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41.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1)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 변인이 소비자의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본 연구의 제 1보의 결과 및 전통적인 디자인 이론들과 비교하고, (2) 소비자 감성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을 위한 레이아웃 프로토타입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두 종류의 꽃 모티브를 세 가지 레이아웃 변인에 따라 컴퓨터 시뮬레이션하여 총 20개의 자극물을 개발하였다. 또한 44개의 형용사쌍으로 구성된 7점의 의미미분척도를 개발하여 세 가지 레이아웃 변인에 따른 소비자의 감성효과를 측정하였다. 피험자는 편의표집된 110명의 20대 여성 소비자였으며, 이들에게 자극물을 제시하고 응답척도에 감성반응을 응답하게 하였다. 총 100부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성분분석, 다변량분석, 삼원변량분석 및 다중비교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은 ‘호오(좋아함-싫어함)·심미감’, ‘액센트감’, ‘온화함’ 그리고 ‘리듬감’의 네 가지 하위차원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는 제 1보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2) 제 1보와 2보의 결과에 따르면, 꽃 모티브의 크기가 큰 비반복배열의 디자인이 다른 디자인들보다 더 ‘온화감’있게 느껴졌다. (3) 제 1보와 2보의 결과를 종합하여, 두 세트의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4,000원
        42.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직물 및 직물 관련 제품에서 주로 사용되는 감성 어휘들의 관계 및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잡지 및 설문 조사 과정을 통해 어휘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어휘의 빈도를 조사하고, 어휘 적절성을 평가하여 감성어라고 생각될 수 있는 어휘들만을 정리하였다. 여기서 추출된 372개의 어휘는 직물 및 직물 관련 상황에서의 감성어로 사용될 수 있을 분만 아니라 유사 분야의 감성어 모형에 대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어휘들 간 관계구조에 대한 분석은 몇 가지 면에서 이뤄졌다. 자유연상 과제를 실시하여 어휘들 간 관계의 연결망(network)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휘들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의 여러 측면에서 어휘들 간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어휘들에 대해 다차원 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휘 간 관계는 3차원이면 충분히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개의 주차원을 중심으로 어휘들의 공간 분포를 그리고 이들 어휘를 범주로 분류한 결과 대략 11개의 범주로 어휘들을 나눠볼 수 있었다.
        5,200원
        43.
        199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감성공학적 분석 방법론을 고안하여 직물 디자인 분야에 적용하고 그 효용성을 규명하였다.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직물 디자인요소와 이와 관련된 감성어휘를 수집하고 직물디자인요소계층도를 구축하였다. 수립된 직물디자인요소계층도상의 디자인요소에 관한 상대적인 중요도를 조사하여 디자인 요소별 가중치를 산출하고, 특정 디자인에 대하여 총체적인 감성수준과 디자인 요소별 감성수준을 측정한다. 측정된 요소별 감성수준을 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으로 종합한 감성수준을 비교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분석 방법론은 사전정보와 기술요소정보를 유기적으로 결합한 기반이 될 수 있는 합리적, 과학적인 개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의를 갖는다.
        4,200원
        44.
        199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제 1보에서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두 레이아웃 변인 (모티브 크기와 반복 배열 방식)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 감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이러한 분석결과를 시장현황 조사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 2보네서는 제 1보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시키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을 위한 지침과 디자인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 기법이 감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스카프 디자인에 있어 레이아웃 기법 전개에 관련된 실증적 지표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사변적 또는 미학적 접근이 주류를 이루었던 기존의 스카프 디자인 연구 분야에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감성과학 이론이 섬유 제품 디자인 개발에 유용한 방편으로 적용될 수 있는가에 관한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4,200원
        45.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품디자인의 완성도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수많은 요인이 존재한다. 그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감성디자인 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차세대(Next Generation)들의 추세는 감각적이고 감성적인 구매 충동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 트랜드 요소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는 제품 중에서 차세대 노트북을 선정하였다. 차세대 노트북디자인 개발과정에서 감성디자인 트랜드 요소들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디자인 아이디어 도출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과정들을 디자인 사례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따라서, 논문의 연구내용은 노트북 특성에 따른 감성디자인 개념을 이해하고 차세대 노트북디자인 개발에 의한 감성디자인 트랜드 요소를 분석하고 도출한다. 이를 차세대 노트북디자인 안에 어떠한 방법으로 접목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의 목적은 필수적인 감성디자인 트랜드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바탕으로 감성디자인 요소를 차세대 노트북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실무적인 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는 차세대 노트북디자인을 위하여 감성디자인 트랜드의 개념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헌을 기본으로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한 감성디자인 트랜드를 적용한 실질적인 차세대 노트북디자인 개발과정을 실행하는 방법으로 연구범위를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이 연구를 기반으로 차세대 노트북디자인만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신제품 개발에 활용함으로써 디자인 발전에 이바지할 것이다.
        46.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사회적 약자(특히 아동과 여성 등)를 대상으로 한 강력범죄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발생하고 있어 범죄예방에 대한 공간 환경조성의 중요성이 정책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주거단지 내에 야간 범죄예방을 위한 공간의 환경조성 및 설계에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취약지역에 여성안심골목길 ‘안심등’은 단순히 어두운 골목길을 밝혀주는 일차적 목적 외에 지역문화의 거리조성으로 도시환경개선에 대한 기대치도 담고 있다. 디자인은 우리 생활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기술·문명의 밀접한 관련에서 정보의 신속하고 정확한 전달 및 제품의 시각적인 면에서도 디자인은 필요하다. 또한 환경디자인은 우리들의 안전한 생활환경을 형성하는 데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수원시 팔달구 행국동 주택가 ‘안심등’에 감성 손 글씨를 중심으로 여성안심귀가를 위한 골목길 조성에 관한 국내외 사례를 연구하고 그 중요성과 가치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첫째, 여성안심골목길 조성과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디자인(CPTED)의 ‘안심등’에 감성 손 글씨 활용을 제안한다. 둘째, ‘안심등’의 다양한 형태에 각각의 다른 글귀를 담아 지역 특성의 문화와 스토리로 관광자원으로 확대되고, 범죄로 부터 안전하여 사회적 약자(특히 아동과 여성 등)들의 삶이 질적으로 향상 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연구의 결과로 국내외 여성안심골목길 조성사례를 통해 각 지방자치단체들의 침체된 지역상권의 활성화와 원도심 골목길 개선으로 다양한 문화콘텐츠가 개발되기를 제안한다.
        4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시각적 미를 추구하는 행위’로 디자인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하였다. 출판물 구매에 있어서도 인터넷과 정보통신의 발달로 블로그나 SNS 등 온라인 매체를 통해 검색하고 주문한다. 책 표지 디자인에 있어서 표제는 책이 담고 있는 내용과 성격을 드러내는 얼굴과 광고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출판사의 판매증진의 수단으로 이미지 형성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감성 손 글씨는 책 표제(북 커버), 예술 작품, 생활 소품, 광고 등 여러 분야에서 디자인과 접목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책 표지 디자인에 있어서 표제의 중요성과 가치를 알아보고 둘째, 책표지 디자인의 제목 서체에서 감성 손 글씨의 제시와 독자들에게 구매의욕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독자의 선호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은 한국지역출판문화잡지연대(이하 ‘한지연’) 회원사의 발행 잡지와 출판물 그리고 수원에서 발행되고 있는 지역공동체 잡지 <사이다>를 중심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책 표제 글씨에 있어서 활자본 16.1%에 비해 감성 손 글씨에 대한 선호도가 83.9%로 높은 차이가 조사되었다. 또한, 책 구매 시 미치는 영향으로, 커버 디자인이 65%로 그 중에 제목이 51%, 레이아웃과 이미지가 31%, 색채, 출판사 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책 커버 디자인의 중요성과 그에 적합한 폰트 및 감성 손 글씨의 활용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중의 선호도와 시대 트렌드를 통한 차별화된 디자인의 역할 또한 중요하며, 서체 개발 및 관련 연구를 통해 책 커버 서제의 독창적인 조형 예술이 구축되기를 기대한다.
        48.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감성 손글씨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표현되고 있으며, 디자인의 한 분야로 이슈화 되고 있다. 더욱 이, 아날로그적 감성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표현하고 해석하며, 디자인의 시각적 영역에 새로운 가치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제품의 광고 및 홍보, 영화 타이틀, 드라마, 책표지, 예술작품, 패션 뿐 만 아니라 생활 소품에서도 여러 분야의 디자 인과 접목되고 있다. 디자인에 있어 정밀하고 기술적인 측면이 요구될 수도 있으나, 인간의 감성이 내재된 감성 손글씨는 전통서예와는 다른 예술성과 상업성, 독창성, 차별성을 요구한다. 예술과 실용의 목적 외에 미래지향적인 자연주의 디자인 과 인간중심의 정서 부활로 새로운 디자인 영역의 확장과 바람직한 미래 창출을 기대한다. 최근에는 자가 치유인 자신을 힐링하고 자존감을 높이며 우울감, 강박감을 극복할 수 있는 예술 치유의 한 분야로도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원시의 자연생태하천의 복원사업으로 정비된 교량명판에 감성 손글씨를 적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시각적 효과를 분석하 였다. 또한 ‘캘리그라피’ 용어의 정의를 ‘감성 손글씨’로 제안을 하고자 한다. 대 도시 중심으로 재정비되는 도시환경개선사 업에 적극 활용과 미래의 창의융합에 결합된 도시환경 디자인 설계와 현 시대의 트렌드에 맞는 문자 디자인의 콘텐츠 개발 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49.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surveyed to 269 respondents for investigating psychological response to indoor foliage plants grouped by four type of design materials. 21 indoor foliage plants grouped as filler, mass, form, and line plant, are shown to each respondent for surveying the preference and emotion by SD (semantic differential) scale. It was statically significant that the filler plant group was the least preferred one between the indoor foliage plant and the preference of line plant group was the highest. In filler plant Scindapsus aureus is significantly favored, in mass plant Aglaonema crispum and Syngonium podophyllum, in form plant Ficus banghalensis in line plant Dracaena fragrans ‘Lemon Lime’, respectively. The green is the most preferred color of leaf and gray is the least one. When investigated on the major emotions felt with four types of indoor foliage plant with SD scale, filler plant felt as ‘Bright’, ‘Light’, ‘Pale’, mass plant ‘Warm’, ‘Sharp’, form plant ‘Simple’, ‘Luxurious’ and line plant ‘Sophisticated’, ‘Luxurious’, ‘Pleasant’, ‘Soft’ and ‘Fancy’, respectively. This result will be valuable when the indoor garden is designed with an indoor foliage plant.
        5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디자인의 중요한 주제의 하나로 감성 디자인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21세기를 맞이하여 과학과 신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인해 현대는 전자정보 사회로 변화하고 있고 신매체의 등장으로 대뇌적 문화에서 감각 위주의 시각언어 시대로 바뀌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건축 공간의 다양한 파사드 연출은 디지털 환경과 미디어, 유비쿼터스 등의 정보기술과 투명성 등을 활용한 건축적 조형언어로 작용되며 의장적인 다양함과 변화, 공간의 풍부함을 느끼게 하는 가장 현대적인 도시환경의 패러다임으로 주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건축공간에서의 적극적인 미디어와 디지털 정보기술의 접목은 공간의 시각적인 인터페이스 기능을 더욱 발전시키고 가속화 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나아가 건물의 파사드가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도시환경과의 상호작용의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며 건축공간을 체험의 대상으로 규정하여 감성적 가치를 부여하게 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 파사드 디자인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불투명한 재료보다는 투명도가 있는 재료가 인간과 건축공간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조절하면서 감성을 상승시키고, 단순한 연출보다는 입체적이며 조형적인 파사드 디자인이 신선한 감성을 자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2.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20대들의 연중행사로 가장 큰 발렌타인데이의 선물 포장디자인에 콘셉을 적용한 포장디자인으로 이들의 소비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2009년 9월 9일 대경대학교 제과제빵학과 1학년 여학생 89명, 2학년 여학생 25명 총 114명을 대상으로 12시부터 14시까지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선물에 대한 일반적 질문에서 대부분 선물을 하는 편이었으며 구입 장소는 주로 전문매장과 할인매장이었다. 선물구입에 지출핸 금액은 1만원-3만원 정도가 대부분이었다. 선물에 있어서 98%이상이 선물 포장디자인이 꼭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비용을 부담해서라도 포장디자인을 하겠다는 응답자가 85% 이상으로 선물에 있어 포장디자인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물포장 시 소비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디자인이었으며, 선호하는 색상은 빨강과 흰색, 하늘색이었다 선물 구입 시 포장디자인이 마음에 들면 비싸더라도 구입 하는가 라는 질문에서 대부분이 구입한다는 응답을 한 결과로 보아 포장디자인이 구업에 직접적인 영향올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렌타인데이 선물포장디자인에 생화 사용이 생동감 표현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 감성 질문에 있어 선물포장을 합으로 선물하는 이의 정성이 충분히 전해진다는 응답이 98%, 작품을 보고감성에 영향을 받았다는 응답자가 95% 이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발렌타인데이 콘셉을 적용한 선물포장디자인이 소비감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4.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door space is not just functional mean, it is watched with deep more concern as ecological and emotional design. Designed and executed indoor theme garden in Yawoori department store, 20 ages were major customer, with objective on differentiation of it's image. The inner side of department store is not suitable for plants growth, but establishment period is relatively short with 3 months. Its results of establishing indoor garden, all customer, clients, and employee were satisfied, and its accompanied effectiveness on event of department store. Therefore, indoor garden has potential for generation of images , and visitor or customers's amenity. And it also makes possibility of coexistence human with plans.
        55.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ternal organs are in a game paduk[go] to play on a printing, and a poker, Korean playing cards having cards we. And I am with all kinds of electronic amusements to do a computer with a partner and baseball, soccer, golf, tennis, several hundred to enjoy in a stadium. Most games except a computer game are local, and a case to receive a courtship is in a game during this because I need time, personnel (the other party)? and a game tool. But a computer game is single, and a game is possible, and a number for the merit that can easily play a game by an offer of all tools is, and for this reason a lot of games to enjoy in a computer please be, and it has been transplanted. I do I in order to announce that interface of a game studied a problem and an improvement plan to have let there be a few I (to game interface) if a game is ported with a computer in this study by thi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