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21.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호농’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운봉31호의 개화시에 MNU를 수정란(미숙배)에 처리한 후대에서 선발하여 2009년도에 품종보호권을 출원한 품종이다. 1. 남서해안지, 호남 및 영남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9일로 ‘남평벼’보다 2일 늦은 중만생종이다. 2. 간장은 79 cm로 ‘남평벼’와 비슷하며, 수당립수는 적고 등숙비율이 다소 높은 중립종이다. 3. 위조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고 수발아는 남평벼보다
        23.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풍미1호"는 영남농업연구소에서 재배안전성이 높은 고품질 벼를 육성하고자 '92/'93년 동계에 단간이면서 내병성이 양호한 YR13616Acp 1을 모본으로 하고 품질이 뛰어난 밀양 122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시켜 집단육종법과 계통육종법을 병행 실시하여 YR15675-B-B-B-32-1-2-3 계통을 선발하였다. 생산력검정 시험과 '03~'05년 3개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05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
        24.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옥"은 밥맛이 뛰어난 벼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1988/1989년 동계에, 미질이 좋고 중생종인 Milyang 101과 Chukei 830과 밀양80호의 F1을 약배양하여 육성된 YR8697Acp97을 (in winter) 교배하여 '89년 하계에 F1 식물체를 양성하고 '90년에는 F2 집단을 전개하고 집단으로 선발하였다. 이후 '91년부터 '93년 F6세대까지 집단육종법으로 세대를 진전시키면서 생육 및 출수 특성 등을 관찰한 뒤 '94년부터 '9
        25.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해진미"는 중만생종이면서 쌀 품위가 좋고 밥맛이 양호하며 내병성이 양호한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평야지의 보통기 재배에서 8월 14일로 "화성벼"보다 2일 늦은 중만생종이다. 2. 주당수수와 수당립수는 "화성벼"보다 약간 많은 편이고 현미천립중은 22.4 g으로 "화성벼"보다 다소 가벼운 중립종이다. 3. 불시출수와 수발아가 안되는 편이고, 위조현상에 강하고 성숙기 엽노화가 느린 편이며 내냉성은 "화성벼"와
        26.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주남조생"은 소득작물 전 후작에 적응하는 벼를 육성하고자, '98/'99년 동계에 밥맛이 좋은 것으로 알려진 일본의 고시히까리에 밀양165호(주남벼)를 2회 여교배하여 육성한 조생종 단기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남조생의 영남 평야지의 소득작물 후작 만기재배에서 8월 26일로 "금오벼"보다 6일 빠른 조생종 품종으로 주당수수는 12개로 금오벼보다 2개 많은 편이고, 수당립수는 약간 적은편이며 현미천립중은 금오벼보다
        27.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nuri’is a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ilyang 165’and HR14732-B-67-2-3 at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5. This cultivar has a short grain shape and about 121 days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Korean climate condition. In reaction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it shows resistance to blast, bacterial blight pathogen from K1 to K3 and stripe virus, but susceptible to other major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kernel of ‘nnuri’is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It has about 18.6% of amylose content and bett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hucheongbyeo’cultivated in Kyunggi province. The milled rice yield of ‘nnuri’is about 5.94 MT/ha under the standard fertilizer level of the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nnuri’would be adaptable to southern plain of Cheonan, middle-northern plain, and southern mid-mountainous of Korea.
        28.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oseogchal is a new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the three-way cross ofHwayoung, Tamjin and Sinseonchalat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RDA, in 2004. It is a waxy rice with about 117 days of growth duration fromtransplanting to har
        30.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dabyeo, a new Tongil-type rice (Oriza sativa L.) cultivar, i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National Cropbetween SR11532-4 and SR14502F2. This cultivar has about 115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seeding to heading and is semi-dwarf (culm length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