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5

        61.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온 스트레스에 대한 호박의 생육과 식물체 내 삼투조절 물질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삼투조절물질의 축적은 저온에 대한 내성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가용성 당은 저온에 강한 품종보다는 저온에 약한 품종에서 축적량이 많았다. 저온 처리 시 proline은 대조구에 비해 저온에 강한 품종과 약한 품종에서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저온에 대한 내성에 따라 축적량에는 차이가 뚜렷하였는데, 저온 처리 후 20일째의 proline축적량은 대조구에 비해 저온에 약한 품종에서는 22배 증가하였고, 저온에 강한 품종에서 는 26.6배 증가하였다. 또한 저온에 약한 품종에서는 glycine betaine이 축적되지 않았지만, 강한 품종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1.9배의 증가를 보였다. Glycine betaine을 엽면 처리하면 두 품종 모두 저온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체내에 glycine betaine의 축적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4,000원
        62.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병원균 감염에 의한 식물체내 프롤린과 암모니아의 농도 변화와 그것의 스트레스 생리학적 의미를 구명하기 위하여 Rhizoctonia spp.를 처리 후 라지 펫치에 감염된 잔디의 생육 및 관련 화학적 성분을 감염이 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라지 펫치에 감염된 잔디의 뿌리의 건사율은 대조구에 비해 약 30% 증가하였다. 가용성 단백질 농도는 병원균 처리후 6일째 잎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라지 펫치 감염에 따른 유의적인 영향이 없었다. 암모니아 농도 역
        4,000원
        6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령지농업연구소에서 육성된 '자심' 감자(Solanum tuberosum L.) 괴경의 자주색 육색은 안토시아닌 색소의 축적에 기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자심' 감자의 괴경 조직에 안토시아닌이 축적될 때 결정적으로 관여하는 기상 환경요인을 분석하고 색소 함량 증대를 위한 질소시비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기상 환경요인이 뚜렷하게 다른 3개 지역에서 파종시기 또는 재배 작형을 달리하여 '자심' 감자를 재배하고 수확된 괴경의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한 결과, 수확일을 기준으로 수확전 30일 동안의 야간온도가 낮을수록 괴경내 안토시아닌 축적이 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토시아닌 축적에 영향을 미치는 질소시비 수준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고랭지인 대관령에서는 권장시비량 처리구에 비해 감량시비 혹은 증량시비 처리구에서 안토시아닌 함량이 낮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평난지인 강릉에서는 시비수준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안토시아닌이 고농도로 축적된 자주색 육색의 '자심' 감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재배지대 및 작형의 선택과 시비관리가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64.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65.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딸기 시설재배에서 시비방법이 작물의 생육, 무기원소 흡수 및 토양 중 무기염 집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1차 년도의 시비방법에 따른 딸기 생육에서 초장, 엽장, 관부직경, 엽병장 및 엽폭은 대조구를 제외한 시비구들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10a당 수량에서 (D)가 가장 많았고, (A), 농촌진흥청 추천시비(B), 일본의 도치기시험장 추천시비(C) 및 대조구(E)순으로 수확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D)와 (E) 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2차년도 정식 80일 후에 조사한 생육 또한 (E)를 제외한 시비구들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2차년도의 수량 및 평균 과중 등은 1차년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2차년도 토양분석에서 pH는 모두 수용 가능한 범위에 포함되었으나 (A)와 (D)에서 EC가 2.36 및 2.19%dS·m-1로 측정되었다. (A)와 (D)는 토양 NO3-N 농도가 각각 74.6 및 65.%mg·L-1〈/TEX〉, 그리고 Na가 3.71 및 3.53cmol+kg-1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A) 및 (D)는 수량 증가를 위해 바람직 하나 토양의 NO3-N 및 Na 농도를 높여 염류집적을 심화시키는 시비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68.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형포유류는 생태계의 생체내 중금속축적에 대한 지표종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금호강에 서식하는 소형포유류의 생물축적에 대한 연구를 위해 2002년 5월 28일~6월 12일에 걸쳐 포획을 실시하였다. 포획을 위해 셔만트랩과 스냅트랩이 사용되었으며 등줄쥐와 우수리땃쥐 등 2종 총 39마리를 포획하였다. 그 중 동정이 가능한 30마리에 대한 중금속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개체군 중 16마리(53.3%)가 번식기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 4가지
        4,000원
        69.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질산태 질소의 공급수준이 알팔파의 영양생장기 동안의 질소동화와 성장 및 재생기간 동안의 뿌리조직내 전분과 질소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0.2, 1.0 및 3.0 mM KN 하에서 10주 동안의 영양생장 후 건물 및 질소 화합물의 식물조직내의 분포를 분석하고, 24일간 1차 및 2차 재생을 각각 시킨 후 뿌리조직에 축적된 전분과 질소 함량을 분석하였다. 10간의 영양생장 후 건물과 질소화합물의 함량을 1.0 mM 처리구를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4,000원
        70.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주간 정상적으로 생장한 닭의장풀을 Hoagland용액(±100μM Cd2+,100μM Cd2++100μM Ca2+, 100μm Cd2++200μM EGTA) 에서 1주 동안 수경 배양한 후 Cd2+ 처리시 Cd2+ 흡수와 생장에 미치는 Ca2+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EGTA처리는 Cd2+ 수송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생장 및 생체량에서Cd
        4,000원
        71.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붉나무에서 면충에 의하여 형성되는 오배자 및 꽃오배자면충의 생장과정과 시기별로 축적되는 tannin 함량을 분석하고 동시에 이들 충영으로부터 유래된 배양 callus에 IAA등을 처리하여 생육 및 tannin 축적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충영의 발달은 오배자가 꽃오배자 보다 이른 시기인 6월초에 시작되었고 완숙단계도 오배자가 9월초까지 지속됨으로서 오배자가 면충은 꽃오배자 보다 면충 보다 생활사가 길며 먹이 활동 또한 활발한 것
        4,000원
        72.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주간 생장한 닭의장풀을 Hoagland용액 (±100μM Cd2+ 또는 100μM Cd2++100μM SA)에서 4일 동안 수경 재배한 후 Cd2+ 및 살리실릭산(SA) 처리시, 닭의장풀의 뿌리와 분리 표피에서의 Cd2+ 농도와 nonprotein-SH 합성을 측정하였다. Cd2+ 처리구에서는 98μM Cd2+/g.fr.wt이 검출되었다. 이는 대조구에 비해
        4,000원
        73.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h ball 배지의 이화학적특성과 사용배지의 염류집적 및 제거효과를 펄라이트 및 입상암면과 비교하였다. ash ball의 가비중, 진비중, 공극율은 각각 0.93 g.cm-3, 2.29 g.cm-3, 40.6%, 59.4%로서 그중 가비중은 펄라이트 및 입상암면에 비해 현저히 높았고 가공율은 낮았다. 배지의 포화수분함량(saturation moisture capacity)은 ash ball이 52%, 펄라이트가 71%, 입상암면이 90%로 나타났고, 배수 1시간 후 수분율은 ahs ball이가 21%, 펄라이트가 27%, 입상암면이 80%로 낮아졌다. Ash ball의 입도별 수분율은 소립(3~5 mm)이 대립 (7~15mm)에 비해 5% 정도 높았다. Ash ball의 배드내 수분율은 수직 및 수평방향의 분포가 균일하여 수분확산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ash ball의 pH는 7.6으로 약염기성을 나타내었다. 배지를 침지한 배양액의 pH는 7.6으로 약염기성을 나타내었다. 배지를 침지한 배양액의 pH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EC는 거의 변호가 없었으며, 배지내 무기이온의 흡착은 ash ball과 입상암면은 인산의 흡착이 비교적 많았다. 토마토 재배에 사용된 ash ball의 염류집적은 펄라이트와 비슷하였고 8회 정도의 침수처리로 배지표면에 흡착된 무기염을 대부분 제거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로부터, ash ball 배지는 보수력은 다소 낮지만 통기성 및 수분확산성이 우수하여 배지내의 수분조절이 용이한 배지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75.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vestigates a firms knowledge accumulation pattems. lt argues that knowledge accumulation paths tend to follow certain directionality once the initial type of knowledge is chosen. A conceptua1 framework is developed to identify distinct knowledge accumulation paths. Based on earlier studies, technologica1 knowl어ge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is c1assified into two categories: general and specific. lt is proposed that firms with initial investment in general knowledge are more likely to expand into specific knowledge while those beginning with specific knowledge should show no systematic pattems. Empirical data of the globa1 semiconductor industry largely support the propositions. Also, there emerge c1ear country pattems in knowledge accumulation. In particular, ]apanese companies revealed strong tendency to invest in general knowledge first and then expand into (related) s야cific knowledge. U .S. and European companies showed more cliverse pattems, with some of them initia11y investing in specific knowledge. Korean, Taiwanese and Brazilian cases took paths more diverse than ]apanese but less diverse than U.S. and European counterparts. Since there arises inertia in knowledge accumulation process, initia1 choice of a particular knowledge type carries profound implications for further knowledge builcling dynamics.
        6,000원
        76.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질소비료의 다용(多用)이 사초내의 질산염 함량, 강우에 의한 사초내의 질산염 함량, 그리고 하루 중 사초내의 질산염 함량의 차이를 조사하여 반추가축의 질산염 중독 발생 예방과 적정 질소시비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단그라스계 교잡종 중 Xtragraze II 1번초를 공시하여 1995년 6월부터 9월까지 익산대학 동물사육장 시험포에서 실시하였다. 시비수준은 ha당 연간 질소 200kg, 400kg 및 600kg으로 하고, 인산과 칼리비료는 200kg씩 사용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질산태질소 함량은 생육시기의 진전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200kg구에서는 신장기초까지, 그리고 400kg 이상에서는 전생육기간 동안 중독위험수준을 초과하였다. 강우 후 사초의 질산태질소 함량은 성장기에는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생육말기나 출수기 이후에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사초의 하루 중 질산태질소 함량은 오전이 오후보다 비교적 더 높은 경향이었다. 질산염중독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질소시비수준은 200 k g ⋅ N / h a / y e a r 이하로 나타났다.
        4,000원
        77.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초의 내하고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내열성 유전자 (BcHSP17.6)의 발현양상을 배추에서 조사하였다. BcHSP17.6 단백질을 항원으로 한 항체를 생산하여 항원-항체 반응으로 확인한 결과, 생산된 항체는 항원과 결합하므로서 항체가 정상적으로 생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항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heat shock (HS) 조건에서 15-~18-kD low molecular weight heat shock proteins (LMW HSPs)가 축적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들 LMW HSPs는 $35^{\circ}C$ 수식 이미지 처리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40^{\circ}C$ 수식 이미지에서 4시간 처리하였을 때 total protein 100 mg당 $1.56{\mu}g$ 수식 이미지이 축적되어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합성된 이들 LMW HSPs는 HS 처리후 24시간이 경과되어도 거의 변함이 없었으며, $40^{\circ}C$ 수식 이미지 보다 높은 온도 조건에서는 축적량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일단 합성된 LMW HSPs가 장시간 동안 감소하지 않는다는 사실로부터, 이들 HSPs들이 식물체가 내열성을 가지도록 하는데 관여하며, 더 나아가서 배추가 정상 생육온도보다 더 높은 치사온도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78.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periments were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dynamics of uptake at low temperature with forage rape(Bmssica napus), barle(Hordeum vulgare) and winter rye (Scale cereale). A net uptake and the contents of nitrogenous compound in tissues at low tempe
        4,000원
        79.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on the nitrate accumulation in Italian ryegrass. Italian ryegrass was grown at the experimental field, College of Agr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from Se
        4,000원
        80.
        199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ybean mosaic virus에 감수성 품종인 단경콩과 저항성 품종인 팔달콩의 cotyledon에 여러형태로 자극을 처리하였을때 유도되는 isoflavone aglycones(daidzein, genistein)와 이들 배당체들(daidzin, genistin)의 시간별 축적 정도를 조사하였다. UDP-glucose, , 의 처리 및 Botrytis cinerea의 감염에 의하여 두 품종 모두 isoflavone aglycones와 이들 배당체들의 함량이 대조구(water 처리)와 비교하여 증가하였다. 그러나 citrate의 처리에 의해서는 isoflavone aglycones의 함량은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isoflavone glucosides의 함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UDP-glucose, 및 의 처리에 의하여 isoflavone aglycones의 함량은 단경콩보다 팔달콩에서 크게 나타났다. 특히 daidzein의 경우, 단경콩보다 팔달콩에서 현저하게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Botrytis cinerea의 감염에 의해서 daidzein의 최대 축적 양에는 두 품종 사이에 큰 차이가 없으나 최대 축적 시간은 팔달콩이 단경콩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그 배당체인 daidzin과 geinstein의 축적은 단경콩보다 팔달콩에서 모든 자극처리에의해 높게 나타났다. UDP-glucose, , 및 의 처리에 의한 daidzein과 geinstein이 축적되는 양은 단경콩에서는 초기에는(24hr까지)에는 비슷하나, 48hr이후에는 daidzein의 축적이 geinstein의 함량보다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팔달콩에서는 대체로 전 기간에서 daidzein의 함량이 geinstein의 함량보다 크게 나타났다. 병원균의 감염에 의해서는 두 품종에서 모두 daidzein의 양이 geinstein의 양보다 크게 나타났다.
        4,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