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

        41.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42.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안강망어패의 흠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새로 설계된 어구의 모형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실물 크기의 시험어구를 제작하여, 그 전개성능에 관한 해상시험을 실시함과 아울러 선미식 조업방법의 가능성과 문제점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1. 어구의 전개성능 시험어구가 현용 어구와 다른 점은 그물의 등판.밑판의 아궁이 쪽을 만곡되게 사단하여 성형율이 25%정도 되게 뜸줄과 발줄을 붙이고, 양옆판의 아궁이쪽의 뻗힌 폭을 20%정도 줄이는 대신에 옆구리의 폭을 10%정도 크게한 점, 전개장치의 높이를 현용어구보다 17%정도 작게 한 점, 전개장치의 상단에 붙이는 부력을 16%정도 크게 한 점, 또 각판의 그물감을 서로 잇대는 네모서리에는 적당한 성형율을 주면서 힘줄을 붙인 점, 네갈랫줄의 길이를 맨 아랫것부터 차례로 75m, 77m, 80m, 78m로 다르게 한 점등이다. 어구의 전개성능은 어군탐지기를 써서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 망구의 전개높이는 시험어구가 유속이 비교적 느릴 때는 현용어구보다 3m 정도 낮으나, 다소 빠를 때는 오히려 1m 정도 더 높고, 망구의 전개간격은 시험어구가 현용어구의 1.4배 정도이며, 망구의 전개면적은 1.3~1.6배여서 시험용어구가 현용어구에 비하여 어획성능이 상당히 클 것으로 기대된다. 2. 선미식 조업방법 선미식조업은 시험선의 선수를 조류에 향하게 해 놓고, 그물은 선미 슬립웨이에서 투양망하며, 전개장치는 선미갤로우스의 양현쪽에 있는 톱로울러를 통한 돋움줄에 의하여 오르내리게 하였다. 이와 같이 선미식 조업방법으로 개량하면 기계화로 성역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조류와 바람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을 때는 전개장치와 그물이 서로 얽힐 우려가 있으므로 이 점을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4,000원
        43.
        198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재식성안강망 그물은 본 연구의 제1보에서 그 1/20 크기의 모형어구를 측정.조사한 결과, 몇 가지 흠함이 규명되었으나, 여기서는 그 흠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망지배치와 구성을 새로하고, 그 1/20크기의 모형어구를 써서 전개장치를 측정.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새로 설계된 어구의 특징은 (1) 망지배치는 등판.밑판.양 옆판의 앞끝을 재뢰식보다 20%정도 줄이고, 옆구리의 폭을 10%정도 늘였으며, 등판.밑판의 앞쪽 중앙부는 길이의 20%정도까지 만곡되게 사단했다. (2) 뜸줄.발줄의 길이는 망지배치상 재뢰식보다 6%정도 짧게 했다. (3) 그물의 네모서리에서 적당한 성형을 하면서 힘줄을 붙였다. (4) 전개장치의 높이는 재뢰식보다 17%정도 짧게 했으며, 상단에 붙이는 뜸의 부력은 20%정도 크게 했다. (5) 네갈랫줄의 길이는 중앙부의 것을 길게, 상하의 것을 짧게 했다. 2. 이 어구로서 측정한 결과는 (1) 등판.밑판 앞쪽 중앙부의 구김살이 제거되어 상면에서 본 그물 언저리 선이 원활해 졌다. (2) 망구의 전개 높이는 재뢰식보다 3%정도 커졌다. (3) 망구의 전개간격은 재뢰식보다 1.5~1.6배로 커졌다. (4) 유체저항은 재뢰식보다 10~17% 작아졌다
        4,000원
        44.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산시 선적의 근해안강망 어선에서 사용하고 있는 어구의 1/10, 1/20 모형을 제작하여 흐름이 비교적 빠른 연안에서 전개상태를 측정 및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개장치의 전개높이, 전개간극 등은 네갈랫줄의 상대적 길이에 따라 상당히 다르며,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바와 같이 네갈랫줄의 길이를 길게 하고, 맨 위쪽 줄의 길이를 그 보다는 짧게한 방식이 효과적이며, 가장 효과적인 것은 갈랫줄의 길이를 아래로부터 차례로 맨 아랫것 보다 5%, 9%, 4%씩 길게 한 것이 전개 높이, 전개간극, 전개면적 등의 모든 면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2. 흐름이 빨라지면 등판과 밑판의 평면형상은 뜸줄과 발줄이 아주 심하게 만곡되고, 그물 길이의 2/5 정도까지는 망지가 뒤로 많이 쏠려서 망구에 있어서의 물의 여과를 혼란시켜 어군의 입망을 방해할 것 같고, 또 밑판이 해저의 장애물에 걸렸을 때는 파망의 우려가 크다. 3. 유체저항을 실물어구의 것으로 환산하면 R=29.2×103 v1.65 이라고 표현되고, 이것을 그물의 설계상 구성요소를 고려한 식으로 바꾸면 R=5.9×d/l×abv1.65 이라고 표현된다.
        4,000원
        45.
        197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南大洋의 크릴(krill)資源에 關한 本格的인 調査는 1961年 소련이 처음 着手한 以後 日本을 위시한 各國이 參與하고 있다. 1968年 現在 南大洋의 調査에 參與하고 있는 國家는 漁業에는 日本 소련 서독 프랑스 臺灣 칠레 폴란드等 7 個국이, 處理加工 誠驗에는 노르웨이 덴마크 모나코 남아프리카等 4 個國이고, 그외 美國 알젠티나等이 資源硏究所 設立計劃과 資源評價및 技術練修등을 計劃함으로써 모두 13 個國이다. 그 중 日本 1961年에 東京수산대학의 “우미다까마루”로써 南大洋의 綜合的인 海洋觀測과 調査를 實施한 것이 시초이나. 本格的인 調査는 1972年 海洋水産資原開發센터에 의하여 着手되어 現在까지 6年째에 이르렀다. 1972~75年間은 試驗 및 漁場開發段階에 不過했으나, 1976年~1977年은 企業化로써 採算面에서 收支가 맞는 企業漁業으로 成長하였다. 試驗 및 漁場開發段階에 不過했으나, 1976年~1977年은 企業化로써 採算面에서 收支가 맞는 企業漁業으로 成長하였다.
        4,000원
        46.
        197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200원
        47.
        197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Around the Jeju Island, 214 fish species are described by some authors, of which 53 species are regarded as major fishes for the object of commercial fishing. 2. Major fishing method around the Jeju Island are scoop net for anchovy, gill net for mackerels, long line for sea breams. For large pelagic fishes such as yellow tail, tolling method are expected.
        4,000원
        48.
        196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y way of the practical use of the electrical fishing in salt water, all the data I could collect were carefully compared from the earliest kuehne's studies for protoplasm to the precent kreutzer's for electrotaxis of aquatic animals. The consequences are as follows: All the cold blooded animals are forced to move toward the positive pole in the path of an electrical current flowing from pole to pole which has brought about the possibilities of electrical fishing. This method has been found to be practical in fresh water, but there are some obstacles in utilizing the method in salt water especially because of the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consumed. In order to remedy the large power consumption, an intermittent current or pulsive current which stimulate the fish most effectively has been tested, but a few electrical quantative values in detail as to the current intensity and wave forms or any quantativ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have been made public. According to kreutzer's theory and the above tests, the synthetic observation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1) The was form of the pulsive current which gives the fish an electric shock most effectively is an almost right angled triangle with a vertical rise from null and a much slower decay. (2) The pulses are let repeatedly after recovering shock on the fish as following figure to minimize the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consumption, the recovering provides the next shock effectively by Weber-Fechner's law on psychophysics. Though wave head rises highly vertical, the decaying wave trails and the inter-mittence of electric current prevent the large consumption of power. (3) The electrotaxis rate among the school of fish is given by Tauti's formula. r=1/√2π σ∫o A log v/voexp{-1/2(x-xo/σ)2dx Where r is an electrotaxis rate, xo a certain sensibility of fish caused at arbitrary voltage stimulation made electrotaxis, x a mean value of the sensibility of fish at the front of fish school, and A log v/vo a mean value of sensibitity of fish at where the voltage is v by Weber-Fechner's law, where vo is an original voltage, A a constant, and σ a standard deviation. The electrotaxis rates are given as above if we regards the distribution iof electrotaxis rate as normal.
        4,200원
        49.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본에서는 이승만라인(평화선) 및 독도에 관한 오해가 심하다. 특히 이승만라인 선포는 그 당시 ‘공해 자유의 원칙’에 어긋난 불법 행위였다는 이해가 거의 일본인의 공통된 인식으로 되고 있다. 이 글은 최신 일본 자료를 활용하여 그런 오해나 이승만라인이 선포된 배경과 경위, 경과 등을 검증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 세계 각국은 일본의 해적어법 및 약탈어업의 피해를 입었다. 이 때문에 미국은 일본의 약탈어업을 염두에 두고 대전 후 곧 트루먼선언을 발표함과 동시에 일본 어업을 맥아더라인 안에 제한했다. 이런 정책은 각국으로부터 환영을 받았으며, 각국은 어업관할수역을 설정하는 세계적인 조류를 만들었다. 이 흐름을 타고 한국은 맥아더라인 폐지에 대비해 이승만라인을 선포했다. 이런 움직임에 대해 일본의 대응은 이중적이었다. 일본은 소련이나 중국 등 대국이 선포한 어업관할수역이나, 혹은 일본 어선에게만 제한 조항이 있는 미·캐·일 어업조약 등은 순순히 받아들였지만 ‘약소국’인 한국에 대해서는 일체 어업관할수역을 인정하려 하지 않았다. 이런 태도는 1940년 당시에 일본이 어업을 하지 않았던 보존어장에서는 자발적으로 조업을 억제한다는 일본 자신의 공약에 반한 것이다. 그 당시 일본은 조선 연안에 ‘총독부 라인’을 긋고 보존어장을 설치하고 있었는데, 이는 이승만라인과 비슷한 것이었다.
        50.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역사적 정보에 근거한 분석을 통해 19세기 당시 사변적 음악이론이 작곡실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논의된다. 이를 위해 브람스와 실제 교류가 있었던 하우프트만, 리만 등의 음악학자들의 이론과 사상이 소개되고 이와 관련된 브람스의 작품의 예들을 살펴본다. 이 연구 과정을 통하여 이론적 사상이 작곡가에게 미학적으로 어떻게 수용되고 음악작품 창작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규명된다. 브람스의 클라리넷 소나타 제1번 op. 120-1을 비롯한 후기 음악작품에서 화성의 본질을 다루는 이원론적·대칭적 사상, 변증법적 과정에 의해형성된 연속 3도 사슬, 장3화음과 단3화음의 동등성 등이 작곡기법으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연구된다. 또한 당시 미학적·음향학적 쟁점이었으나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아 현재까지도 묻혀 있던, 배음과 거울관계에 있는 하배음의 속성과 관련된 작곡 기법을 살펴본다. 이연구는 다양한 거울 구조와 기법으로 이루어진 브람스의 작품의 내용을 당시 사변적 음악이론이라는 거울로 들여다보는 과정에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51.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iversity of euphemistic command in English is worth studying if the aim of linguistics is to fully understand the human mind. It is clear that some euphemistic degrees are found among various command-expressions with semantic and syntactic differences although they bear the same message and usage. Euphemism is a generally innocuous expression used instead of offensive or unpleasant one. That is, the aim of euphemism is to alleviate hearers' offensive and unpleasant feelings of something, and the way of euphemism, to express those indirectly. Thus, degrees of euphemism from speakers' attitudes can not but be expressed in various indirect expressions. Syntactic differences show that euphemistic degrees are gradually raised or lowered in accordance with (in-)directness of expressing the same message: questions > statements > directives. And speakers' attitudes also produce the euphemistic degrees of tense and mood: past > present, and subjunctive > indicative > imperative, respectively.
        54.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studies the process of Stravinsky's musical language prior to his most famous work The Rite of Spring was written in 1913. In this work, Stravinsky's diverse musical language and orchestration, evolved through Fire Bird and Petrushka, have matured and became his representative musical style. There are two important events in Stravinsky's life, one is an encounter with Rimsky-Korsakov, and the other is the collaboration with Diaghilev and going out into Paris, France. Rimsky-Korsakov helped Stravinsky understand orchestra and instrumentation accurately, and through this effort, Stravinsky created his unique orchestration style. Stravinsky's first work after studying with this well-informed teacher of orchestration was a symphony, and ballet music such as Fire Bird followed immediately. Quotations of folk melodies and dynamic rhythms, along with orchestration techniques for timbre became more conspicuous in his next work, Petrushka. Therefore, diverse expression styles through the use of Russian folk melodies, and characteristic rhythms all made their way to Stravinsky's inherent orchestration style crystallized in The Rite of Spring.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