personality group, and appearance interest group). Third, for the interest in knitwear, the fashionista group had the highest interest in knitwear, with a preferred brand when purchasing. Fourth, the fashionista group that values personality and latest trends was more likely to purchase knitwear than the personality group or the appearance interest group. Finally, the majority preferred solid colors. Over 50% of the students preferred knits without any patterns. Also, the most preferred 100% cotton. As this survey was only surveyed in Seoul and Gyounggi areas. The next research requires to be surveyed in a more comprehensive area. Additionally, male college students must more effectively be segmented and surveyed to get accurate results.
        4,800원
        26.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rates of spinal abnormal curvature and the correlation of the Body Mass Index (BMI), Low Back Pain (LBP) and spinal curvature by measuring scoliosis, kyphosis, and lordosis in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67 male, 92 female university students, making a total of 159, in Wonju City. Spinal curvature was measured by an electrogoniometer in a computerized skeletal analysis system. Lateral curvature of spine of more than 10 degrees was considered as nonspostural scoliosis. The correlation of BMI, LBP and the spinal curvature was analys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tes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overall incidence and rate of scoliosis in cases with a greater than 10 degree curve in males was an incidence of 8 and a rate of 11%. In females the incidence was 36 and the rate 39.2%. 2. The overall incidence and rate of kyphosis of less than 20 degrees in males was a rate of 9 and an incidence of 11.9%. In females, the rate was 5 and the incidence 5.4%. In kyphosis cases of more than 40 degrees, the male rate was 5 and the incidence 7.7%. For female the rate was 13 and the incidence 14.2%. 3. The overall incidence and rate of lordosis with curves of less than 20 degrees was a rate of 6 for males and an incidence of 9.0%. For females, the rate was 5 and the incidence 5.4%. In cases of more than 50 degrees lordosis, the female rate was 2 and the incidence 2.2%. There were no males in this category. 4.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kyphosis and BMI. The greater the kyphotic curve, the less the BMI in male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BMI difference by gender in either scoliosis or lordosis. There was, however, a significantly decreased sacral angle in the female group with LBP.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not be generalized to the general population because the subjects were all from one university. The measurements were quite reliable because the angles determined by the Metrocom System were highly correlated with radiologic findings. This study shows the need for a regular screening system for spinal curvatures in university health examination procedures.
        4,900원
        28.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청소년 범죄는 숫자적으로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범죄의 강도는 더 강해지고 범죄내용 또한 심각해지고 있으며 재발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사회적으로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소년 범죄 청소년들은 심리적 혼란의 시기인 청소년기를 겪으며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다양한 정서 및 행동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원예치료프로그램이 남자 소년원 생들의 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전라북도 전주에 소재한 남자소년원생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 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구성하여 수행하였다. 두 그룹의 스트레스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전, 사후 모세혈관을 통한 심박변 이도를 측정하였으며, 실험군에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12회기 실시하고 회기 중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직후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집단에 따른 주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 스트레스 지수를 공변량으로 처리하였을 때 집단 간 사후 스트레스 지수 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회기별 스트레스 지수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지수는 1차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소년원생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외부환경에 적 응하는 힘을 향상시켜주고 분노, 근심, 공포상태의 심리적 양상들을 완화 시켜주는데 기여했음을 나타내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기관에 수용되어있는 문제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다양하고 전문화된 인성교육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보다 더 적극적으로 연구 개발 되 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29.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학생 학습자들이 TOEIC 듣기평가에서 사용하였던 듣기전략의 남녀별 사용정도 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연구의 설문을 Bacon(1990)의 듣기학습전략을 참고로 하 고, Oxford(1990)의 듣기학습전략 중, TOEIC 듣기전략에 알맞은 28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을 2015년도에 모의 TOEIC을 치른 대학생 107명(남학생 25명과 여학생 8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학생 남녀별 듣기전략의 사용정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구하였고 평균비교를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그리고 TOEIC 성취도 집단 간의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검증)를 실시하였다. 28개 항목에 대하여 기억전략, 인지전략, 보상전략, 상위인 지전략 그리고 정의적 전략 모두에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을 가리지 않고 남자의 듣기전략별 사용정도가 여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전략별 선호도의 순서도 비슷하였다. 다만 세부적 전략별로 남녀 간의 선호도의 차이가 있었고, 정의적 전략의 경우에는 하위집단에서 여자의 사 용정도가 남자보다 높았다.
        30.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도심 수목원의 산책이 남자대학생의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은 도시 내 수목원, 대조실험은 시청주변의 도시에서 실시하였다. 성인 남자 대학생 24명이 피험자로 참여하였으며, 실험은 무작위로 세 개의 그룹으로 총 3일간 실시하였다. 실험 장소는 수목원 내 소나무 숲, 수목원내 연못, 세 번째 도시로 정하였다. 각 경관의 감상은 10분간, 산책은 15분간 실시하였으며 측정 지표로는 POMS, STAI, SD method을 이용하였다. SD method로 쾌적함, 자연감, 진정감, 개방감, 단순함, 편안함, 친근함, 아름다움 등의 항목으로 평가한 결과 모든 항목에 있어 수목원의 소나무숲과 연못이 있는 공간의 산책이 도시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p<0.01). POMS의 분석결과도 T-A(Tension and Anxiety), A-H(Anger and Hostility), V(Vigor), F (Fatigue,)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총정서장애(TMD, total mood disturbance)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1). STAI 측정결과 실험 중 심리적 안정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01). 수목원의 산책은 심리적으로 쾌적함, 자연감, 진정감, 개방감, 단순함, 편안함, 친근함, 아름다움 등 순간의 감정을 나타내는 지표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상태불안의 감소와, 분노, 적의, 긴장, 불안 등의 부정적 감정이 완화되어 심리적 안정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31.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활동이 남자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경상북도 A중학교의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2010년 9월 9일부터 12월 23일까지 매주 목요일 주 1회 총 12회 다양한 원예활동을 실시하였다.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 스트레스 질문지의 하위항목 중 부모로부터 받는 스트레스 점수는 11.00점에서 8.80점으로, 교사로 받는 스트레스 점수는 17.00점에서 13.06점으로 각각 2.2점, 3.94점이 감소되어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하위항목 학업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는 18.93점에서 13.86으로, 주변 환경으로 부터 받는 스트레스는 17.00점에서 13.06점으로 각각 5.07점, 3.94점 감소되어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체 점수는 89.86점에서 71.40점으로 18.46점이 감소되었으며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 학업동기 하위항목 중 무동기는 45.40점에서 38.00점으로 7.4점이 낮아졌으며, 자율적 동기는 23.33점에서 26.33점으로 3점이 높아졌다. 두 하위항목 모두 P<0.01수준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원예활동 실시 후 대조군과 실험군 두 집단 간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질문지의 경우, 가정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는P<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업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 교사로부터 받는 스트레스, 주변 환경으로 받는 스트레스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업동기 질문지의 경우, 무동기와 자율적 동기가 P<0.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꽃장식과 식물 기르기의 원예활동이 남자 중학생의 스트레스 완화와 학업 동기 향상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