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41.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ims to (1) estimate the biomass yield potential, (2) characterize the biomass and digestible dry matter production, and (3) reveal the characteristic seedling establishment of a whole crop rice variety, Nogyangbyeo, in dry- and wet-seeded rice. Maximum aboveground total biomass of Nogyangbyeo was 18 t ha-1 in dry-seeded rice and 20 t ha-1 in wet-seeded rice. Biomass yield potential of Nogyangbyeo was lower than that of Dasanbyeo. Comparatively, Nogyangbyeo was straw-dependent and Dasanbyeo was grain-dependent for biomass accumulation. Percentage of digestible dry matter (DDM) was higher in panicles than straw. Digestible dry matter yield was determined mainly by biomass yield rather than DDM percentage. Number of seedling establishment in Nogyangbyeo was 73m-2 in dry-seeded rice and 109m-2 in wet-seeded rice. Poor seedling establishment of dry-seeded Nogyangbyeo in the field condition was the result of low seed germination under low temperature and poor seedling emergence by deep sowing. Low seedling emergence rate of Nogyangbyeo was attributed mainly to slow elongation growth by slow leaf development and partly to mesocotyl and 1st internode lengths, not to genetically defined leaf length. The slow elongation growth of Nogyangbyeo was the same even in the high daily mean temperature of 24~circC . Results suggest DDM yield in rice can be improved simply by increasing biomass and whole crop rice varieties should be adaptable to direct-seeding.
        43.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델파이법을 이용한 본 연구는 한국농업의 미래 유망기술을 예측. 도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 미래유망기술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농업은 고부가가치를 지닌 2떼기의 핵심전략산업으로 성장하게 할 것이다. 델파이법을 이용하여 경종작물 분야의 전문가에게 각 기술의 전문도, 중요도, 실현시기(국내 및 세계), 연구개발수준, 실현시기의 확신도, 기술적으로 가장 앞선 국가, 연구개발 추진주체, 유효한 정책수단 등을 질문하였다. 이 조사의 대상은 경종작물분야의 전문가로 한정하였다. 미래유망기술로는 44개의 기술이 도출되었고, 이 조사에 응답한 전문가는 39명이었다.
        45.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velopment of crops with high quality as well as various beneficial functions is necessary to satisfy consumers being interested in their health and to enhance a competitivenes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of agricultural products. What we have achieved so far from our research on crop quality was not sufficient since we often neglected sensory feature of crop products such as eating quality but in many cases, we put more emphases on nutrient conten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out-appearing features of the products. Therefore developments of sensory elements and technique for evaluation with a priority given to eating quality of each of an individual crop are important and very urgent to be solved in Korea. An endeavor to develop bioactive crops is necessary and resonable but aspects of both productivity and economy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original purposes such as production of energy and nutrient for human life must be considered. The development of more concrete ideas for crop functionality is essential before any research goes further
        48.
        198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Yield loss of wheat and barley due to meteorological constraints has been analyzed in order to get the basic information, which will lead to the counter-measures for dissemination of agricultural technology and administration. These meteorological damages were analyzed on the results of percentage yield loss and mechanism of damage and the aspects of constraints were explained. The annual yield loss of wheat and barley were 21.7% by meteorological stress: Cold damage, 5.9% ; excessive soil moisture, 5.6% ; lodging, 2.9% ; drought, 3.0% ; disease, 4.3% etc. Those damages by the stresses mentioned above and rain damage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growth stages and the degrees of damage. The predispositions and the growth of wheat and barley to those meteorological stress are also discussed. Varietal resistances of wheat and barley to those stresses were indexed and the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resistant cultivars are described. Cultural practices to minimize the damages were also reviewed.
        49.
        198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밭에서 재배되는 우리나라 하작물의 종류는 다양하며 년차 또는 지역에 따라 변이가 큰데 그 주요원인은 기상요인으로서 강우와 온도가 그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바람과 일조량 등 각종 기상요인도 하작물의 생산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주요 재해원인이 되고 있는 기상요인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일반작물을 재배한다는 것을 매우 어렵기 때문에 농작물 자체나 재배 및 관리기술의 향상으로 재해를 최소화시켜야 될 것이다. 강우량은 하작물 생산에 가장 중요한 기상요인의 하나로 작용하며 이는 한발과 과습의 두 측면에서 생각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계절풍대에 속하는 관계로 이 두 재해원인중 그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거의 매년 부닥치게 되므로 관개와 배수시설을 완비한다면 별로 문제가 없겠으나 현실적으로는 용역한 일이 아니다. 따라서 하작물 품종 육성에서는 반드시 내한, 내습, 내병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며 한해나 습해상습지대에서는 이에 알맞는 작물종류 및 품종을 선택 이용해야 될 것이고 배수와 중경, 제초, 재식방법 등의 재배기술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온도에 의한 장해로서는 주로 저온피해를 생각할 수 있으며 늦추위와 가을철 조기 저온이 그 주요인이 될 것이고 가끔 여름철의 저온도 하작물의 저수원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또 작물에 따라서는 고온장해도 발생하나 내냉, 내서성 및 조숙성품종 육성 등으로 어느 정도 극복이 가능하며 파종기, 수확기 등의 조정도 피해회피의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작물의 도복, 병해, 충해 등도 기상요인에 의한 직접 또는 간접의 피해가 되겠으나 이들 재해는 육종적인 방법으로 극복할 수 있는 형질들이며 또 적절한 방제나 구제방법도 알려져 있다. 기상요인에 의한 피해통계의 작성과 재해발생예보체계의 확립 및 보상제도를 도입하여 농업을 근대산업형태로 체질개선하는 정책적 뒷받침이 시급히 요구된다. 가지고 있음이 확인됐다. 7. 참깨 품종중에는 주당삭수 150개이상인 구례와 재래종 12003가 조사되었으며 삭당입수 75입이상인 해남, 우강품종, 등숙비율에서도 90%이상인 품종 수원 8호, 청송등이 있었다. 8. 참깨는 품종에 따라 만파적응력이 다르므로 맥후작재배용 품종육성은 반드시 맥후작 재배조건에 맞추어 별도의 육종계획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현재 품종들의 탈립성 분류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평균인장강도는 그 분산이 변이가 크고,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이삭의 곡립들 중 수확작업시 실제로 탈립이 잘 되는 곡립은 인장강도가 98g이하이었으므로 품종의 탈립성 판정 및 포장손실의 추정을 위해서는 표본중 인장강도가 100g 이하인 곡립들의 전곡립수에 대한 비율을 기준으로 할 것을 제의한다. 6. MET계통은 생장속도가 수원 19호보다 훨씬 늦었으며 개화기도 2~3주나 늦었다. 7. 흑조위축병 : 수원 19호와 같이 MET계통도 흑조위축병에 대해 이병성이었다. 이병성은 늦게 파종하거나 밀식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7g로서 가장 무거워 많은 차이를 보이었다. 10a당 정조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Dolomite처리구가 8.6%, 유황첨가구가 5.7~7.4% 증수되었음을 보이었다. 7. 식물체중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 5%, 10% 유황첨가구가 3.31~3.50%로서 비슷하였고 15% 유황첨가구는 3.94%, Dolomite첨가구는 5.38%였다. 아미노산도 15%유황첨가구와 Dolomite첨가구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현미중 조단백질은 15%유황첨가구가 10.14%로서 최고이었으며 10%유황첨가구와 Dolomite첨가구는 9.85%로서 다음이었다. 아미노산도 대조구의 현미에는 유황처리구보다 작았으며 유황처리구에서는 특히 Glutamic acid와 Lysine이 함유되여 있었다.ligraphy patterns were
        50.
        198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t a time when world population and food supply are in a delicate balance, it is essential that we look at factors to improve this balance. We can alter the environment to better fit the plant's needs, or we can alter the plant to better fit the environment. Improved technology has allowed us to increase the yield level. For moderately detrimental weather events technology has generally decreased the yield variation, yet for major weather disasters the variation has increased. We have raised the upper level, but zero is still the bottom level. As we concentrate the production of particular crops into limited areas where the environment is closest to optimum, we may be increasing the risk of a major weather related disaster. We need to evaluate the degree of variability of different crops, and how weather and technology can interact to affect it. The natural limits of crop production are imposed by important ecological factors. Production is a function of the climate, the soil, and the crop and all activities related to them. In looking at the environment of a crop we must recognize these are individuals, populations and ecosystems. Under intensive agriculture we try to limit the competition to one desired species. The environment is made up of a complex of factors; radiation, moisture, temperature and wind, among others. Plant response to the environment is due to the interaction of all of these factors, yet in attempting to understand them we often examine each factor individually. Variation in crop yields is primarily a function of limiting environmental parameters. Various weather parameters will be discussed, with emphasis placed on how they impact on crop production. Although solar radiation is a driving force in crop production, it often shows little relationship to yield variation. Water may enter into crop production as both a limiting and excessive factor. The effects of moisture deficiency have received much more attention than moisture excess. In many areas of the world, a very significant portion of yield variation is due to variation in the moisture factor. Temperature imposes limits on where crops can be grown, and the type of crop that can be grown in an area. High temperature effects are often combined with deficient moisture effects. Cool temperatures determine the limits in which crops can be grown. Growing degree units, or heat accumulations, have often been used as a means of explaining many temperature effects. Methods for explaining chilling effects are more limited.
        51.
        198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biosphere of the earth is not only about to overpass the limit to meet the food demand of the world but also the stability of its food production has been also jeopardized by the disasters and pests, especially by the unpredictable weather disasters. In addition the agricultural and industrial pollution against biosphere aggravates the unst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constitutes a threat in securing the food of the world. In Korea the yield level of crops has been greatly enhanced by the improved agrotechnologies and varietal improvement, but the yield variability due to unfavorable weather events and pests remained unchanged with the change in time. Among weather-related disasters the drought and flood damages has occurred most frequently and impacted most greatly o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its stability. During last decade (1970-l980) the rice production experienced the average annual loss of 0.544 million metric ton which was composed of 0.21 million M/T by climatic disaster, 0.21 million M/T by disease and 0.12 million M/T by insects, and the annual loss of upland crop production from climatic disasters amounted to 0.06 million metric tons. Especially in 1980, the global climatic disasters due to cold or hot temperature endangered the agricultural production all over the world and also the rice production of Korea recorded the unprecedented yield reduction of about 30 percent due to cool summer weather. Nowadays, the unusual weather conditions are prevaling throughout the world, and agro-meteologists predict that the unpredictable cool summer and drought will often attack the rice and other crops in 1980's. To meet the coming weather unstability and to secure the stable crop production, multilateral efforts should be rendered. Therefore, the Korea Society of Crop Science, which commemorates the 20th anniversary of its founding, prepared the symposium on Meteological Stress in Crop Production and its Countermeasures to discuss the decrease in agricultural production due to weather-related disasters and to devise the multilateral counter-measures against the unfavorable weather events.
        52.
        198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1980년도에 전남대학교 시험포장에서 수행된 것으로서, Metribuzin의 처리시기에 따른 품종반응차이를 알기 위하여 광교외의 5대두품종과 Pre-sowing 외에 4처리 시기를 공시하여 작물의 초기생육반응을 조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공시품종내에서는 약제에 대한 저항성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2. 품종차이보다는 약제처리시기에 따른 반응차이가 헌저하였으며, 대부분 대두품종의 저항성 크기는 E. Post-emg.< L.Post-emg ~ll re-sowing=Control의 순으로 컸다. 3. Metribuzin의 약해 Symptom은 주당엽수 < 초장 ~ll 주당분지수의 순으로 뚜렷한 감소를 보이는 특징이었다. 4. 우리나라 대두품종에 대한 Metribuzin의 사용은 Pre-sowing이나 Pre-emg.가 추천되며, 특히 Pre-sowing에 대한 토양혼화법 연구와 단제보다는 혼용처리의 이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
        53.
        197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78연도 전남 광주시, 전남大 농견 전작시험장에서 수행된 대두 제초제의 안전사용 및 사용효과 구명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물의 생육 및 수량성은 제초효과에 따른 향상보다 약해에 따른 억제의 영향에 민감한 경향이었고, 억제의 정도는 약종에 따른 변이보다 약해별 처리약량수준에 따른 변이가 켰다. 2. Alachier, Metribuzin, RH-8817 등은 안금사용폭이 비교적 큰 편이었다. 3. Alachier는 바랭이, 피, 방동산이, Nitrofen은 피, 방동관이, Metribuzin은 쇠비름, RH-8817은 바랭이, 피, 방동산이, 쇠 비름의 방제효과가 탁월하였다. 4. 대두 품종과 제초제 약종간에 유의성 있는 저항성관계는 인정되지 않았다. 5. 토성별 대두의 발아차이는 주로 산소공급조건의 차이에 기인하였으며, 산소공급이 좋은 상태에서는 제초제간에 발아억제 영향이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RH-8817은 발아를 촉진하는 경향이 있다. 6. Simazin, Linuron, Metribuzin은 초기생육중의 동화억제를 통한 황변현상이, Alachlor는 생육어제현상이, RH-8817은 생육억제 및 생장점 부위의 괴저현상이 일반적 약해증세로 나타났다. 7. Simzin과 Linurrm 처리에서는 처이직후 약해 차리정도가 시간경과에 따라 확대되는 경향이었다. 8. 제초제 처리수준증대에 따른 경·근 및 근류생성억제의 영향은 상호 유의적 관계하에서 증대되는 경향이었다.
        54.
        197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자추작의 알맞는 재배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1976년 천안에서 시마바라(도원)품종을 대상으로하여, 7월13일 4절종서를 GA2 ppm과 Ethrel 250ppm의 혼합액에 60분간 처리하여 노지의 최아상에 파종하고, 7월 24일 몇가지 재배처리를 하여 정식한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식당시의 아장(아경)을 4cm(3.5mm), 7cm (4.5mm) 및 10cm(6.0mm)로 구분한즉 싹이 크고 굵은것이 발아 생육 수량 및 품질이 모두 증대향상 되었다. 2. 질소시용량을 10a당 요소 10, 20 및 30kg으로 구분한즉 질소시용량이 많을수록 생육 수량 및 품질이 모두 증대향상되었다. 3. 질소를 정식기(7월24일)에 전량기비로 주는 것 보다 정식기와 8월15일 또는 8월15일과 9월5일로 분시하는 것이 발아 생육 수량 및 품질이 모두 증대향상되었다. 4. 재식거리 60 20cm 또는 70 17cm이상의 밀식은 도장을 유발하여 수량 품질이 저하되었다. 5. 정식후에 밀짚을 4, 8, 12cm로 피복한즉 피복이 두꺼울수록 성하기의 최고지온을 낮추고 추냉기의 최저지온을 높이는 효과가 컸다.
        55.
        197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감자 춘하작물재배의 주장려품종이고 휴면기간이 긴 남작(Irish Cobbler)을 추작할때 효과적인 최아처리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관령산종서를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실험농장에시 춘작 증식하여 추작용종서로 사용하고, 1974 및 '75의 양년도에 걸쳐서 농대구내수음하 설치한 최아상(그림 1)에서 구당 60편의 3반복 난괴법으론 최아시험을 실시하고, 실험농장 포장에서 구당 1.8m2 (15주)의 3반복 난괴법으로 포장재배시험을 실시한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으며, 시험기간(1975년)중의 기상개요는 그림 2와 같았다. 1. 최아처리법과 발아(부표 1~7, 그림 3~5) (a) GA(Gibberellin)처리는 발아가 빨라서 7~8일 에 발아하여 최아소요일수가 약 10일이며, 발아가 균일하고, 부패가 적어 건전발아개체비율도 높으나, 편당발아본수가 3~4본으르 많고, 싹이 세장하며 발근이 없었다. (b) Ethrel처리는 발아가 훨씬 GA보다 늦어서 대체로 최아소요일수가 20~25일이며, 발아의 균일성과 부패및 건전발아개체비율에서 GA보다 고간 못하나, 편당발아본수가 1~2본으로 적고 싹이 단태건실하며 발근이 극히 양호하였다. (c) GA와 Ethrel의 혼합처리는 GA처리보다 1~2일 발아가 늦으나 싹은 비교적 건실하며, 그밖의 발아상은 GA처리와 거의 같았다. (d) Ethylene Chlorohydrin처리는 Ethrel처리와 거의 같은 발아상을 보이나 발아에 23~26일이 소요되고, 최아중의 부패도 많았다. (e) 6-Benzyladenine처리는 Ethrel처리처럼 싹이 단태건실하고 편당발아본수도 1~2본으로 적으며, 발근도 보이나 발아에 22~28일이 소요되고. 발아가 균일하지 못하며, 절단하여 처리할 경우에는 부패가 심해질 우려가 컸다. (f) 약제별 최적처리법은 다음과 같이 보였다. GA처리 : 절단서면 1~2ppm, 전형서면 2~5ppm에 60분처리. Ethrel처리 : 절단서면 500ppm, 전형서면 1000~2000ppm에 60분처리. GA와 Ethrel의 혼합처리 : 절단서면 GA 1~2ppm+Ethrel 250~500ppm, 전형서면 GA 5ppm+Ethrel 250~500ppm, 60분처리. 2. 처리법과 부패 (a) 18~24시간의 GA처리는 거의 완전한 부패를 초래하였다(표 2) (b) Ethylene Chlorohydrin처리는 심한 부패를 유발하고(표 2), 6-Benzyladenine처리도 많은 부패를 유발하는(부표 7) 경향이 보였다. (c) 처리중에 교반하여 표피가 갈리게 한것은 전량 부패하였다(부표 1) (d) 종서에 칼로 3-4곳에 자상을 내서 GA처리를 한 것은 발아조장의 효과가 없고, 부패를 조장하는 경향이 보였다(부표 1) 3. 상토와 발아(부표 1) (a) 최아상의 상토로써 부식질세토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사상의 경우보다 부패가 없고 발아도 양호 하였다. (b) 사상의 경우에는 세사보다 조사가 양호하였다. 4. 처리시기와 발아 (a) 7월 15일처리에 비하여 8월 24일처리의 경우에 Ethrel의 전형서처리에서는 발아가 4일 빨랐으나, Ethrel 절단서처리 및 GA처리에서는 발아가 거의 빨라지지 않았다(그림 9) (b) 처리시기가 늦어져서 휴면이 경과될수록 발아와 발근이 조장되는 경향이 보였다(부표 8) (c) 최아기간이 매우 고온건조하였던 경우(8월 14일처리)에는 심한 부패를 보였다(그림 10) 5. 처리법 및 정식기와 수량 (a) 정식기를 같게 할 경우의 수량은 Ethrel>GAㆍEthrel 혼합>GA 처리의 순위로서 정식당시의 싹의 건실도 및 발근상태와 깊은 관련이 있어보였다. Ethylene Chlorohydrin처리는 포장결주가 많아서 수량이 적었다(그림 11) (b) 처리기를 같게 하여 정식기가 GA보다 Ethrel 처리가 15일 늦어 질 경우에는 Ethrel이 GA처리보다 감수경향을 보였다(부표 10) (c) 어느 처리에서나 정식기가 빠를수록 증수되는 경향이 보였다(부표 10) (d) GA처리 조식의 경우에는 고간 도장하는 경향이 보였으나, 기타처리 및 GA처리라도 만식의 경우에는 도장이 보이지 않았다(그림 12)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