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8

        61.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양파추출물의 간보호 및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간 손상을 유발시키는 t-BHP (1.5 mM) 존재하에 간세포를 0, 0.01, 0.05, 0.1 및 0.3 mg/ml의 다양한 농도의 양파추출물로 1시간 동안 일차배양하였다. t-BHP는 GOT와 LDH 활성 및 TBARS 농도를 증가시켰으며 MTT값은 감소시켰다. 0.05 mg/ml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t-BHP에 의해 증가된 GOT 및 LDH 활성을 감소시켰으며 0.1 mg/ml 농도의 양파추출물은 t-BHP에 의해 감소된 MTT 값을 증가시켰다. 또한 0.01 mg/ml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t-BHP에 의해 증가된 TBARS 농도를 감소시켜 양파추출물이 t-BHP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과 지질과산화를 억제시켰다. t-BHP 처리는 간세포의 catalase, GSH-Px 및 GSH-Rd 활성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그러나 0.1 mg/ml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t-BHP에 의해 감소된 catalase GSH-Px 및 GSH-Rd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catalase 활성은 t-BHP 무첨가군 수준까지 증가시켰다. 또한 hydroxyl radical을 생성하는 Fenton 시약의 존재하에 plasmid DNA를 양파추출물과 함께 배양한 결과 양파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hydroxyl radical에 의해 유도된 single-strand 절단을 억제하였다. 이상과 같이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양파추출물은 t-BHP에 의해 유발된 간독성, 간세포 생존율 감소, 지질과산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시켰고 또한 t-BHP에 의해 억제된 GSH-Px, GSH-Rd 및 catalase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이와 같이 양파추출물의 간보호 및 항산화 효과는 항산화 효소 특히 catalase의 활성 증가와 hydroxyl radical에 의해 유도된 산화억제 및 이에 따른 지질과산화 억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64.
        200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terspecific hybrids between onion (Allium cepa L.) and green onion (Allium fistulosum L.) were produced using pistillate parents of two male sterile onion (msC1, msC2) and one male sterile green onion line (msF1), and pollen parents of one male fertile
        65.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양분석 결과 시험전에 비해 P , K, EC의 함량이 시험후에 높았고, 식물체 분석결과 늦게까지 추비한 처리에서 CaO의 함량이 높았다. 생육은 처리간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수량은 농가관행의 고형비료 처리가 시험장 및 농가포장에서 ha당 53.2MT 및 56.6MT인 것에 비해 2월과 3월 액비처리는 58.2MT 및 60.8MT, 3월과 4월 액비처리는 53.6MT 및 59.1MT 였다. 8월 하순까지의 부패율은 농가관행 고형비료 처리가 각각
        66.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dentification of compatible parental line is of great importance in introduction of useful characters to onion breeding program, beyond the severe hybridization barrier. Phylogenic analysis of Allium section Cepa was conducted through PCR by URPs, repeated sequences of A. fistulosum, and microsatellite markers. Totally 76 accessions originated from 21 countries were clustered into five groups at a 0.84-similarity level: group I;A. cepa and its wild relatives and A. cepa ssp. ascalonicum, group II; A. cepa ssp. wakegii, A. cepa ssp. proliferum and Samcheung-pa group III; A. fistulosum and A. altaicum, group IV; A. galanthum, group V; Soeckkori-pa. Samcheung-pa and Soekkori-pa, Korean local varieties, shared band type of both Cepa group and Altaicum group, indicating that those are derived from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A. fistulosum and A. cepa.
        67.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 간이저장시 무분별한 야적에 의해 발생하는 부패를 감소시켜 양파의 상품성 향상 및 안전저장을 목적으로 적재 방법에 따른 저장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균기온은 4열 8단에 비해 1열 6단은 1.6~3.2, 1열 8단은 0.5~3.5, 2열 6단은 1.3~.6, 2열 8단은 0.1~2.4, 4열 6단은 0.1~1.8가 낮았고 상대습도는 열수가 많을수록 높았다. 부패율은 4열 8단 16.6%에 비해 1열 6단 11.4%, 2열 6단 11
        68.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를 간이저장 할 때 발생하는 부패 및 변색구에 의한 상품성 저하를 감소시킬 목적으로 무차광. 55% 차광 및 95%차광을 처리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균온도는 무차광에 비해 15%차광에서 1.0~2.9가 낮았고, 95%차광에서는 2.0~3.8가 낮았으며, 상대 습도는 차광정도가 높을수록 약간 높았다. 2. 처리별 조도 및 색도는 차광정도가 높을수록 낮았고, 저장 21일 후 변색구 발생율은 무차광 90.0%애 비해 55%차광 3
        70.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자처리 한 종자를 실제 포장에 파종기를 달리하여 포장환경과 양파의 생육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양파 직파재배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파종기별 포장출아율, 포장출아소요시간, 생육특성, 잡초발생, 수량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1.종자처리 종자의 포장출아율은 파종기간 차이가 없었고, 출아소요시간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지연되었다. 2. 종자처리 종자의 직파재배 파종기는 9월 10일이 적기로 출아율과 출아소요시간은 각각 87과 192시간이었으며, 늦어 도 9월 20일 전에는 파종을 마쳐야 한다. 3. 이삭재배와 직파재배의 월동 전 유묘생장은 9월20일 파종까지는 직파재배에서 양호하였으며, 뿌리수가 직파재배묘에서 월등하게 많았다. 4. 월동 후 3월 8일 조사한 유묘생장은 전체 파종기에서 직파재배가 이식재배보다 양호하였는데 이후 조사에서는 생장의 차이가 점차 감소되었으며, 5월 8일 조사에서는 9월 20일 직파묘와 이식묘의 생장이 거의 비슷하였다. 5. 결주율은 이식재배 3%에 비해 직파재배에서는 13∼18%로 훨씬 높았으며, 그 정도는 파종이 지연 될수록 심하였다. 6. 평균 구중은 직파재 배에서 파종기가 늦어 질수록 감소하였는데, 직파재배와 이식재배에서 각각 230과 217g으로 직파재배에서 무거웠다. 7. 추대율은 직파재배가 이식재배 보다 높았으며, 파종이 지연될수록 약간 감소하였다. 8. 수량은 직파재배와 이식 재배가 각각 5,134와 5,300kg으로 이식재 배가 높았는데, 직파재배에서 파종이 늦어질수록 감소가 뚜렷하였다. 9. 품종간 평균 수량은 조생종과 중만생종에서 각각 3,750과 4,908kg으로 중만생종이 훨씬 높았고, 조생종에서는 소닉 품종이, 중만생종에서는 농우대고가 가장 높았다. 10. 흑색유공비닐 직파재배에서 발생 잡초는 흑쐐기풀 외 9종으로 흑쐐기풀, 민바랭이 및 개여뀌가 우점종이었으며, 파종기가 늦어 질수록 발생잡초량은 감소하였다.
        71.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의 직파재배를 안정화를 기하기 위한 일환으로 농도별로 조정한 생장조정제에 종자를 침지한 다음 포장에 파종하여 유묘의 초기생장성을 조사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물생장조정제 처리 종자의 출아율은 BA, GA3 및 kinetin 이 각각 93.0, 94.3, 93.8%로 생장조정제별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무처리 종자 80%보다는 훨씬 높았다. 2. 초장은 식물생장조정제 처리효과가 뚜렷하였는데, 그 정도는 GA3, kinetin 및 BA순이었으며, GA3,와 BA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초장이 컸던 반면, kinetin은 오히려 작아졌다. 3. 전개엽수는 식물생장조정제처리에 의해서 증가하였는데 식물생장제별 큰 차이는 없었다. 4. 유묘의 뿌리수는 식물생장조정제처리에 의해 뚜렷하게 증가하였는데. CA3처리에서 가장 효과가 컸으며. 다음이 BA, kinetin 순이었다.
        72.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find out the storage quality as influenced by the amount of kalium fertilizer in the Onion (Allium Cepa L.) cultivation , 4 different levels of kalium fertilizer amount, 0, 11, 154 and 462 kg/ha, were applied to cv. "Changnyungdaego" with the following results. As the amount of kalium fertilizer was increased, the content of kalium was increased in the soil and plant, the progress of falldown was somewhat delayed at the level of 462kg/ha kalium fertilizer , but the plant growth and yield were not different , respectively. The rotting ratio was decreased 7.5% by October at the 462kg/ha kalium than the 0 kg/ha treatment . The sprouting and total weight loss ratio were decreased at the levels of 154kg/ha kalium fertilizer.
        73.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vestigate the storability of onions on calcium spraying, after cutting foliage, 6 different treatemnt , the dilution spraying of calcium nitrate 9 3%, 6%) , calcium carbonate(3%, 6%), dust scattering and the controls were evaluated for rotting, sprouting, healthy bulb and total weight loss ratio during storage. Rotting ratio on the dilution spraying of 6% calcium carbonate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after 4 months storage by 16.7%. Sprouting and total weight loss were decreased in the dilution spraying of 6% calcium carbonate.
        74.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의 직파재배를 정착시켜 국제경쟁력을 제고 시키기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양파종자에 pellet 처리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pellet종자의 제 특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ellet 종자의 모양형성은 일차적으로 pellet물질의 종류에 따라 좌우되며 kaolin, clay, ash,석고 등은 모양형성이 잘 되었으며, bentonite와 diatomite는 모양형성은 되지만 pellet 종자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았으며, clay는 모양형성은 잘되지만 건조하는 과정에서 pellet종자의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PG를 polymer로 PVS(8%)를 binder로 하여 pellet한 종자는 모양 형성, 경도 등에서 가장 적합하였다. 2) Pellet종자의 경도는 polymer종류, binder의 종류와 농도의 영향을 받는데 그 정도는 polymer에서 더 컸다. pellet물질 중 경도가 높았던 것은 gysum, coal ash 등이었으며, 생석회는 경도가 가장 낮았다. 3) PG로 pellet한 종자의 기내 발아율과 출아율은 각각 93.6, 91.8%로 pellet 물질 중 가장 높았고, 출아율은 처리온도 20, 25℃에서 비슷하였다. 토양 수분함량별 출아율은 각각 91% 이상으로 토양 수분함량간 큰 차이는 없었다. 종자의 크기별 평균 출아율은 pellet종자 입경 5와 6mm에서 각각 92.0%로 가장 높았다. 파종심도별 출아율은 파종심도 10mm에서 92.7%로 가장 높았으며 파종심도가 점차 깊어질수록 낮아졌다. 토양수분함량별 평균 출아소요시간은 토양수분함량 70%에서 158시간으로 대조구 138시간에 비해 20시간이 지연되었다.
        75.
        1999.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variability of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with different levels of polyethylene glycol(PEG 6,000) solution in onion seed. Average germination percentage of seed primed in PEG solution with 1.00 and 0.75 MPa was higher than control, and that of seed primed in 1.50MPa was lower than unprimed control. Germination percentage(GP) of seed primed for 5 days was highest, and as the primed days become long, the GP was decreased. The GP of airation seed during the primed was higher than that of unairation seed, about 5% , respectively. The GP of washed seed after primed was higher than that of unwashed seed, but that of redried seed after primed wa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s. The highest GP cultivar was Chunjoogoohyung and the lowest GP cultivar was Seouldego in unredried seed after primed, but Chunjoojoonggo was highest and Jungpoonwhang was the lowest cultivar in redried seed after primed. As the PEG concentration increased, the seedling length(SL) was shortened, and seed primed for 15 days was longer than other treatments. The SL of primed seed was similar to GP. The SL of washed seed after primed was longer than that of others, but that of redried seed after primed was shortest among the others. The SL of Chunjoojoonggo and Nongwoodego was longest and Seouldego was shortest among the cultivars in unredried seed after primed, but that of Chunjoogoohyung and Chunjoojoonggo was longest and Seouldego was the shortest cultivars in redried seed after primed.
        76.
        199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vestigate to optimum levels of nitrogen and phosphate fertilizer to get a higher yield and a quality of an onion(Allium Cepa L.) from 1993 to 1994. Three fertilizer levels were applied with 120, 240 and 360kg/ha of nitrogen and 100, 200 and 300kg/ha of P2O5 during the onion growing season. After harvesting the onion, it was storaged at given deposit. The growth and yield of the onion were better at the fertilizer levels of both 240 and 360kg/ha of nitrogen and of both 200 and 300kg/ha of P2O5 than at the level of 120kg/ha in nitrogen and 100kg/ha of P2O5. The content of total nitrogen and P2O5 in plant was decreased with reduced application levels of nitrogen and phosphate fertilizer. The rotting rate was higher at the levels of both 360kg/ha in nitrogen and 300kg/ha in P2O5 than the other treatment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sprouting rate tended to be high at 240kg/ha of nitrogen and 100kg/ha of P2O5.
        77.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 재배(栽培)에 있어서 기계(機械)를 이용(利用)하여 수확(收穫)의 성력화(省力化)로 노동력(勞動力)과 생산비(生産費)를 절감(節減)하기 위해 본(本)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기계(機械)를 이용한 양파 굴취수확(掘取收穫)은 관행인력굴취수확(慣行人力掘取收穫)에 비해 트랙터 후부(後部)에 굴취기(掘取機)를 부착(附着)해 서 수확(收穫)한 굴취수확(掘取收穫)이 90-93%로 성력효과(省力效果)는 가장 좋았다. 2. 트랙터 후부(後部)에 굴취기(掘取機)를 부착(附着)한 수확기(收穫機)의 성력효과(省力效果)는 관행인력수확(慣行人力收穫)에 비해 37%의 작업시간(作業時刊)을 절감(節減)하여 37%의 작업비(作業費)를 절멸(節滅)했다.
        78.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 채종재배(採種載培)에 적합(適合)한 파종시기(播種時期)와 피복(被覆)을 구명(究明)코자 시험(試驗)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生育), 추태율(抽苔率), 개화율(開花率), 화경당(花莖當) 소화수(小花數) 및 임실율(稔實率)은 9월(月)10일(日)~ 25일(日) 파종(播種), 투명(透明) 비닐피복(被覆) 하(下)에서 가장 양호(良好) 하였다. 2. 주당(株當) 채종량(採種量) 및 10a당(當) 채종량(採種量) 역시(亦是) 9월(月)10일(日)~25일(日)에 투명(透明)비닐 피복하(被覆下)에서 증수(增收)여서 우리나라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는 양파모구(母球)를 9월(月)10일(日)~25일(日)에 투명(透明)비닐 피복하(被覆下)에서 파종(播種) 하는 것이 적합(適合)한 것으로 나타났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