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

        44.
        199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계룡산 국립공원과 오대산 국립공원의 9개 등산로를 대상으로 등산로의 물리적 조건이 심장박동수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산오르기 등산은 피검자가 에르고메타를 이용하여 측정한 최대심박수의 84~96%에 해당하는 고된 신체운동이며, 동일한 코스를 내려올 때의 최대심박수는 올라갈 때의 최대심박수에 약 78~93%에 해당하는 값을 나타내었다. 등산로의 경사도는 심박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폭은 심박수와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시설 등산로에 비하여 나무 또는 돌계단식과 같은 등산로 노면재료가 심박수의 증가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7.
        198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ur country has been produced much amounts of panax ginseng roots which has a stimulating effects on the metabolism of protein, lipid and nucleic acids in the body. And the leaf trunk of panax ginseng were also produced a considerable amounts as the by -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was devised to observe the nutritional effect to rats feeding of rice diet supplemented with by - products of panax ginseng, male Albino rats of pure strain weighing 73.8 ± 0.7 g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cholesterol in heart and testis.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sixteen diet group, they were the protein contents of 9%, 12%, 15% and 18% supplemented with 2% panax ginseng roots and its by - products respectively. The group without the supplements were used as the control. The diet group were again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feeding terms, 4 weeks and 8 weeks. It is concluded that the free from cholesterol and total cholesterol contents in the heart and testis with the supplements of panax ginseng roots and its by - produ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4,000원
        49.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아의 선천적 심장질환 진단을 위해 High Pitch Mode를 사용하여 획득한 소아 심장 CT 영상과 Wide Co verage Volume Axial Mode를 사용하여 획득한 소아 심장 CT 영상으로부터 환자의 피폭선량과 각 영상의 화질을 비교 및 분석하여 Wide Coverage Volume Axial Mode의 유용성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소아 심장 CT 검사 시 High Pitch Mode와 Wide Coverage Volume Axial Mode를 각각 50명 총 1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각 프로토콜로부터 얻은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의 피폭선량을 비교하였다. 각 영상에 ROI를 설정해 SNR과 CNR을 산출하여 영상의 화질을 비교하였다. High Pitch Mode에 비해 Wide Coverage Volume Axial Mode를 사용하여 검사하였을 때 환자의 피폭선량이 13.07% 감소하였고, SNR과 CNR이 향상되었다. Wide Coverage Volume Axial Mode는 고속 회전 스캐너를 이용하여 조사시간을 줄이고, 저선량 기술인 ASi R-V를 통해 High Pitch Mode를 사용했을 때보다 환자의 피폭선량이 감소하고 영상의 화질 또한 향상되는 유용한 검사라 할 수 있다.
        50.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심장 혈관 조영술의 투시 영상과 씨네 영상을 획득하는 데 있어서 초당 프레임 횟수를 변화함에 따라 흡수선량과 획득 영상의 화질의 추이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FOV 확대와 Live Zoom이라는 두 가지 확대 모드에 따른 변화도 고찰 대상으로 한다. 인체모형 팬텀을 심장 혈관 조영장치 위에서 초당 프레임 횟수를 7.5, 15, 30 f/s로 설정하고 두 가지 확대 모드에 대하여 각각 5회씩 촬영하였다. 선량의 척도로서는 흡수선량과 에어 커머가 사용되었고, 화질 평가의 척도로는 잡음의 세기로서의 표준 편차(SD), 신호 대 잡음비(SNR)와 대조도 대 잡음비(CNR) 등을 활용하였다. 초당 프레임 횟수가 30부터 15, 7.5 f/s로 감소되었을 때, DAP와 에어 커머는 동일한 비율로 감소하였으나, 화질의 척도인 SD, SNR과 CNR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확대 모드에의 의존도에 관해서는, Live Zoom이 FOV 확대와 비교하였을 때, DAP, 에어 커머와 SD에 대해서는 통계적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NR과 CNR에 있어서는 통계적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에 의하여, 초당 프레임 횟수는 화질의 열화 없이 되도록 낮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확대 모드도 추가적인 선량 없이 실시간 확대가 가능한 Live Zoom 모드를 적극적으로 활용 가능하며 이는 화질의 여러 척도의 저하를 가져오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51.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X선 장비를 이용한 심장혈관 조영술 시 프레임 변화에 따른 입사 표면 선량과 흡수선량을 비교⦁분석하여 피폭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image J를 통한 촬영 영상의 SNR과 CNR을 측정⦁분석하여 프레임 변화가 영상 화질에 주는 영향을 비롯해 검사에 있어 적절한 프레임 선택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17년 6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본원에서 CAG를 시행한 30명(남19, 여11)을 대상으로 하였고, 환자들의 연령대는 49-82세(평균 65±9세), 몸무게45-91kg (평균 67±8.9kg), 키 150-179cm (평균 165.1±8.9kg), BMI 19.5-30.5(평균 24.5±2.9)이었다. 입사표면선량 및 흡수선량은 후향적으로 Air kerma값과 DAP를 획득하여 비교․분석 하였고 SNR과 CNR은 Image J를 통하여 측정⦁분석 한 후 공식에 대입하여 결과 값을 도출하였다. 통계 분석을 통한 상관관계 확인을 위해 통계프로그램은 SPSS를 사용하여 프레임 변화에 따른 입사표면선량과 흡수선량 및 SNR ․ CNR의 상관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10프레임으로 촬영할 때와 15프레임으로 촬영 할 때 모두 입사표면선량과 흡수선량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SNR과 CNR의 관계에선 10프레임으로 촬영했을 때의 SNR(3.374±2.1297)과 CNR(0.234±0.2249)이 15프레임에서의 SNR(4.929±2.8532)과 CNR(0.391±0.3025)보다 SNR1.43±0.4861, CNR 0.132±0.0555로 낮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상관관계 분석결과에서는 BMI와 air kerma, DAP간에, air kerma와 DAP간에, SNR과 CNR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p<0.001, p<0.001). 결론적으로 심장혈관 조영술 시 10프레임과 15프레임으로 변화를 주어 촬영하여도 입사표면선량과 흡수선량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10프레임보다 15프레임 촬영에서의 SNR과 CNR이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기에 본 논문을 통해 환자와 시술자 모두 10프레임과 15프레임 촬영으로 인한 X선 피폭 문제뿐 아니라 영상의 화질감소에 관한 우려 역시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2.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방사선 치료시 산란성 등의 피부영향을 피할 수 없으며 내부의 정상장기의 피폭은 피할 수 없다. 방사선 치료의 역사는 정상조직의 흡수선량 감소를 위한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왼쪽 유방암의 방사선 치료시 내부 인접 장기로는 정상유방조직, 심장과 폐를 대표로 들 수 있는데 심장에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은 심정지, 심근경색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왼쪽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시 호흡조절기법을 사용한 것과 일반 방사선치료계획을 시행하는 것 사이에 심장의 체적과 선량의 변화를 관찰하여 호흡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장의 체적과 선량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4차원 컴퓨터 단층촬영영상을 기준으로 심장의 체적은 평균 12.8±8.7 cc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에 대해 선량은 평균 17.3±12.1 cGy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체적과 선량의 차이는 향후 방사선 치료시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으므로 호흡조절기법을 활용하여 심장의 정확한 위치를 기반으로 방사선 치료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53.
        2017.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멍게는 해양무척추동물로 유생 단계에 꼬리 근육 및 등쪽에 신경관을 갖는 등 기본적인 척삭동물의 형태를 나타낸다. 유생은 유영생활을 하다 암반 등에 부착하고 변태를 한다. 변태 과정에서 몸의 아래쪽에 심장이 형성되며, 개방혈관계를 갖는다. 심장은 주기적으로 혈류의 방향을 바꾸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어떠한 방식으로 박동 방향이 역전되는지, 그 주기는 어떻게 되는지, 종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등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들이 산적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멍게(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를 이용하여 이와 관련된 현상을 연구하였다. 변태 후 약 10일부터 심장 박동이 관찰되었으며, 초기 단계부터 박동과 정지, 재박동이 일어났다. 심장의 박동 횟수는 9도에서 평균 3.05초 간격으로 80회 이상 지속되었다. 이후 10초 이상의 심장 박동의 정지가 있은 후 다시 재박동이 일어났다. 재박 동 때의 혈류의 방향은 언제나 반대로 일어났다. 심장의 박동은 9도보다 13도에서 빨랐고, 유치자의 연령이 증가하면서 느려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멍게의 심장 형성 과정은 척추동물 심장 형성의 기본적인 모습을 하고 있어, 인간의 심장 형성 연구 및 기능 이상을 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실험재료라 할 수 있다. 앞으로 심장이 주기적으로 박동과 정지를 반복하며, 혈류의 방향이 역전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분자생물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54.
        201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는 심근허혈이나 좌심실비대 등과 같은 심근질환이 잇는 환자에서 대부분 관찰되지만 심장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서도 흔하게 관찰된다. 정상 심박출(수축기능)상태에서 좌심실의 이완기 장애 평가는 심부전의 진행과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심장외막지방조직은 생리활성분자를 생성하는 대사활동기관으로 심혈관질환에 직접적으로 연관성이 있으며 이는 심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이후 심장의 기능장애를 초래한다. 본 연구목적은 심장외막지방의 두께를 측정하여 정상의 수축기 기능인 상태에서 확장기(이완기) 기능장애의 평가와의 연관성을 연구하고자하였다. 연구결과 심장외막지방두께와 이완기 장애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심장외막지방두께 측정단면 EAT2에서 측정된 값과 이완기 장애평가방법 E'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장외막지방두께변화는 좌심실의 이완기능장애를 평가할 수 있는 예측인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5.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심장혈관 조영술과 심장혈관 중재술은 심장혈관 질환을 치료하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시술이다. 그러나 시술이 이루어지는 동안 환자와 시술자의 방사선 피폭에 대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2015년 9월부터 2016년 1월 사이에 강원도 소재 한 대학병원의 심혈관센터에서 시행된 147명의 심장혈관 조영술(CA)과 심장혈관 중재술(CI)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시술자의 피폭선량을 평가하였다. CA만을 시행한 경우 시술자의 유효선량은 최소 0.39 uSv, 최대 30.6 uSv를 나타냈고 평균 유효선량은 4.11 uSv를 나 타냈다. CI를 시행한 경우 유효선량은 최소 1.618 uSv, 최대 202.805 uSv를 나타냈고 평균 유효선량은 34.41 uSv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갑상선 위치에서 측정된 선량을 머리가 받은 선량으로 대체할 경우 PCI에서 평균 받는 선량을 연평균 1000건의 시술을 시행한다고 할 경우 90 mSv/year 에 해당한다. 이를 2년 누적할 경우 눈의 제한선량인 150 mSv를 초과하는 수치이다. 심장혈관 중재적 시술은 의료 방사선의 피폭 에 있어 CT 다음으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시술이 시행되는 동안 환자와 시술자의 방사선 방 어가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검사의 최적화와 정당성을 확보하여 안전한 검사가 될 수 있 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시술자에게는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시술 중에는 개인방어 장비를 착 용하여야 하며 모니터링을 통해 환자와 시술자의 피폭선량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56.
        201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lmonary angiography has been regarded as the gold standard tool for diagnosis of pulmonary embolism. However, due to its invasive nature and the development and growing availability of non-invasive diagnostic imaging tests, such as computed tomographic pulmonary angiography, the role of pulmonary angiography in diagnosis of pulmonary embolism has waned rapidly, so that pulmonary angiography has become a state-of-the-art procedure available in a decreasing number of centres. Pulmonary angiography is the definitive diagnostic test, but complications of this procedure, including puncture site prob-lems, cardiac arrhythmia, and cardiac or vessel injury have been reported. However, few cases of cardiac vein rupture during pulmonary angiography have been reported. Here we report on a case of cardiac vein rupture which occurred during pulmo-nary angiography in an 82-year-old woman who underwent pulmonary angiography.
        57.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소아 심장 전산화단층촬영 검사에서 조영제의 과다 사용을 최소화하며 피폭 선량 저감화를 목적으로 조영제의 주입속도 및 심장 도달 시간 등의 변수를 고려한 스캔 지연 시간을 경험론적 방법으로 수식화함으로써 4개의 심방과 심실이 동시 조영증강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최적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아 심장전산화단층 검사를 시행한 소아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정성적 평가, 정량적 평가, 선량평가를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체중에 따른 조영제 양과 주입속도에 따른 스캔 지연 시간을 계산하는 경험론적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왼 오른 심방과 심실의 동시 조영증강에서 소아 심장 판독에 적합한 300 HU 값 이상으로 나타났고 명확성, 선예도, 노이즈에 대한 정성적 영상 평가에서 질적 우수성을 보였으며 선량평가에서도 소아가 받는 피폭선량도 명확하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에서 조영제 과다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감소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었으며 방사선 피폭 저감화를 기대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최적의 영상을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58.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심장의 모양 및 혈관에 관한 의료학적 지식습득은 의료인 및 의료기사들과 같은 의료전문인들에게는 필수적 요구사항이다. 심장의 모형을 통한 의료지식의 습득은 환자의 생명과도 직결되는 중요한 사항이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의료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심장모양 및 심장혈관질환에 대한 다양한 의료교구재의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 만들어진 심장 및 심장혈관의 투시 모형장비를 사용하여 심장 혈류의 투시조영시의 볼 수 있는 방사선학적 사진 영상을 미리 습득할 수 있으며, 또한 투시 조영 중 환자의 자세의 따른 심장의 위치와 모형을 미리 예측해 볼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고안한 심장혈관 투시 장비를 사용하여 심장혈관의 해부학적 지식을 미리 습득함으로서 면허 취득 후에 임상생활에 있어서의 심장혈류에 관한 정확한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9.
        2013.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perfusion density of an old myocardial infarction using cardiac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with arterial phase. We included 56 patients with an old myocardial infarction who had undergone medical treatment, primary angioplasty or bypass graft. Cardiac MDCT without stress perfusion was used for calculation of density of myocardial perfusion and global left ventricular function in patients was also analyzed according to initial and last follow-up echocardiography. All patients showed decreased perfusion in the left ventricular wall. Densities of normal ventricular wall, cavity of the left ventricle, and infracted wall were 105±29 HU, 471±117 HU, and 11±29 HU (-64 HU-57 HU), respectively. Subendocardial fat depositions were observed in 19 patients (34%). Ejection fractions of initial and last follow-up periods near to the date of cardiac CT were 61±9 % and 57±12 %, respectively. In conclusion, decreased perfusion less than 60 HU in cardiac CT with arterial phase was helpful in diagnosus of an old myocardial infarction.
        60.
        200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water flea has been used as a test organism of toxicity test for surface water. Toxicity test with water flea is categorized into two parts. One is acute toxicity test with observing immobility and mortality and the other is chronic toxicity test determined by survival and reproduction of water flea. Heartbeat measurement of water flea was designed as a short-term toxicity test in this study. Direct measurement of heartbeat under microscope by aid of video camera gives and early diagnosis of mortality in short time. Therefore, the effects of measuring illumination, measuring time, and non-feeding during the test on heartbeat of water flea was evaluated to establish a new test approach. Test organisms used in this study are Daphnia magna, a well standardizes toxicity test organism, and Simocephalus mixtus, a newly refined organism. IC50 values of these test organism by heartbeat measurement were compared and discussed. It was found that toxicity test by heartbeat measurement was a reproducible, easy and simple method accomplished in a few hours.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