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

        42.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pea cultivar, Cheongmi was developed at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YARI) in 2003. It was selected from a cross YP303 (Frescoloy / Upton) // YP113 (Sparkle/Early Bird) /3/ YP115 (Sparkle / Euiseongjaerae) in 1992. The preliminary,
        43.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lok3, a new waxy corn hybrid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in 2001. It is a single cross hybrid, which was crossed between KW35 as a seed parent and KW7 as a pollen parent. Chalok3 was 73 days in days to silking and eight d
        44.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dabyeo, a new Tongil-type rice (Oriza sativa L.) cultivar, i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National Cropbetween SR11532-4 and SR14502F2. This cultivar has about 115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seeding to heading and is semi-dwarf (culm length
        46.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covered barley variety, 'Daeyeonbori'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Milyangketbori, a stabile for machine harvest, and Olbori by the barley breeding team in the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NYAES) in 1999. An elite line,
        47.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malting barley variety, 'Daeabori', was developed from cross between Jinkwangbori/Milyang 46 and Mihogolden, a good quality, by the barley breeding team in the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NYAES) in 2001. An elite line, YMB1503-
        48.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wheat variety, 'Anbaekmil'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aemil and Geurumil by the wheat and barley breeding team of the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NYAES) in 2001. A promising line, YWM2078- 3B-2-3-7, was selected in
        49.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covered barley variety, 'Keunalbori 1'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Keunalbori, a large grain variety, and Milyang 55, a brittle-awned variety, by the wheat and barley breeding team in the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N
        51.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담수직파재배에서 질소시비 수준에 따른 도복 발생에 관여하는 줄기의 물리적 성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포장도복 정도가 다른 5 품종을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입모률은 66.7~71.2%의 분포를 보였으며, 입모수는 m2 당 103~110개로 적정한 분포를 보였다. 2. 포장도복 정도는 질소시비수준 5kg/10a구에서 평균 2.2, 10kg/10a구에서 평균 3.0, 15kg /10a구에서 평균 5.5를 보여, 질소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포장도복정도가 심하였다. 품종간 차이가 뚜렷하여 청명과 동진벼가 1.5~5.5를 보였으며, 대청, 팔공 및 화성벼는 2.0~7.2를 보였다. 3. 간장은 질소시비량 15kg /10a에서 6~9cm 정도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도복발생 벼가 무도복 벼에 비해 5~8cm 정도 길었으며, 도복발생 벼와 무도복 벼의 경우 제 3절간은 각각 19.2, 11.4cm, 제 4절간은 각각9.3, 7.5cm, 제 5절간은 3.9, 3.2cm의 차이를 보였다. 4. 지상부 모멘트가 작을수록, 줄기의 좌절시 모멘트가 클수록 도복발생이 억제되었다. 5. 근중과 간기중과는 r =0.732 로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고, 단면계수 값과 점 모멘트간에는 f=-0.989 로 고도의 부의 유의성을 보였다.
        52.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쌀 생산비를 절감하여 국제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에서 많이 발생하는 도상에 대한 기초연구로 담수표면직파재배에 있어서 파종량과 생장조절제 처리에 따른 내도복성과 수량성에 대한 시험을 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량에 따른 입묘수는 60.9~143.4개/m2 의 분포를 보였으며, 립묘율은 71.7~76.1%로 양호한 경향이었다. 2. 파종량이 많을수록 간장이 길었으며, 생장조절제 KIM-112 처리에 의한 하위절간의 단축으로 간장 단축이 뚜렷하였고, 처리시기에 따라 단축정도는 각각 달랐다. 3. 생장조절제 KIM-112 처리는 엽각과 상위엽을 작게하여 직립화에 의한 수광태세가 개선되었으며, 또한 간기중이 증가하였으며 파종량이 많을수록 도복경감 효과가 컸다. 4. 줄기 좌절시 모멘트와 간직경은 파종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였으며 그 정도는 KIM-112 처리에서 훨씬 작았고,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파종량이 증가함에 따라 많아졌고, 등숙률과 천립중은 KIM-112처리에서 약간 높았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