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1

        64.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65.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400원
        66.
        199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a new direction of college English programs,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Korean university EFL leamer needs. With this goal, this study discusses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provided for 405 student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study also discusses a new direction of desirable English programs on the basis of the needs assessment.
        6,700원
        68.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πl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feasibility of a new direction of EFL learner needs assessment in Korea. π1Îs paper relates theoretical concepts and methodological frameworks in needs assessment in general to the p때lC비따 concem with needs assessment in TEFL. 까le paper also discusses a new direction of the needs assessment in terms of the “ leah1er-centered” system, thc 폐 needs" type, the “process-oriented" interpretation, and the “democratic" approach.
        5,200원
        75.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영어 재귀사의 해석 가능한 선행사가 문장 안에 잠정적으로 두 개 존재할 때, 한국인 EFL 학습자들이 영어의 통사적 제약보다 그림으로 주어지는 맥락 정보에 기반하여 재귀사를 해석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학습자들이 그림맥락이 주는 정보를 가지고 영어 재귀대명사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복문 내포절의 정형성 여부에 따라 선행사 판단 양상이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였다. 한국인 성인 EFL 학습자 23명과 영어 원어민 화자 11명이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참가자들은 총 80개의 영어문장이 다양한 그림과 함께 제시되는 그림기반 진리값 판단과제(Picture-based Truth-Value Judgment)를 온라인으로 수행하였으며, 전반적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한국인 성인 EFL 학습자들은 영어 원어민 화자와 마찬가지로, 그림 맥락이 특정 선행사를 선호하도록 유도하는 화용적 정보가 제공되는 가운데에서도 영어의 통사적 제약을 위반하는 장거리선행사는 재귀사의 선행사로 허용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복문 내포절의 정형성 여부가 EFL 학습자들의 해석 양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는 않았으므로, 해당 이슈에 관한 재검증의 필요성이 제안된다.
        76.
        202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ye-tracking approach allows us to collect and analyze data for a wide range of measures of eye-movements, to relate these to language processing, and to have insight of language processing (Conklin, Pellicer-Sánchez, and Carrol, 2018). The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ESL university students process the sentences with complex noun phrases modified by relative clauses. Two types of sentences with complex noun phrases were examined: complex noun phrases modified by relative clauses located in a sentence subject (syntactic-based processing) and those located in a sentence object (semantic-based processing). In total, 32 EFL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xation count, regression rate, first reading time, and total reading time of areas of interest were examined. The eye-tracking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gression rates on noun 2 than noun 1 in both types of complex noun phrases. In terms of verb selection, however, the results showed contrasting aspects : noun 1(verb 1 selection) preference in syntactic-based processing whereas noun 2(verb 2 selection) preference in semantic-based processing,
        77.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orking memory is defined as the mechanisms or processes that allow humans to store information in the face of interference such as processing other information during sentence proces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PBL task performance with EFL university students. Forty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working memory scores (higher and lower groups). Reading span test has been implemented for working memory task. PBL tasks consist of word, phrase, sentence, and explanation levels. The results show that WM capacity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BL task performance. The correlation analysis of WM scores(storage and processing) and PBL task performance showed different tendency in WM higher and lower groups according to the task types.
        78.
        202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영어 여격 구문 사용 양상을 파악하고 여격 구문 사용에 있어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였다.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이 영어의 여격 구문을 습득하는 데 있어서 모 국어인 한국어의 전이현상이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에 근간하여: 1) 한국인 영어학습자가 영어의 여격 구문을 사용함에 있어서 모국어인 한국어의 여격 구문의 특성과 관련된 사용 양상 및 오류를 보이는지, 또한 2)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여격 구문 사용양상이 영어 원어민 화자의 여격 구문 사용과 어떻게 다른 양상 및 오류를 보이는지에 관하여 조사였다. 한국인 대학생 60명과 영어 원어민화자 10명이 그림기반 문장완성검사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 한국인 학습자들의 영어 여격 구문 사용양상에서 원어민화자들에게서 나타나는 것과 다른 유형의 선호도와 오류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그 차이가 영어 여격 구문의 특징과 다른 모국어인 한국어 여격 구문의 특징과 관련이 있으므로, 모국어 전이현상을 기반으로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79.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two factors. The first things has investigated the way the Korean L2 learners apply the pattern of ‘adverb+ verb collocation’ in English to their ‘opinion paragraph writing’ on the topic sentences, with the focus on two factors: meta-discourse perspective on the genre of paragraphs and the writers’ strategies for selecting particular collocation types. Second element with the findings of the first step has suggested the effective writing methods for the Korean L2 learners. From 15th October to 2nd November, 2018, the researchers had examined the L2 learners’ topic sentences shown as in the their first drafts, to identify the attitude (I agree), engagement (consider) markers or self-mentions (I, We) and boosters (completely, fully, strongly, etc.) in meta-discourse resources which were founded on the types of essays. We had proposed that the learners would produce proper English ‘adverb+verb’ collocations based on the semantic features for verbs and adverbs in English and Korean with the feedback comments. Secondly, the researchers had reanalyzed the learners’ final products which have been focused on the learners’ self-correction for the deviant English-Korean collocations or non-collocation in English. The researchers had found out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which had suggested for learning the suitable English collocation usag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major thing has shown that the learners would depend on the meta-discourse resources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academic writing styles or genre. Another implication of the findings is that the new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of L2 ‘adverb+verb’ collocational competence should be based on the nature of teaching methods that stress input-based or refrain from explicit vocabulary teaching.
        80.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통사 점화를 통한 여격 구문 습득 과정에서 구문 유형(PO vs. DO)과 동사 유형(Same verb vs. Different verb)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도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총 61명의 실험 참여자들은 구문 유형과 동사 유형에 따라 임의로 네 개의 실험 집단(POS, POD, DOS, DOD)으로 배정되었다. 실험 결과, DO 구조의 사후 이해도는 구문 유형(PO vs. DO)에 따라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DOD 집단과 POD 집단의 평균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사 유형은 여 격 구문의 이해도에 유의미한 효과 차이를 가져오지 못하였고 구문 유형과 동사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 역시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내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대조한 결과, DOD 집단의 DO 구조에 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과 크기 역시 큰 것으로 나타났다 (d=0.75). 이 결과는 통사 점화가 암시적 학습의 형태로 L2 학습에 인지적 기능을 수행하며 L2 학 습 상황에서 복잡한 통사 구조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