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

        41.
        200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포츠 조직에서 리더와 함께 조직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고교축구선수를 대상으로 폴로어십 개념적 구조 모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교축구선수의 폴로어십 개념을 알아보기 위해 266명의 개방형 설문과 10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교축구선수들의 폴로어십 개념을 원자료에 대한 귀납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일반 영역과 18개의 세부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고교축구선수들의 폴로어십 개념을 추출한 결과 개인-관계(185, 25.3%), 집단-관계(247, 33.8%), 개인-목표(178, 24.3%), 집단-목표(121, 16.6%)로 나타났다. 또한 폴로어십의 개념구조 모형을 탐색하기 위하여 700명을 대상으로 폴로어십의 각 요인별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사하였으며, 측정질문지의 개념구조를 알아보기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과 고교축구선수의 폴로어십 개념구조 모형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교축구선수의 폴로어십 개념을 표현하는 원자료를 바탕으로 폴로어십 문항을 제작한 결과 68문항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교축구선수의 폴로어십 측정 문항들의 평균은 2.854.32로 나타났으며, 표준편차는 .6351.251로 나타났다. 셋째, 고교축구선수의 폴로어십 측정 질문지는 4개요인(개인-관계, 집단-관계, 개인-목표, 집단-목표)의 22문항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교축구선수의 폴로어십 측정 질문지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 값들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교축구선수들의 폴로어십은 개인-관계(이해/존중, 복종/순종, 예의/공경, 따돌리지않기), 집단-관계(희생/봉사, 협조/격려, 신뢰/우애, 솔선수범, 자부심/소속감), 개인-목표(자기관리, 승부근성, 인내, 집중, 자신감), 집단-목표(규칙준수, 개인행동자제, 책임감/성실)등으로 나타났다.
        43.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지도 효능감의 개념 구조를 확인하고 서구에서 개발된 스포츠 코칭 효능감(Feltz 등, 1999)과 한국형 코칭 효능감(박정근, 1996)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전국 소재 태권도 도장 지도자 90명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지 반응을 귀납적 내용분석 하였으며, 여기에서 얻어진 130개 문항을 2차 수정과정을 거쳐,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조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요인탐색에서 5개 요인에 21개 문항이 탐색되었고, 최종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기술지도, 동기유발, 지도자 수양, 지도자 상담으로 네 개 요인에 총 19개 문항을 확정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합도 지수 값들이 대체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한국 태권도 지도 효능감의 개념은 기술지도, 동기유발, 지도자 수양, 지도자 상담 요인 등 네 개의 일반영역으로 구성되며, 스포츠 코칭 효능감의 개념구조와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44.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 투기종목 선수들의 정신력 개념을 탐색하고, 정신력을 측정할 수 있는 한국형 정신력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1에서 정신력 개념에 대한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495명의 설문조사와 5명의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투기종목 선수들의 정신력은 인내력, 승부욕, 불굴의 투지, 한계상황 극복, 분투노력 등 다차원으로 구성되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연구 2에서 정신력의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486명을 조사하여 정신력의 각 요인별 신뢰도와 타당도(수렴 타당도/변별 타당도),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하위요인(승부욕, 분투노력, 인내/끈기, 불굴의 투지)으로 나타났으며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요인구조 적합성을 검증한 결과 적합도 지수 값들이 적합한 것을 나타났다
        46.
        198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생물 교육학의 영역과 범주를 논의하고, 그 내용의 개념적 구조를 체계적으로 기술하고자 생물 교육학을 10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는데 각 영역은 그 중요도와 내용의 분량이 동일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생물 교사로서의 자질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모든 영역에 대한 균형 있는 지식과 능력의 숙달이 요구된다. 실제로 생물 교육학을 예비 생물 교사에게 강의하게될 경우, 10개의 영역을 대체로 앞에 제시된 순서대로 강의를 진행하되, 생물 교육사는 다른 모든 영역에 우선하여 강의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10개 영역의 중요도와 내용 분량이 다른 만큼 각 영역별 할당 시간을 교육 목표와 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배분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 조사를 근거로 필자의 견해를 정리, 기술한 것이므로, 여기 제시된생물 교육학의 내용 구조에 다소 이견이 제시될 수 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생물 교육학 연구가 활발치 못한것이 국내 실정이므로 본 연구가 생물 교육학의 학문적 체제 확립에 일단의 기여를 하게되리라 생각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