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

        21.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imed at integrating English novels into a Korean high school English curriculum. To accomplish the objective, the study adopted diverse post-reading activities using an English novel, The City of Ember by Jeanne DuPrau. Data were collected from diverse sources such as students’ worksheets, transcripts of students’ presentation, answers to survey questions, and the teacher’s field not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educational effects when an English novel with diverse post-reading activities was used in high school English classrooms. Student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lass and expressed satisfaction in terms of classroom management. Second, students responded to the novel through diverse post-reading activities. For example, students had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lives, became active in solving problems, and deepened their thoughts through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ovided.
        6,900원
        22.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sought to examine the continuity of the English textbooks of the elementary school 6th grade and the middle school 1st grade by analyzing the readability and vocabulary difficulty of their reading passages. It investigated the continuity between textbooks of the two grades and among chapters of each textbook. For the analysis, Flesch-Kincaid Grade Level Index was used to measure the readability of reading passages, whereas vocabulary difficulty was measured in terms of TTR (type-token ratio) and frequency by using VocabProfi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adability of middle school textbooks was one point higher than that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Given that the readability index is based on the American school system, the increase in readability index between grades can be seen as large gap. In terms of vocabulary difficulty, the total amount of vocabulary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was three times as much as that of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Second, readability index fluctuated across the chapters of each textbook, while the TTR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former chapters than in the latter chapter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ll these could lead to learning difficulties for students.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6,100원
        23.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ody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114 fifth and sixth graders were selected from three schools of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ir prosody, word recognition and comprehension were assessed. In order to measure their prosody, students were asked to read a reading text orally for one minute, and the teacher checked their reading rate, decoding accuracy, and prosody. Students’ prosody was measured through Clay and Imlach’s (1971)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while most students gained higher score in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rate, their prosodic features was found comparatively weak. It also revealed a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sub-categories of prosody and reading comprehen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prosodic reading features of Korean EFL students have co-relations with comprehension, even if their prosodic feature is weak. Finally some ideas for enhancing prosody in L2 students’ reading instruction were suggested.
        6,000원
        24.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ominent role of basic reading sub-skills, such as decoding abilities and reading fluency,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younger and proficient first and second language readers, little is known about the role of these skills in older and less skilled readers in foreign language context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decoding skills and reading fluency relate to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such readers, and to identify the relative strengths between the two. Two hundred twenty tw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ir performance on decoding,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asks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decoding skills and reading fluency were strongly correlated to reading comprehension. Moreover, between the two fundamental reading sub-skills, decoding skills outperformed reading fluency in explaining reading comprehension, making a unique contribution beyond the effects of reading fluen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basic skill like word decoding still deserves instructional attention even at the secondary schools in EFL contexts.
        5,700원
        2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trategies-based English reading programs on reading proficiency and affective domains of underachie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ight fifth-grade students were selected and assigned to either the phonics/vocabulary learning group or the vocabulary/sentence learning group for two hours a week for 16 week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four main sources: English reading tests, questionnaire surveys, students’ learning log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nglish reading programs had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tters and sounds, word recognition ability, and sentence reading. As students accumulated successful reading experiences, their self-confidence, interest in reading, and class participation increased while anxiety decreased.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using strategies among students in each group, with higher level students tending to use higher-dimensional strategies with more variety than less able students. In conclusion, the leveled English reading programs customized for underachievers appear to be effective in assisting underachievers in their English reading skills.
        6,700원
        26.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reading fluency of elemena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50 six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wo schools of Gyeonggi province and their reading fluency was evaluated. Assessment of reading fluency was administered as follows: students were asked to read orally a reading text for one minute, which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and the teacher checked their read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ssessment criteria developed by Zutell and Rasinski (1991). Reading fluency dealt with four subcategories: decoding accuracy, reading rate per a minute (WCPM),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Mean score at each subcategory and its aspect were analyzed, expression element were compared between the lower and higher group, and finally co-relation between reading fluency and comprehension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most students gained higher score in decoding accuracy or reading rate, their expression was lower. Among four sub-categories of expression, i.e. expression and volume, phrasing, smoothness, and reading rate, score of expression and volume was the lowest. Most students read text with little expression or enthusiasm in their voice. On the basis of the result, some ideas for teaching fluency were suggested.
        6,400원
        27.
        201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학생들의 중문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 는데 있어, 읽기를 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도 현저한 효과가 드러나는 방법 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독해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한자 능력을 발전시키고 공고하게 하는 것이 우선적인 임무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표는 Dr. David Rose가 제안했던 Reading to Learn 학습이 론에서 출발하여 그림책 교육의 과정에 결합시켜 어떻게 하면 비화교 학생들의 중국어 학습이 효과가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토해 그들의 한자 습득과 읽기, 쓰기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가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액션 러닝 기법을 이용하였는데, 이들의 행동을 연구하는 기간 동안에 연구원과 유관 중학교의 부교장은 비화교 학생들의 한자 사용 능력이 향상되 어, 읽고 쓰는 능력에 이르는 것 외에도 위에서 제기하였던 방법을 실제 어떻게 운영하여 얼마나 비화교 학생들의 그림책 읽기의 흥미와 효과를 높일 수 있는지 를 알고 싶어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는 Reading to Learn 학습법이 그림책을 결합한 교육인 「文類教學法」을 운용할 때 비화교 학생들의 한자 습득과 읽기 능력이 증가함과 더 나아가 읽기에 대한 흥미를 진작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6,900원
        28.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長期以來,香港很多非華語中學生在學習中文寫作時都面對著字詞不足、文章結構散亂、文類特徵含糊等困難,因此必須給予他們足夠的寫作教學支援。「以讀促學」教學法(Reading to learn methodology)是目前廣泛應用在澳洲土著學生的英語第二語言閲讀和寫作教學法,其成效備受肯定。故本論文嘗試應用「以讀促學」教學法在非華語中學生的中文論説文寫作教學上,採用前實驗設計的單組前後測的研究方法,選取一位中文老師和十五位非華語中學生作爲研究對象,進行爲期五個星期的教學試驗研究,配以觀課、訪談及比較學生在教學之前和之後所寫的論説文,來探究「以讀促學」教學法在非華語中學生論説文課堂教學的實施成效。研究結果發現,師生一致認爲「以讀促學」教學法能夠有效提高學生上課的投入程度,師生課堂互動較多;並能提高學生學習中文寫作的信心,增加其課堂參與度。而學生在接受教學之後所寫的論説文,在字詞運用、文章結構鋪排及文類特色呈現三方面均比接受教學之前所寫的論説文為佳。
        32.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교육과정에 있어서 의사소통능력이 강조됨에 따라서 듣기, 말하기가 특히 강조되는 반면, 읽기와 쓰기 즉, 문자언어에 관한 학습능력 역시 같이 향상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았고, 학교단위 수준에서 보면 오히려 부정적인 견해도 많았다. 이것은 알파벳, 단어, 문법, 구문, 독해로 이어지는 기존의 일반적인 상향식 학습의 폐해로 여겨지기 때문에, 문자언어에 미숙한 중학생이라 할지라도 텍스트 전체로부터 접근하는 하향식 읽기 방법을 접목할 필요가 있다. 글의 전체적인 구조와 전개방식에 대해 배경지식을 가진다면 읽기가 훨씬 수월해 질 것이기 때문이다. 쓰기의 경우에도 빈칸 채우기나 문장 단위의 통제되거나 유도된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고, 실생활에 필요한 자유 작문 형태의 쓰기 학습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문제 역시 영어교사들이 자유 작문을 시도해 볼 신뢰성 있는 틀이나 형식이 없기 때문에 그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실제로 수업에서 적용키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 같은 상황을 학생과 교사 입장에서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상황 하에서 읽기와 쓰기를 체계적으로 연계시킨 좀 더 새로운 학습방법이 고안될 필요가 있었다. 본 논문은 비교적 최근의 이론인 과정-장르 중심 접근법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장르별로 텍스트의 전체적인 구조와 언어적 특징을 구별하고, 이것을 쉽게 도식화한 스켈레톤 다이어그램을 그려 봄으로써, 읽기와 쓰기에 동시에 효과적인 새로운 접근법을 구안하였다.
        5,200원
        34.
        201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probe pedagogical viability of extensive reading as an effective alternative in English reading instruc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an English book club was formed, consisting of 40 high school students. The book club activity was held during four months of summer and winter vacations in 2009. The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freely write anything in their reading logs they felt while reading. The reading log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hey revealed effects of extensive reading and changes of the readers' cognitive and affective read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results, 1) extensive reading has potential to be a successful alternative in English reading instruction; 2) the readers could experience “amusement” and “absorption” by reading sufficient books with the i−1 level; and 3) extensive reading enabled them to choose their ways of reading and to be responsible for their choices.
        6,900원
        38.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 ‘읽기’는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정의한 ‘읽기’로 한정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아직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서가 우리에게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중학교 한문 교육과정 해설서의 내용을 끌어다가 바탕으로 삼아 고등학교 한문과 의 읽기 문제를 살펴보았다.‘소리 내어 읽기’를 중요 학습 요소로 설정하였는데, 이는 매우 환영할 만한 일 이다. 한문과 학습에서 ‘소리 내어 읽기’는 대단히 중요하고 긍정적인 요소가 많은 학습 활동이다. 학급 전체가 함께 소리 내어 읽으면서 공동체 의식이 형성된다든지, 언어에 대한 규약과 기술을 배울 수 있다든지, 학습자의 교재 이해력이 향상된 다든지, 교사의 읽는 소리를 듣거나 학생 스스로 소리 내어 읽으면서 접한 단어의 머릿속 저장이 용이하다든지 하는 것들이 긍정적인 점들이다. 다만 교육과정에서 묵독에 대한 언급이 없는 점은 개선이 필요하다.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의 평가 요소와 방법의 소개도 미미하다. 문종(文種)이나 분위기에 맞는 읽기 방법 그리고 읽기 태도에 대한 언급도 필요하다. 끊어 읽기에 대하여서는 그 필요성을 인정하되, 교과서에 현토문을 싣는 것에 대한 회의를 피력하였다. 고칠 수 없거나 또는 고쳐서는 안될 것 같은 관행이라도 의심하고 두드려 보는 것이 필요하다. 현토되어 있지 않은 원문을 굳이 현토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끊어 읽기 또한 평가 방법과 수단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바르게 풀이하기와 관련해서는 필자가 따로 언급할 만한 것이 없었다. 직역과 의역 둘 중 무엇을 우선으로 할 것인가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지만 고등학교 한문 수준에서는 축자적 직역을 우선시해야 할 것이다.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른다면 앞으로 한문과의 수업이 문법-번역식 수업이 주류가 될 것이고 본다. 개정된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새 교과서들이 속속 출간될 것이다. 한문과에서 ‘읽기’는 학습 단계에서 가장 앞서는 부분이다. ‘읽기’에 성공할 때 ‘이해’도 가능하게 된다. ‘읽기’ 교육의 성공을 위해 해야 할 것들이 많다. 교육과정의 상세화, 읽기 재료의 선정과 배치, 그리고 읽기 평가 요소와 평가 방식 및 절차의 마련 등이 그것이다.
        6,300원
        39.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의 읽기 교육의 동향은 결과 중심의 읽기 교육에서 과정 중심의 읽기 교육 으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즈음 한문과 개정교육과정에서의 읽기 영역은 교사나 학생이 충분히 숙지하여 실천할 수 있어야 하는 과제가 되었다. 읽기란 글을 읽고 그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다. 한문에서의 읽기가 단순한 문자 의 음성화와 문장 구조, 어구 풀이, 어휘 조사를 통한 독해의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되고, 독서의 개념으로 확대되어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까지 확장되어야 한다. 그간 한문과에서 읽기에 관련된 논문들이 다수 발표되어 띄어읽기, 허사의 쓰임 에 따른 끊어읽기, 게임을 통해 한자 읽기, 문학 작품을 통한 읽기, 용어의 의미 파악하기, 다독, 묵독, 속독 등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앞으로는 한문과 교육과정 에 따른 읽기 교육이 연구에 머물지 않고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중학교 한문과에서의 읽기 교육은 한문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한자를 바르게 읽고 독해의 단초가 되는 어휘의 의미를 읽어내어 올바른 한문 독해를 통해 바람직한 인성양과 건전한 가치관 형성에 그 목적을 두어야 한다. 목적을 상실한 읽기는 의미가 없으므로 읽기를 실시할 때 반드시 읽는 이유나 목적을 명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충분한 동기 유발을 해야겠다. 인성교육이 사회적인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한문을 읽는 행동이 학습자들에게는 또다른 인성함양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읽기의 기술이나 전략은 학습자의 몫일 수 있으나 교사가 학습자에게 읽기의 기술이나 전략을 설명해주어 자신이 능숙한 읽기를 하고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 어야 할 것이다. 단순히 따라 읽거나 반복하여 읽게 하여 읽기를 통한 즐거움이 줄어들거나 역효과가 나지 않도록 해야겠다. 읽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운용할 수 있는데, 방법의 다양함만큼이나 평가도 다양하다. 읽기의 방법에 따라 평가가 즉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개인 수행과제로 평가를 할 수도 있다. 읽기는 문자의 음성화로부터 문장의 독해와 감상까지를 아우르는 광범위한 교수-학습 방법이다. 적절히 잘 활용한다면 교사나 학습자 모두에게 즐거운 한문 수업을 경험하게 할 것이다.
        6,900원
        40.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高等學校 <漢文> 수업을 관찰하고, 관찰한 결과를 통해 드러난 ‘읽기’ 영역의 敎授學習 活動을 분석하는 것이다. 수업 시간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에서 유의미한 읽기 교수학습 활동을 찾고, 이것을 분석함으로써 읽기 교수학습 요소를 발굴할 수 있다.이 연구에서 다루는 ‘읽기’는 2006년 발표된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나온 ‘한문’ 영역의 중영역 중의 하나인 ‘읽기’ 영역을 의미한다. 필자는 고등학교 한문과 교실 수업의 면밀한 관찰과 기록을 위해 微視文化記述的 硏究 方法을 이용하여 수업을 분석한다.분석 결과, 이 연구에서 관찰한 수업에 드러난 ‘읽기’ 교수학습 활동은 ⅰ) 본문에 나온 字句를 익히기, ⅱ) 허사 등을 학습하여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기, ⅲ) 문장의 해석을 위해 逐字的으로 풀이하기, ⅳ) 바르게 끊어 읽기를 위해 소리 내어 큰 소리로 따라 읽기, ⅴ) 문장을 익숙하게 보기 위해 반복하여 따라 읽기, ⅵ) 문장의 표면에 드러나지 않은 의미까지 파악하기 등이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찾아낸 ‘읽기’ 교수학습 요소는 字句 學習, 構造 把握, 解釋, 聲讀, 復讀, 精讀이다.이 연구는 일상적인 교육 활동으로 여겨 으레 그러려니 생각한 수업의 교수학습 활동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한문과 교수학습 요소를 찾은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개정된 한문과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실행 방안에 대한 논의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6,7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