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0

        61.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studies of two aphid species, A. egomae and A. gossypii occurring in green perilla greenhouse were conducted at 15~35℃, and 16:8 (L:D h) of light period in the laboratory. The mortality of two aphid species was high in young stages (1st and 2nd). In A. egomae, the mortalitiy increased with increasing and decreasing temperature: the mortalitie at 15℃ and 35℃ were 22.3% and 15.6%, respectively. While the mortalities of A. gossypii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mortality at 35℃ was 50.0%. The developmental periods of A. egomae and A. gossypii ranged from 20.8days to 5.4days and from 22.6days to 9.1days at 15℃ to 30℃ of temperature resion, respectively, and were 7.2days and 10.7days at 35℃ for each species.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temperatures for total nymphs of A. egoame and A. gossypii were 9.9℃ and 4.9℃, respectively and an effective degree-days (DD) for the developmental completion of total nymph were 108.0 DD for A. egomae and 221.2DD for A. gossypii. In green perilla greenhouse, the occurrence period of A. gossypii was earlier about 15 days than that of A. egomae. When the occurrence period of two aphid species was estimated by degree-days based on lower threshold temperatures, A. gossypii occurred earlier than A. egomae in the field. A. gossypii occurred from early April and showed dominant position to late May compared with A. egomae. Whereas, A egomae started to occur from mid April and then were abundant after late May followed by abrupt population crash around late July.
        4,000원
        62.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ording to the preceding survey on insect pests of the green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The major pests were Aphis egomae Shinji, Pyrausta panopealis (Walker), Tetranychus urticae Koch, Polyphagotarsonemus latus Banks,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at Guemsan, Chungnam, 2004. Aphis egomae causes nearly 100% injury of the green perilla in uncontrolled green houses.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economic injury levels (ElLs) and control thresholds (CTs) for A. egomae injuring green perilla in green houses. Different densities of A. egomae ranged from 1 to 80 aphids per 100 plants in early inoculation. The mean injurying rate of plant was 2.4% to 40.5% at the end of June at differently inoculated levels. The economic loss time calculated by the ratio of cost managing aphid to market price (C/V) (C: cost managing aphid, V: Market price) in early season (from May to 13. June) was 5.8% and in peak season (from 13. June to 30. June) was 9.3%. Economic injury level in early and peak season was 5.3 aphids per plant and economic injury levels in peak season were 0.6 aphids per plant and 7.6% injured rate of plant. The control thresholds calculated by 80% level of economic injury level in peak season were 0.5aphids per plant and 6.1% injury rate of plant, respectively.
        4,000원
        68.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ganic agriculture, choose of effective and cheap bio-pesticide is very important. The authors developed an insecticidal extract from neem cake, waste of neem oil from kernel, and applied as a bio-pesticide. Bio-pesticide neem cake extracts experiment
        4,000원
        69.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디혹파리(Aphidoletes aphidimyza Rondani 1847)의 발육실험 조건은 RH, 광조건은 16L:8D이었다. 알에서 번데기 기간까지 종합한 발육기간은 에서 43.9, 44.5일이였고, 에서 14.3, 15.8일이였으며, 발육영점온도는 10.7, 이고, 유효적산온도는 210.8, 245.5일도였다. 두 종의 진딧물을 먹이로 한 온도별 발육율은 변형된 Sharpe와 DeMichele의 비선형모형에 잘 적합되었다. 진디혹파리의 발육 단계별 발육완료 시기 분포 모형을 생리적 연령을 이용하여 Weibull function으로 보았을 때 알유충번데기 순으로 점차 발육 완료가 짧은 기간에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적합도를 나타내는 은 0.86-0.93, 0.85-0.94로 누적 발육율을 비교적 잘 보여주고 있다. 성충 수명은 에서 8.7, 9.2일이였고 에서 3.1, 2.7일이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알 기간에서 의 경우 발육기간은 짧았으나 부화율이 미만으로 낮았고, 유충은 에서 번데기에 이르지 못하고 모두 사망하였고 에서는 발육기간이 길어져 이상에서는 유충과 번데기가 부의 영향을 받아 기존의 보고와 상이하였다. 또한 성충수명에서 의 경우 성충수명은 길었으나 케이지 내에서 움직임이 전혀 없었고, 산란 또한 하지 않았으며 에서도 성충기간이 짧아 산란 수가 아주 적거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진디혹파리를 진딧물 방제에 이용할 경우 성충이 자유롭게 움직이며 산란할 수 있는 이상 미만의 온도가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4,000원
        70.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lover)의 성충수명, 산자수는 15-32.5, 습도는 , 광주기는 16L: 8D조건에서 조사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생명표를 작성하였다. 를 기준으로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서 수명이 길어지고 산자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에서 산자수가 61.8마리로 가장 많았다. 이와 다르게 성충의 일일 출산 수는 까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였고(일일평균 5.6마리) 이후 감소하였다. 온실에서 성충수명은 20.0일, 산자수는 59.6마리로 의 항온조건보다 수명은 길고 산자수는 더 많았다. 목화진딧물의 생명표를 작성한 결과 순증가률(Ro)은 에서 54.9이였고, 내적자연증가률()과 기간증가률()은 에서 0.5와 1.6으로 최고 값이었고, 배수기간(DT)과 평균세대기간(T)은 에서 1.4와 6.8로 가장 작았다. 따라서 이들 수치를 통해 보았을 때 목화진딧물이 생활사를 완성하는데 최적 조건은 라 생각한다.
        4,000원
        71.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화진딧물 발육실험은 15-35, 습도는 60-70%, 광주기는 16:8 (L:D h)에서 수행 하였다. 진딧물 약충 사망률은 초기 1-2령의 사망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온도의 상승에 따라 사망률이 높아져 32.5에서 36%였으며, 35에서는 1-2령의 사망률이 44%, 3-4령이 56%로 이 온도에서는 진딧물의 발육이 이루어지지 많았고, 3-4령의 사망률이 1-2령의 사망률보다 높게 나타난다. 전체약충의 온도별 발육기간을 보면 15-3까지 온도의 상승에 따라 발육기간이 11.5에서 4.6일로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고온의 영 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되는 32.5에서는 오히려 발육기간이 5.5일로 길어졌다. 발육영 점 온도는 5.이였고, 유효적 산온도는 106.8일도였다. 온도별 발육율은 변형된 Sharpe와 DeMichele의 비 선형 모형 에 잘 적합되었다. 발육단계별 발육기간을 표준화하여 누적시킨 값들은 3개의 변수를 갖는 Weibull function에 적합되었다.
        4,000원
        74.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화진딧물은 여러 작물에 헤를 입히는 문제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화진딧물의 접종밀도를 달리했을 때 참외의 생육고 당함량에 미치는 영향과 진딧물 제거후 생육의 회복 정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진딧물의 피해를 받은 참외의 증상은 잎이 오그라들고 신초부분이 위축되었다. 목화진딧물이 참외에서 20일간 흡즙한 후 생육은 진딧물을 접종하지 않은 참외에 비해 생육이 월등히 감소하였고, 진딧물의 접종밀도간에는 진딧물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생육이 부진하였다. 초장은 무접종의 1/3수준이었고, 엽면적은 무접종에 비해 12~38% 수준이었으며 건물증은 무접종의 30~51% 수준이었다. 진딧물을 제거한 후 참외의 생육은 10일 후에는 진딧물의 피해를 받은 잎은 거의 신장하지 못한 채로 있으나, 신초부분의 생육이 다소 회복되었다. 20일 후에는 5마리 접종에서 초장, 엽면적 건물증이 월등히 증가하여 생육이 회복되었다. 진딧물 제거후 시간이 지날수록 회복되는 속도가 빨라졌으며 접종밀도간 회복속도는 5마리 접종이 가장 빨랐다. 주당 진딧물을 접종하였을 때 참외 전체 잎의 당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엽당 진딧물을 접종하고 접종한 잎만 분석한 경우는 진딧물누적일수량이 증가할 수록 전체 당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