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

        43.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색광에 대한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2가지씩의 서로 다른 색광을 조사하기 위하여, 2가지씩의 서로 다른 색광을 조합하여 수조의 양단에서 동시에 광자극을 가했을 때의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조내에서의 능성어의 구간별 분포곡선은 양단구간보다 중앙구간에 많이 모여 대체로 ∩자형이 되었으며, 주야간의 차이가 비교적 뚜렷하였다. 2. 양색광쪽에서의 평균분포차는 8.07%(1.05~22.45%)였고, 주간(3.58%)보다 야간(12.55%)에 더 많았다. 3. 능성어가 잘 모이는 색광은 주간에는 청색, 적색, 백색, 황색의 순이며, 야간에는 적색, 청색, 황색, 백색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조명시간의 경과에 따른 집어율의 변화는 일정한 증감추세를 보이지 않고 계속 불안전하게 변동했다. 5. 두가지 색광에 대한 집어율의 차는 비교적 뚜렷하지 않았으나, 주간보다 야간에 그 차가 심했다.
        4,000원
        44.
        2017.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의 목적은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음절 구조를 대조언어 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보다 효율적 인 한국어 교육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가장 작은 발음 가능 단위 로서의 음절은 기본적으로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위치에 올 수 있는 음성이 제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음절과 관련된 제약 현상으로 기능한다. 한국어는 초성에서 오직 하나의 자음만 이 올 수 있으며 연구개비음 [ŋ]의 출현이 제약된다. 중성에서는 선행 초성의 존재 유무에 따라 이중모음 ‘의’의 출현이 제한된다. 한편 종성 에서는 7 자음만이 출현한다. 반면 미얀마어에서는 음절이 초성, 종 성으로 구성된다. 또한 자음만으로도 음절을 구성할 수 있어서 C, CC, CCC와 같이 자음이 하나에서 세 개까지가 하나의 음절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어떠한 구조를 이루든 음절에는 반드시 성조가 부여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언어는 종성이 실현되지만 미얀마 어에서 는 기본적으로 종성을 허용하지 않는다. 만일 종성이 올 경우에는 성 문음 /ʔ/과 비자음 /m/, /n/만이 허용된다. 이 경우에도 반드시 중성은 이중모음이 와야 하며 각각의 자음과 결합된 성조가 부여된다. 이상과 같은 두 언어의 음절 구조적 차이점은 미얀마 인 학습자에게 음운론적 오류를 야기할 수 있다. 이 경우 대부분의 경우 모국어의 간 섭에 의한 오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음절 유형의 차이점을 고려하 여 발음 교육 모형을 고려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이 이루 어질 것이다.
        45.
        201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본 연구에서는 본류수로의 제방사면경사(ESch)에 따른 광정횡월류위어에서의 흐름변화를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분석하고, 그에 따른 유량계 수산정식을 제시하였다. 제방사면경사는 실제 하천에서의 적용성을 고려하여 1:0.5, 1:1, 1:2를 선정하였다. 제방사면경사가 포함된 광정횡월류 위어의 유량계수산정식은 기존의 유량계수산정식 보다 합리적이고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중회귀분석결과 변수 중 본류수로의 제방 사면경사(ESch)>횡월류위어높이-상류수심비(h/yu)>횡월류위어길이-상류수심비(L/yu)>상류 푸르드수(Fru)의 순서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특히 기존의 연구와 개수로 흐름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인 Froude수가 포함되지 않은 유량계수산정식을 제안하였으며, 그 적용성도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46.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광정횡월류위어 설치 예정지 하류쪽 본류 흐름내에 소규모 보를 설치하는 경우, 위어의 월류량 개선효과를 수리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위어는 선행연구를 통해 월류량 소통능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1 : 1 사다리꼴 형상의 광정횡월류위어를 사용하였다. 위어높이와 수로높이는 각각 0.06 m와 0.2 m이고, 예비실험을 통해 보의 높이를 광정횡월류위어높이의 1/3인 0.02 m로 결정하였다. 하류쪽에 설치되는 보가 위어로 부터 떨어지는 거리에 대한 보의 높이의 비(Bh/Lb)가 0.05, 0.025, 0.0167인 경우 월류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보의 위치가 위어에 가까울수록 단위폭당 월류량이 많아졌으며, 각 8.1%, 5.4% 및 3.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광정횡월류위어 유량계수식에 Bh/Lb를 매개변수로 추가하여 새로운 유량계수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선행연구 및 기존 연구자들의 실험자료와 본 실험의 연구자료를 비교하였으며, 측정된 월류량과 계산된 월류량을 비교하여 새롭게 제안하는 유량계수식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47.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광정횡월류위어의 정확한 월류량을 산정하기 위해 직사각형, 1:1 및 1:2 경사 사다리꼴 위어에 대한 형상별 흐름특성을 수리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흐름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사면경사가 작을수록 흐름이 안정적이었으며, 각 형상별 위어 월류량의 경우 직사각형 형상보다 1 : 1 및1 : 2 사다리꼴 형상에서 각 5.67% 및 8.57% 가량 증가해 홍수배제 능력에서도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유량계수식에 횡월류위어 형상에 대한 매개변수
        48.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De Marchi 유량계수 개념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개수로에서 광정횡월류위어 유량계수에 대한 위어 상류단 프루드수(), 위어 높이(h), 위어 길이(L), 위어 폭(W), 본류 폭(B)의 영향 및 예언횡월류위어의 유량계수와 광정횡월류위어의 유량계수의 상관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폭이 넓은 개수로 흐름 조건에서는 본류 흐름 조건의 영향이 약화되고 위어 자체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한 영향이 강화되기 때문에 예연횡월류위
        49.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다리꼴단면을 가진 광정횡월류위어에서의 흐름특성을 3차원 수치모의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본류 수로의 푸르드수가 증가함에 따라 월류유량비와 횡월류 유량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횡월류 유량이 증가하면서 월류부 하류 수로의 주흐름구간은 축소되며,횡윌류위어의 대안 측에 형성되는 재순환영역의 크기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횡월류위어 측에서의 주흐름방향 수위분포는 위어 시점부에서 급격히 하강하여 점차 증가하다 위어 종점부에서 급격히 상
        50.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부화 후 67일 동안 대서양산 Haddock, Melanogrammus aeglefinus 치어의 초기성장을 조사하여, 본 종의 발생생물학과 양식 측면에서의 정보 제공하고자 한다. 전장성장은 , TL은 전장이며, X는 부화 후 표본시일), 체중성장은 , BW는 체중이며, X는 부화 후 표본시일)로 각 성장들은 지속적인 성장을 보였다. 체고와 가슴지느러미 길이는 연속적인 성장을 보여 체고성장은 , BD는 체고이며, X는 부화 후 표본시일
        51.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velops an argument for the M-merger of Movement based on consideration of Holmberg`s Generalization[HG], well-documented constraint on object shift in the Scandinavian language. Assumed head-movement and phrasal movement are the same thing, Head undergoes movement to SPEC of XP in a same way as XP does. From the SPEC of XP, it is argued that head-merging operation called M-Merger happens. If Object is placed in the SPEC of XP, objects also undergo head-merging operation with verbs under rich morphological formations such as Icelandic full DP or Weak pronouns in mainland scandinavian. This operation assumed to be a morphological process showing a different pattern to that of syntax, which gives the reason why object shift shows the mixed nature in syntactic phenomena. It is argued also that the characterization of HG presented here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M-Merger.
        52.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i-Ryong, Lim. 2003. The Metaphorical Conceptualisation of Basic Emotions in Korean. Studies in Modern Grammar 32, 141-16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metaphorical aspects of basic emotional expressions, focusing on the meaning extension of verbs, in terms of experientialism and folk models of cognitive linguistics. In this study the aspects of the metaphorical conceptualisation of basic emotions in Korean have been explored concerning six classes of verbs expressing `anger`, `fear`, `hate`, sadness`, `joy`, and `love` based on the semantic extension of a target domain by a source domain. The results of 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urce domains applicable to all the basic emotions are `a fluid in a container`, `a thing`, `a plant`, and `food`. Second, such source domains as `a fluid in a container`, `a thing`, `a plant`, and `food` have a scenario of `the occurrence of an emotion` → `its growth` → `its disappearance`. Third, conceptual metaphors by `a fluid in a container`, `food`, `an enemy`, `a natural force` are based on physiological metonymy. Fourt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aspects of metaphorical conceptualisation of negative emotions and positive ones.
        53.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yung-Hee Kim. 2003. Lexical Contact between Spanish and Catalan. Studies in Modern Grammar 31, 173-187.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Spanish and Catalan exchange their lexical influences. Through the history, Spanish has always dominated Catalan. We intend to take lexical evidences to prove the their historial relation and to predict their future. Recently Catalan is supported by political and economical powers, but what we observe in linguistic aspects is that the natural trend is destined for the simplification of Catalan lexical system, adopting it to that of Spanish. We also show the bilingual speakers` attitude in selecting lexical forms.
        54.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im Myung-Bae. 1997. Uno studio `sull`origine dei soggetti nulli in italiano. Studies in Modern Grammatical Theories 11: 57-77. L`uso dei pronomi, nel fiorentino antico dal Duecento al Cinquecento, era molto piu´ frequente, forse addirittura obbligatorio in certi contesti. In linea massima si puo´ stabilise una generalizzazione di questo tipo: l`italiano moderno a il Latino hanno un minimo di pronomi e un massimo di pro. L`italiano antico(il fiorentino) aveva un use piu´ largo dei pronomi. Il fiorentino moderno ha i pronomi obbligatori come il francese. Nei testi del Cinquecento, possiamo osservare che i pronomi sono estremamente frequenti. Questo fenomeno va considerato come un tentativo di rimediare alla liberta´ sintattica dovuta al declino della legge Tobler-Mussafia. Ma subito dopo esso viene annullato dal declino rapido dells sintassi `Tobler-Mussafia` e dalla costituzione dei diversi patterns dell`intonazione chiari a regolari in italiano. Cio´ spiega l`origine dei clitici soggetto del fiorentino e il germe dei soggetti nulli dell`italiano moderno.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