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5

        61.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plift phenomenon of container cranes occurred during the past earthquakes. Therefore, the evaluation of the potential uplift of the container cranes is an important task when the demand for trade is increas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ability of the uplift occurrence of the container crane subjected to a wide range of earthquake intensity. The uplift results are then fitted to the log-normal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
        62.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propose a structural modeling method to analyze the seismic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rched stone bridge. For this purpose, we select the representative model of arched stone bridge, and various arch types ar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and height. Accordingly, this study applies the discrete element method for the modelling of discontinuum structure to analyze the seismic behavi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various arched types.
        63.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ynamic behaviour of container crane under seismic loading is a complex issue, especially for assessing uplift. The pin support is commonly used to model the contact between crane’s legs and the ground/rails in low seismicity area. However, the behaviour of the structure is quite different under high seismic intensity because the crane’s wheels are not fixed to the rails in operation. In this study, therefore, a 3-D finite element (FE) model was simulated with gap elements to consider the uplift behavior. In addition, the vertical reaction of the crane’s legs were investigated as well.
        64.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terest and requirement of seismic qualification for nonstructural components are increasing in South Korea after observing nonstructural component failures by Kyungju earthquake on 12, October, 2016. However, amplification of input motion by hight of building are not considered in most of seismic qualification or design for nonstructural components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seismic loads are compared which is applied to seismic qualification or design for structural or nonstructural component. As a result, amplification effect by vertical location in a building for nonstructural component should be considered for efficient seismic qualifications. Also, further studies are needed how to apply those amplification effects to required response spectra.
        65.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t was modelled high-rise building applying outrigger damper system and analyzed by applying eccentric load. By controlling the variation of damping and stiffness of the damper, the seismic response control performance of outrigger damper system was analysed. An outrigger damper system is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top floor displacement response and torsional angle. Therefore, the damper should be selected the proper stiffness value because the variation of stiffness have an influence on the torsional angle.
        66.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LRB 받침을 갖는 플레이트 거더교를 해석 대상 교량으로 하고 편구배별 곡선반경과 사각을 해석변수로 하여 교량 받침의 반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지진파로는 El-Centro 지진 기록과 인공지진파를 각각 교축방향과 교축직각방향으로 적용 하고 3D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곡선교 내측과 예각부에서 부반력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위치로 나타났으며, 또한, 교축 직각방향으 로 지진이 작용하였을 때가 또한 가능성이 높은 조건으로 해석되었다. 그 이외에도 직선교보다는 곡선교이면서 곡률반경이 작고 사각이 작을 수록 부반력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량의 부반력 발생여부는 지진파의 종류 및 교량의 편구배, 곡선반경, 사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67.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negative reaction at seismic isolation bearings subject to seismic load, seismic records of El-Centro and artificial earthquake wave were applied to a single-plate girder bridge with various analytical parameters of curvature radii and skew angles. It is found that seismic analysis using those parameters should be carried out to prevent negative reaction at support.
        68.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진이 발생할 경우 장대레일교량에 있어 레일과 상판 간의 종방향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한 것으로, 해 석모델에 여러 하중조합과 함께 지진하중을 적용함으로써 대상 철도교량 레일에서의 축방향 부가응력과 레일-상판 간 상대변위의 변화를 산 출하였다. 해석 결과, 본 연구 대상 철도교량의 경우 철도시설공단에서 제시하고 있는 표준응답스펙트럼을 적용할 때 레일부가응력은 대부분 의 하중조합에 대해 허용기준 내의 값을 보이고 있는 반면, 레일-상판 상대변위는 공단에서 제시하는 허용기준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레일-상판 상대변위가 레일부가응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허용기준을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아울러 고베 대 지진과 같은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면 레일부가응력과 레일-상판 상대변위는 허용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내진 대비 가 필요하다.
        69.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uned Mass Damper (TMD) is a prominent mean of controlling structural vibration. Typically the TMDs ar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tructure.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multiple tuned mass dampers (MTMD) distributed along with the height of structure is investigated for seismic loading. A ten storey building with lateral degree of freedom is modeled with distributed tuned mass dampers in the platform of MatLab R2010a. Though the first mode of a MDOF system dominates in response of the structure,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other mode can also have a significant role in the response reduction. Suitable location for the installation of the TMDs and there tuning frequencies are selected based on the mode shape and frequencies of the uncontrolled structure respectively. It is observed that distributed TMD is more effective than Single TMD and Multiple TMD installed at top of the structure in response reduction.
        70.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및 에너지 수요로 인하여, 신재생에너지 개발 수요가 증가하면서, 특히, 풍력에너지에 대한 세계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여왔고, 국내에서도 동일한 제주도를 시작으로 하여, 서남해 지역에도 2.5GW 해상풍력단지의 개발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풍력발전기의 제작기술이 급속히 발전하여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고, 안정하면서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지지구조물로 버켓기초가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버켓기초형식의 지진하중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는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동적원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동적원심모형실험은 대전 K-water연구원에 설치되어 있는 대형 빔형 원심모형실험장비(유효반경 8 m, 용량 800 G-ton)에 탑재된 진동대를 활용하였다. 대상 구조물은 1/240 스케일로 축소모형으로 모사되었다. 상부구조물은 NREL 5MW reference turbine과 타워의 제원을 바탕으로 등가의 주파수특성을 가지는 1자유도구조물로 모사하였다. 모형지반은 SP로 분류되는 모래지반에 대해 수행되었다. 2개의 계측기록지진파와 2개의 인공파형이 통제점 기반암에 가진되었고, 거동을 분석하였다. 버켓기초의 지지를 받는 해상풍력타워구조물의 동적특성과 변형특성이 분석되었다. 향후 해상풍력구조물의 내진설계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점토지반을 포함하는 지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71.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valuation of the seismic performance for the reinforced concrete piloti building considering special earthquake load. For this, nonlinear static push-over and dynamic seismic response analysis for the two models designed with and without special earthquake load were carried out.
        72.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we determine the number of reinforced pile foundations required for vertical extension remodeling through analysis of construction steps on all combinations of load including the seismic load and vertical load.
        73.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case of spatial structures with different ground condition or time lag occurred by earthquake velocity, multiple support excitation may be subjected to supports of a keel arch structure. In this study, the response of the keel arch structure under multiple support excitation are analyzed by means of the pseudo excitation method. Pseudo excitation method shows that the structural response is divided into two parts, ground displacement and structural dynamic response due to ground motion excitation. It is known that the seismic responses of spatial structure under multiple support excitatio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spatial structure under unique simple excitation.
        74.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필로티 구조는 인구 및 산업시설의 도시 집중화로 인해 부족한 택지 및 용지의 해결을 위하여 도입된 이래, 국내 기존 저층 다세대 주택 및 근린생활시설 등의 주차공간 및 기준층 공간 확보를 위하여 주로 채택되고 있으나, 이들 필로티 구조는 지진발생시 필로티 층의 내진성능 부족으로 층 전체가 붕괴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에 대한 파괴모드 및 손상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필로티 구조의 손상 메커니즘을 파악하기 위하여 저층 철근콘크리트 필로티 건축물을 모사한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제 지진파를 이용한 진동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체는 기존 저층 다세대 주택 및 근린생활시설의 도면을 수집·분석하여 실제 대상 건축물의 구조적 특성 및 동적 응답특성을 가장 잘 모사할 수 있도록 기둥과 코어간 전단력비, 강성비 등을 고려하여 계획하였으며, 총 2개 층으로 1층은 4개의 필로티 기둥과 1개의 계단실 코어벽으로, 2층은 1층에서 연장된 코어벽과 전단벽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에 사용한 지진파는 El-Centro NS파(1940년, PGA=350gal)로, 최대가속도를 기준으로 국내 내진설계기준의 지진하중 기준을 고려하여 Scale을 증가시키며 동적가력 하였다. 실험결과, 필로티층에 손상이 집중되었으며 상층부는 강체로 거동하면서 거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필로티 층에서는 가진방향 코어벽체에 최초로 전단균열이 발생한 후 점차 균열이 확대되어 최종 전단파괴 된 반면, 기둥은 상·하부에 미소 휨균열만이 발생하였다. 이는 코어벽체가 기둥보다 전단내력은 더 크지만 단면 형상에 따른 수평강성 또한 커지게 되어 코어벽체와 기둥이 병렬적으로 연결된 본 실험체 경우, 강성이 큰 코어벽체에 하중이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로티 구조를 가지는 건축물이 지진하중을 받을 시, 필로티 층에 손상이 집중되며 필로티 층에서는 강성이 큰 코어벽체의 전단파괴가 선행되고 이후 내력을 상실하면 상대적으로 기둥의 내력이 부족하여 전제 수직·수평하중을 부담하지 못하고 층붕괴에 이르는 손상 메카니즘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75.
        200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조 재료와 시공기술의 발달로 구조물은 높고 길게 설계할 수 있게 되었으나, 그에 따른 진동문제와 사용성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였고, 구조물의 과다한 변위는 구조물에 심각한 손상을 발생시켰다. 이러한 구조물의 진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구조물의 상태벡터와 제어력만으로 구성된 훈련패턴을 기본으로 하여 인공신경망이론과 확률신경망이론을 사용하여 구조물의 진동을 능동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구조물의 제어를 위해 LQR 제어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상태벡터와 제어력을 구한 후, 상태벡터를 입력으로 제어력을 출력으로 하는 인공신경망과 확률신경망의 훈련패턴을 구성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Northridge 지진하중을 받는 3층 빌딩구조물을 제어하였고, 제안된 인공신경망과 확률신경망의 제어 결과를 비교하였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