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9

        42.
        201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10년간(2004~2013) 이륜차 교통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승용차의 교통사고 비율은 연평균 0.1% 의 증가한 반면 자전거와 이륜차 교통사고는 5.7%에 해당하는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 및 이륜차 교통사고의 경우 승용차에 비해 치사율이 2.7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사고감소를 위한 대책이 필 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 및 이륜차 교통사고 중 사망사고 이력자료를 바탕으로 사고 발생 원인과 사고특성을 분석한다. 분석에는 도로교통공단에서 제공하는 교통사고 통계자료(교통사고분석시스템(TASS))를 이용하였다. 단순 통계분석이 아닌 교통사고GIS 자료를 이용하여 개별 사고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여 사고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자전거 및 이륜차 사고 특성 분석결과 교차로와 단일로 모두 차량과의 측면 직각 충돌에 의한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측면 충돌에 대한 사고 원인을 분석한 결과 교차로와 단일로 모두 전방주시 태만, 핸들 과대조작과 같은 안전운전 불이행으로 인한 측면 충돌에 의한 사망사고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어서 신호위반, 과속 등과 같은 원인이 높게 분석되었다. 연령별로는 65세 이 상의 노인 운전자의 교통사고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013년도 기준 65세 이상의 노인 사 망자수는 전체 사망자수 중 43.2%로 분석되었고 중상자 및 경상자수 또한 전체의 22%에 해당하는 결과 를 보여 다른 연령대에 비해 사고심각도 또한 높게 분석되었다. 사고 유형별로는 도로이탈, 공작물 충돌 과 같은 사고의 치사율이 높게 분석되었으며 이는 조금만 속도가 높아도 도로를 이탈하거나 공작물 충돌 사고를 야기할 수 밖에 없는 자전거와 이륜차의 구조적 특성에 의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 및 이륜차 교통사고 발생원인 및 특성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향후연구로 자전 거 및 이륜차의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ʻ자전거 대 차ʼ, ʻ차 대 자전거ʼ의 사고를 미연에 경고할 수 있는 ʻB2Xʼ 서비스 개발을 제안한다.
        43.
        2015.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교통사고는 2013년 한 해 동안 총 215,354건이며, 최근 5년간 교통여건 및 교통안전정책의 발전으로 평균 1.84%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OECD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2012년 기준으로 OECD평균인 310.4건에 비해 약 1.4배 많은 447.3건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이는 교통사고가 아직 심각한 문제로 자리 잡고 있으며,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근본적인 원인 규명과 대안이 필요하다. 기존 진행되어 왔던 교통사고에 대한 연구는 단순히 인적요인, 차량요인, 도로환경 요 인과 같은 점, 선적인 여건들을 중점으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는 근본적이 해결 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여건들이 반영되어야 한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다양한 여건들을 아우르는 지역적 특성과 함께 복합적인 요인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공 간적 범위 대상지를 청주시로 하고, 면적인 차원에서의 토지이용변수를 활용하여 존별 특성을 반영한 교 통사고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주시의 30개의 행정동을 존으로 구분하여 각 존별 토지이용 과 교통여건, 사회경제적 특성을 변수로 활용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4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bridge section of the expressway has a worse driving environment than the general section. However, traffic safety countermeasures are focused only on the bridge section. Traffic safety countermeasures on the section before entry to the bridge and the section after exit from the bridge are applied only when the bridge has a long-span section. Accordingly, this study will verify the necessity of extending the application of traffic safety countermeasures to areas that are affected by the bridge. METHODS: This study determines the areas that are affected by the bridge as well as the areas that are affected by locations with frequent traffic accidents and suggests the risk factors by affected areas through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For the analysis, traffic accident data for 3 years, which occurred on bridge sections in six major expressway lines, were used. RESULTS: The numbers of traffic accidents were 469 before the bridge, 281 on the bridge, and 468 after the bridge. The variables that have impact on the seriousness of accidents are as follows: speeding, excess manipulation of the steering wheel, and failure to secure safety distance for accidents that occurred before the bridge section; speeding, excess manipulation of the steering wheel, and dozing off for accidents that occurred on the bridge; and speeding and failure to secure safety distance for accidents that occurred after the bridge section. CONCLUSIONS : Areas affected by the bridge show higher accident rates than the bridge section; therefore, imposing traffic safety countermeasures on the integrated section of the bridge and the affected areas is required.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suggested in this study could be effectively used in the prevention of traffic accidents by imposing custom-made safety countermeasures for each section.
        4,000원
        45.
        2014.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알칼리 활성 시멘트 콘크리트는 비소성 무기결합재와 알칼리 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를 의 미하며,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콘크리트 ․ 플라이애시 기반 지오폴리머(Geopolymer) 등을 포함하는 넓 은 범주의 의미로 사용된다. 비소성 무기결합재에는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메타카올린, 점토 등이 많 이 사용되며, 최근에 성능향상을 위해 실리카흄을 일부 사용하기도 한다.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는 결합재의 타입에 따라 요구되는 알칼리 활성제의 양도 달라지며, 또한 그 방응 생성물도 큰 차이를 보인다. 또한 알칼리 활성제 에 따라 강도발현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이 러한 특성을 이용한다면 콘크리트 유지보수재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건조수축이 크고, 조기탄산화에 따른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결합재의 품질변동성이 크다는 단점이 지 적되어 왔다. 이와 함께 도로포장에서 중요하게 평가되는 내구성능과 관련하여서는 기존 연구가 많이 이 루어지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의 강도발현과 내구특성 비교를 통해, 도로포장 유지보수재료로 활 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적용가능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결합재 타입 및 구성에 따른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의 물성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그림 1과 2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나타내 것과 같 이 일반 슬래그 기반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24시간에 압축강도 21MPa 이상을 나타내었으나, 개질슬래그 기반 콘크리트의 경우 6시간 안에 21MPa이상을 나타내어 조기강도발현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장기강도 측면에서는 일반 슬래그 기반 콘크리트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염소이 온침투저항성 실험결과에서는 개질슬래그 기반 콘크리트가 일반슬래그 기반 콘크리트에 비해 투수저항성 이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질슬래그 기반 콘크리트의 경우 재령 7일에 2,000쿨롱이하, 28일에 약 1,000쿨롱 정도로 측정되어 콘크리트 유지보수재료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표면박리저항성 실험결과에서도 개질슬래그 기반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가 가장 박리량이 적었으며, 특히 실험종료 후 박리량이 1kg/㎡ 이하를 나타내어 박리저항성이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4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door air quality in public facilities has been well maintained as consciousness of facility owners is improved.However, the risk of PM2.5 and heavy metals in particulate matters have not been highlighted until now. So weinvestigated the particulate matters on major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such as subway, port and bus terminals.And we tri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ility groups by comparing the mass and metal concentrationbetween PM2.5 and PM10. As a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concentration of indoor particulate matters andthat of outdoor particulate matters shows higher strength in the case of bus terminals and port platforms thansubway platforms. However the total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s and heavy metals were much higher insubway platforms than that of terminals and port platforms.
        4,000원
        48.
        2013.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고속도로의 기하구조는 기본적으로 기본구간, 엇갈림 구간, 연결로 접속부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구간 은 엇갈림과 합류 및 분류 차량의 영향을 받지 않는 구간이며, 엇갈림구간은 두 교통류가 맞물려 동일 방향으로 상당히 긴 도로를 따라가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엇갈리는 구간이다. 마지막으로, 연결로 접속부는 고속도로 본선에 접속되는 구간이다. 엇갈림 구간과 연결로 접속부 구간에서는 합류 또는 분류 차량으로 인하여 교통흐름이 방해를 받게 된다. 이렇듯, 도로의 기하 구조적 형태에 따라 차로 변경 및 합류되는 차량으로 인해 주행하는 차량들의 교통류 상태는 큰 차이를 보일 것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고속도로 구간에 대해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한 경우 도로의 구조적 형태에 따라 교통류 모형을 달리 적용하여 분석한 경우는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았고, 그로 인하여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FHWA에서 개발된 동적시뮬레이션 모형인 DSP(Dynasmart-P)를 이용하였고, 실제로 고속도로의 구간 유형을 분류하여, 해당 지점의 검지기에서 교통량자료를 수집하였다. 수 집된 교통량 자료를 바탕으로 구간별로 교통류 모형(Greenshiel model)을 정산하여 특성을 비교·분석하 였다. 마지막으로 정산된 교통류 모형을 실제로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실제 교통류 상태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관측된 구간의 통행특성과의 비교, 검증을 실시하여 전국 단위의 고속도로망 분석에 대한 적용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49.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influence of road traffic noise by road slop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ield road traffic noise and determine consideration of road slope in the case of appl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METHODS: This study measures vehicle's noise by the NCPX method at the three field sections such as uphill, downhill, and flatland. Total sound pressure and sound pressure level by the 1/3 octave band frequency are calculated through the raw field data. Total sound pressure level is compared by ANOVA test and T test statistically. The results obtained are compared in accordance with the road slope and the progress of the uphill section. RESULTS : The noise characteristic of early, medium, and last parts of uphill was found to be consistent when the vehicle was travelling uphill section. The result of statistical test, it was shown that total sound pressures are not different each othe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y the geometry, sound pressure of the uphill section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flatland and downhill section in high frequency band. By the result of statistical test, total sound pressure are different according to geometry in the case of high vehicle speed. In the comparison result by road slope, each sound pressure level was found to be consistent in total frequency. However, total sound pressure proportionally increased according to road slope. CONCLUSIONS: It is found that the effect of road slope on noise generation was little in this experimental sites.
        4,200원
        50.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road network structure with traffic growth patterns. The findings is to be used to tweak traffic forecast provided by traditional four step process using relevant socioeconomic and road network data. METHODS: Comprehensive statistical analysis is used to identify key explanatory variables using historical observations on traffic forecast, actual traffic count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Based on statistical results, a multiple regression model is developed to predict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and road network attributes on traffic growth patterns. The validation of the proposed model is also performed using a different set of historical data. RESULTS :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several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road network structure cleary affect the tendency of over- and under-estimation of road traffics. Among them, land use is a key factor which is revealed by a factor that traffic forecast for urban road tends to be under-estimated while rural road traffic prediction is generally over-estimated. The model application suggests that tweaking the traffic forecast using the proposed model can reduce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predicted and actual traffic counts from 30.4% to 21.9%. CONCLUSIONS : Prediction of road traffic growth patterns based on surrounding socioeconomic and road network attributes can help develop the optimal strategy of road construction plan by enhancing reliability of traffic forecast as well as tendency of traffic growth.
        4,000원
        51.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aims to draw differences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crashes by comparing crash characteristics and to identif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crashes for making better effective countermeasures to reduce secondary crashes. METHODS :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crashes were compared to those of primary crashes through a two sample proportional test (z-test).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vehicle-to-vehicle crashes and vehicle-to-person crashes are dominant crash types in secondary crashes. Compared to primary crashes, secondary crashes were likely to occur during nighttime. With respect to season and weather, the proportion of secondary crashes occurred during winter and in snowy weather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primary crashes. The main causes of primary crashes were found to be drowsiness, speeding, and exaggerated steering control, whereas main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secondary crashes were negligence of keeping eyes forward and no keeping a safe distance as expected. CONCLUSIONS : The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secondary crash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primary crashes, indicating that proper counter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econdary crashes on highways.
        4,000원
        52.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presents the noise level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in the national highways with the consideration of various measuring conditions and/or methods. METHODS : The noise levels on the asphalt concrete pavement(ACP) and the jointed plain concrete pavement(JPCP) of the national highway were measured and analysed with respect to three variables, i.e., pavement type, surface condition, and measurement distance. The PASS-By method is utilized for the noise measurement and then using CPB spectrum analysis method with 1/3 octave bandwidth, the noise levels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were calculated for two-second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peak noise. RESULTS : Depending on the pavement type, the noise level was changed as the average noise levels are 73.3dB(A) and 78.3dB(A) for ACP and JPCP,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effect of surface condition, the average noise levels for crack H(high), M(medium), and L (low) sections are 77.4dB(A), 77.4dB(A), and 78.1dB(A), respectively. Regarding the measurement distance, 1.2meter difference in measuring location reduces 1.6dB(A) of noise level; the average noise levels at 5.3m and 7.5m from the centerline of outer lane are 72.8dB(A) and 71.2dB(A), respective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oise levels are slight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vehicle speed and type. However, the overall trends for each case was similar. It was found that the domain frequency bands for ACP and JPCP were 400Hz~2000Hz and 500Hz~2000Hz, respectively. CONCLUSIONS : Based on the analysis with the measured noise date from national highway, it was concluded that the noise level and frequency band vary depending on the various conditions. It was also found that some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 the noise level while others do not. With further systematic investigation, the comprehensive noise characteristics on the national highway can be achieved. Using such database,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fundamental noise reduction technology.
        4,000원
        5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ir traffic controller's leadership characteristics and hazardous attitudes on the team effectiveness. The effectiveness make use of team efficacy and team commitment. Leadership characteristics and hazardous attitudes make use of the contents of a CRM manual. The study showed following results. 1) Leadership characteristic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team effectiveness. 2) Hazardous attitudes has a partially bad influence on the team effective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auspice of civil and military ATC facilies and by participation of devoting ATC controller's.
        4,200원
        54.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Because expressway ramps are very complex segments where diverse roadway design elements dynamically change within relatively short length, drivers on ramps are required to drive their cars carefully for safety. Especially, ramps on expressways are designed to guarantee driving at high speed so that the risk and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on expressway ramps may be higher and more deadly than other facilities on expressways. Safe deceleration maneuvers are required on off-ramps, whereas safe acceleration maneuvers are necessary on onramps. This difference in required maneuvers may contribute to dissimilar patterns and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by ramp types.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prediction models of the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on expressway on- and off-ramps separately in order to consider dissimilar patterns and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according to types of ramps. METHODS: Four-year-long traffic accident data between 2007 and 2010 were utilized to distinguish contributing design elements in conjunction with AADT and ramp length. The prediction models were built using the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consisting of the severity of traffic acciden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contributing design elements as in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The developed regression models were evaluated using the traffic accident data of the ramps which was not used in building the models by comparing actual and estimated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Conclusively, the average prediction error rates of on-ramps and offramps were 30.5% and 30.8%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prediction models for the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on expressway on- and off-ramps will be useful in enhancing the safety on expressway ramps as well as developing design guidelines for expressway ramps.
        4,200원
        55.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이 겹친 복합선형 구간에서 복합선형요소와 교통사고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설계속도 및 제한속도가 100km/h인 4차로 고속도로 중 평면곡선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하구조자료는 한국도로공사 "지리도형정보시스템" 자료를 이용하였고 교통사고자료는 "고속도로 교통사고 통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종단곡선이 없는 경우가 종단곡선이 있는 경우보다 사고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종단곡선이 1개인 경우가 종단곡선이 2개 이상인 경우보다 사고율이 높게 나타났다. 종단곡선이 1개인 경우, 오목종단곡선(SAG) 구간이 볼록종단곡선(CREST) 구간보다 사고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평면곡선부 이전 선형이 직선부인 경우가 곡선부인 경우보다 사고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노면상태가 습기(강우)일 때에는 평면곡선내 오목종단곡선인 경우이거나 평면곡선방향이 좌향구간의 경우 교통사고와 관련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3차원적인 복합선형 조건을 고려한 도로 선형 설계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4,000원
        5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고령운전자의 수 역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어 향후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는 급증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 교통사고 발생시 고령층과 비고령층의 구분에 따른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고령층에 비해 고령층에 작용하는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로짓모형을 통해 비고령층과 고령층의 Odds Ratio를 분석하여 사고영향요인에 따른 차이점을 알아보았으며 고령운전자의 사고 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비고령층에 비해 곡선구간 및 절토구간, 노면의 습기상태일 때 고령운전자의 사고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9.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재난 발생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도로 운영을 위해서는 사전에 대피 및 방재경로 등의 지정과 더불어 재난 발생시 상황 변환에 따른 신호운영 방안이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특히 재난 발생시 운영자의 대응이 지체된다면 도로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막대한 사회적 손실을 입게 되므로 교통방재시스템의 설계방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풍수해로 인한 피해가 잦은 청주시를 대상으로 교통방재시스템을 설계하고, 도로 이용자의 안전을 위해 대피 및 방재경로를 새롭게 정의하였으며, 경로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 신호운영방안을 영향권별로 정의하여 그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의한 신호운영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평상시와 유사한 교통흐름을 나타내었으며, 재난 발생시 재난에 대한 정보를 도로 이용자들에게 최대한 빠르게 전달하고, 상황에 적절한 신호운영을 실시한다면 이용자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8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