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7

        481.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생 주목군락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덕유산의 분포지를 중심으로 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천연 주목군락은 전체적 인 계층별 종조성으로 볼 때, 소백산의 경우 주목-시닥나무-미역줄나무-조릿대의 군락을 조성하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조사구 내에 출현한 총 종수는 85개종(목본식물 40종, 초본식 물 45종)이었다.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는 각각 주목과 시닥나무가 우점종이었으며, 교목층의 주요 구성 종으로는 주목, 미역줄나무, 분비나무, 시닥나무, 사스래나무, 신갈나무, 고로쇠 나무, 구상나무, 아교목층의 주요 구성 종은 시닥나무, 나래회나무, 미역줄나무, 마가목, 당단풍, 회나무, 주목, 신갈나무등이었다. 관목층에서는 미역줄나무가 우점종으로서 나타냈으며, 주요 구성종은 미역줄나무, 붉은병꽃나무, 시닥나무, 나래회나무, 물참대, 함박꽃나무, 괴불나무 등이었다. 초본층에서는 조릿대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조사구 구성 종에 대한 생물형은 Ph-D1-R5-e형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역의 교목층과 아교목층에 대한 흉고직경급 분석 결과 주목 천연림 군락은 장래 신갈나무를 중심으로 한 음수 교목성 수종에 의해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미역줄나무와 같은 덩굴성 수종이 방해수종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천연림 보육 작업과 같은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484.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체표면에서 분리한 E. coli O157;H7 CDF1, A. sobria CDF3, S. aureus CDF2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E. coli O157:H7 CDF1와 A. sobria CDF3는 NaCl 4% 이상 농도에서 성장이 억제된 반면 lactic acid 0.1%는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 aureus CDF2은 NaCl 농도 4%에 의해 성장이 뚜렷하게 억제되지 않았으나 lactic acid 0
        485.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biotic and antioxidant effect of botanical antimicrobial agent-citrus product(BAAC) prepared from citrus fruits were investigated by using fishmeats made from pollack and ascidian fillet. We inoculated Salmonella typhi into fishmeats that were aferwards treated with BAAC varying the concentration level (50-500ppm) including the control not-treated with BAAC. While specimens were stored at 5 for designated period, we measured changes of total number of bacteria, peroxide level and textural properties. In addition, we performed organoleptic examination, focusing on appearance, texture and odor for fishmeats treated with BAAC and stored for designated period. For pollack and ascidian fishmeats, the initial total number of bacteria were 3.7l0CFU/g and 7.5l0CFU/g, respectively. After they were treated with 250 ppm of BAAC solution and stored for 5 days at 5, the figures reduced to 2.5l0CFU/g and 8.410CFU/g. No bacteria were found in fishmeats treated with above 500 ppm of BAAC, which remarkably proved antibiotic effect of BAAC solution. Furthermore, all the BAAC-treated specimens exhibited notable antioxidant effect. Fishmeats which were previously treated with 500 ppm of BAAC solution and stored for 30 days at 5, showed the lower peroxide level of 16.5 meq/kg than 68.9 meq/kg in the control of pollack and 21.2 meq/kg than 80.7 meq/kg in the control of ascidian. In the results of texture and organoleptic evaluation we could also observe good effects of BAAC on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fisher products.
        490.
        200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491.
        2003.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에서는 가공 두부를 천연항균소재인 자몽종자추출 물의 유도체에 침지 처리한 후 꺼내어 상온에서 저장하면서 가공 두부의 품질(총균수, 수분 함량, 조지방의 함량, 조단백의 함량, 표면색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무처리 대조구와 비교하면서 조사하였다. 천연항균소재의 희석액에 침지처리한 가공두부는 대조구에 비하여 수분함량, 조단백 및 조지방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총균수는 천연항균소재 처리구의 증가폭이 무처리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
        492.
        2003.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딸기를 항균소재에 침지 처리한 후 1% 농도로 항균성 소재를 첨가시킨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필름에 의하여 딸기를 싸서 포장하고 5에 저장하면서 미생물 성장, 부패율, 텍스쳐, 화학적 품질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교해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항균성 소재를 포함시킨 LDPE 필름은 무첨가 대조 필름에 비해 호기성 총균수, 효모/곰팡이수로 측정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생물 증식억제의 효과로 인하여
        493.
        2003.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품질의 최소가공 버섯을 제조하기 위해 여러 가지 천연 갈변저해제를 양송이버섯에 적용하여 최적의 천연 갈변저해제를 선발하고 선발된 천연 갈변저해제를 처리한 최소가공 버섯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천연 갈변저해제 중 천문동, 계피 및 키위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이들 선발된 갈변저해제를 처리한 최소가공 버섯의 저장 중 물리적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갈변도에서는 1% cysteine과 천문동 추출물이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천연갈변
        494.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산 Ca-몬모릴로나이트와 이것으로부터 이온치환에 의하여 합성된 Al-가교몬모릴로나이트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Ca-몬모릴로나이트와 Al-가교몬모릴로나이트를 저면간격, 비표면적, 탈수 및 이온치환 등의 관점에서 그 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d(001) 간격은 Ca-몬모릴로나이트에서는 15.1 a이었으나 Al-가교몬모릴로나이트에서는 18.3 a으로 나타났다. 탈수는 Ca-몬모릴로나이트에서는 350℃ 이하에서 일어났지만, Al-가교몬모릴로나이트에서는 550 ℃까지도 선형적으로 일어났다. BET 비표면적은 Al-가교몬모릴로나이트( 192 m2/g)가 Ca-몬모릴로나이트보다 5~6배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Ca-Na 이온 용액과의 반응에서 Ca-몬모릴로나이트는 Na+ 에 대하여, 그리고 Al- 가교몬모릴로나이트는 Ca2+ 에 대하여 선택성을 보여주었다. Ca-몬모릴로나이트는 Na+ /가 증가할수록 d(001)간격이 감소하다가 Ca 2+와 Na+ /가 같은 양일 경우에 구조적으로 불규칙한 혼합층구조 상태를 보여주었으며 Al-가교몬모릴로나이트는 Ca2+ 의 증가와 함께 d(001) 간격이 선형적으로 감소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499.
        2001.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균력의 우수성이 확인된 천연항균소재인 대황추출물, 황련추출물 및 자몽종자추출물을 시설채소산물인 호박의 선도유지용 표면처리제 및 포장소재로 개발하여 저장실험을 실시한 견과는 다음과 같다. 호박을 항균소재에 침지처리한 후, 항균필름에 포장하고 1에서 저장하면서 저장호박의 경도, ascortbic acid함량, 중량손실을, 미생물 성장도 및 부패율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교해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대조구(LDPE) 필름에 비교
        500.
        2001.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풋고추를 수확하여 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천연항균소재를 이용한 항균용제와 항균포장필름에 대한 각각의 효과와 두 가지를 병행한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풋고추를 항균용제에 침지 처리후 1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항균용제와 항균포장필름에 대한 각각의 효과뿐만 아니라 두 가지를 병행하여 저장하는 경우 상승효과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풋고추의 선도를 유지하는 데에 천연항균소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