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

        41.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assesse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ytotoxic effect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ethanol extract and measured the effects of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with a goal of estimating the usage of the medicinal plant as an ingredient of cosmetics. First, to perform a basic test on the extract, pH and UV-spectrum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the extract had control functions at pH 5.5, and maximum absorbance occurred at 530nm. In particular,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inhibiting activity (IC50) and polyphenol content were 149.81 μg/mL and 51.28±2.52 mg/mL respectively. In addition, as extract concentration increase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improved as well. In raw 264.7 cell-based MTT assay, cell survival rates were 98% at 1000 ppm and 153% at 100 ppm. Therefore, it'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almost no cytotoxin.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above, it appears that the Lithospermum erythrorhizon ethanol extract would be effective in anti-oxidation and application as a cosmetic ingredient.
        42.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생식물의 항산화 활성 탐색을 위하여 140종의 식물을 80% ethanol로 추출하여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며느리배꼽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VitaminE, ORACPE=1.0), 쉬땅나무, 찔레나무, 좁쌀풀, 갈참나무, 신갈나무 그리고 싸리의 순으로 항산화활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ORACPE ≥ 1.50). 또한 80% 에탄올 추출물의 용매별(n-hexane, CH2Cl2, EtOAc, n-BuOH, water) 분획층 ORAC 결과에서도 며느리배꼽과 쉬땅나무가 각각 1.13±0.002, 1.10±0.004, 3.67±0.232, 1.62±0.049, 1.05±0.003; 1.02±0.007, v1.00±0.016, 2.94±0.130, 1.80±0.019 그리고 1.04±0.012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 중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EtOAc 분획층의 유효성분 규명 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43.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나비류 추출물은 전통적으로 다양한 활성을 보유하여 의약용으로 사용되어졌다. 5종의 나비(산제비나비[Papilio maackii], 호랑나비[Papilio xuthus], 배추흰나비[Pieris rapae], 남방호랑나비[Eurema hecabe], 왕오색나비[Sasakia charonda])를 이용하여 물, dimethly sulfoxide (DMSO), ehtanol 및 methanol로 추출한 추출물로 항산화 활성 및 Cox-2 promote
        44.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ti-oxidative and inflammatory inhibition effects of green tea and dietary fiber mixture on liver of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21 male rats were divided into 3 dietary groups and control group (A), high fat diet-induced group (B), and high fat (HF) diet-induced + EQ diet-S® diet group (C). Immunoblotting and RT-PCR analysis revealed protein expression, and anti-oxidant analysis revealed MDA (malondialdehyde), GSH (glutathione), and free DPPH radical. As a results, Body weight and food consump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he levels of MDA and GSH were lower in HF + EQS® group than in HF group. Also, the EQS® demonstrated to be more effective than HF group for a DPPH radicals scavenging activities. In addition, protein and mRNA level of TNF-α in HF + EQS® group showed relatively more potent pro-inflammatory activity inhibition compared to HF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een tea mixture (EQ diet-S®) provide positive effects on anti-oxidative and inflammatory inhibition effects on obese animal model or obesity related diseases.
        45.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식으로만 이용하고 있는 어수리 잎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물과 에탄올을 사용하여( 50% 에탄올/ 50% 에탄올/ water/ water) 어수리를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성 물질 중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서 50% 에탄올 추출물이 64.73 mg GAE/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서 5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DPPH radica
        46.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열수추출법에 의하여 추출한 세리신을 이용하여 단독 또는 2종의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하고 그 가수분해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살펴본 것이다. 여러 산업용효소 중 세리신에 대한 분해효과가 우수한 alcalase, flavourzyme 및 protamex를 이용하여 분해한 결과 세리신의 분자량은 20 ~ 30 kDa의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사용한 효소별로 특이적 가수분해물이 나타났다. 세리신 가수분해물의 항산화능을 살펴본 결과 원래 세리신에 비하여 DPPH 소거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flavourzyme과 protamex를 같이 사용한 경우 약 85 %의 소거율을 나타냈다.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억제 효과를 살펴본 경우에는 세리신 가수분해물이 오히려 더 낮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세리신 가수분해물의 분획을 실시하고 활성억제 효과를 살펴본 결과 F2와 P3의 분획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47.
        2009.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혈당저하를 위한 천연물복합제를 한의학 처방 및 문헌 등을 기초로 하여 구성하고,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천연물복합제 5가지 추출물의 수율은 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의 범위로 조사되었다. 특히 2번, 3번 및 5번 복합제에서 1,000 mg% 이상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전자공여능 또한 이들 복합제에서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48.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밤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주름과 미백에 관련된 tyrosinase와 elastase의 활성에 대한 억제 효능을 측정하였으며, 밤나무 잎 추출물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항산화 활성측정 결과로,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DPPH)을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50 % ethanol 추출물(13.6 µg/mL) < ethyl acetate 분획(6.2) < aglycone 분획(2.1)으로 나타났고,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³+-EDTA/H₂O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OS)의 소거활성은 aglycone 분획(0.8) < 50 % ethanol 추출물(0.5) < ethyl acetate 분획(0.3) 순으로 나타났다. NBT법을 이용한 xanthine과 xanthine oxidase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O₂의 소거활성은 aglycone 분획(65.5)이 ethyl acetate 분획(145.5)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rose-bengal과 빛으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의 용혈에 대한 세포보호 활성은 10 µg/mL에서 aglycone 분획이 가장 높은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Elastase 저해활성은 aglycone 분획이 oleanolic acid (13.7 µg/mL)에 비해 훨씬 좋은 9.1 µg/mL로 나타나 뛰어난 주름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aglycone 분획이 미백 관련 화장품 고시 원료인 arbutin (226.2 µg/mL)에 비해 훨씬 좋은 21.6 µg/mL로 나타나 뛰어난 미백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B16 melanoma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합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에 앞서 세포 독성 실험에서는 ethyl acetate 및 aglycone 분획이 25 µg/mL 이하에서 80 %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25 µg/mL 이하에서의 멜라닌 합성 저해활성 측정 결과, ethyl acetate 및 aglycone 분획이 arbutin보다 훨씬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나타내는 밤나무 잎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TLC와 HPLC를 통해 분석한 결과, kaempferol, quercetin, quercitrin, isoquercitrin, hyperin, rutin이 함유되어 있었고, 그 중에서도 quercitrin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밤나무 잎 추출물이 free radical, ROS를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또한 자외선으로 인한 기미, 주근깨 과형성 및 주름 생성에 있어 상당한 저해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49.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aloe vera ingestion on brain and kidney in aged rats by monitoring several oxidative-related parameters. Male specific pathogen-free Fischer 344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of five rat each: Group A was fed test chow without aloe supplementation; Group B was fed a diet containing a 1% freeze-dried aloe filet; Group C was fed a diet containing a 1% charcoal-processed, freeze-dried aloe filet; and Group D was fed a diet containing a charcoal-processed, freeze-dried, whole leaf aloe in drinking water. Analyses of tissues were done at 4 months and 16 months of age. Results showed that a long-term intake of aloe, regardless of the preparation used, enhanced antioxidant defenses against lipid peroxidation, as indicated by reduced phosphatidylcholine hydroperoxide levels in both brain and kidney. The additional benefit of aloe intake on the anti-oxidative action was evidenced by enhanced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activity in all aloe-ingested groups. Another beneficial effect of aloe shown in this study, although not an anti-oxidative parameter, was its cholesterol-lowering effect as detected in brain and kidney with significant decreases at age16 months of aloe-fed ra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clude that a long-term dietary aloe supplementation modulated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s and cholesterol level.
        51.
        200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화적인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는 신경염증의 발병요인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약용곤충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물질을 찾고자 초고속 적용가능한 스크리닝 방법을 적용하였다. 우선, 분자염증은 활성산소 관련의 물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들의 억제를 동반하는 추출물을 먼저 선별하였다. 항산화 실험과 관련하여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FRAP(Ferric ion redu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