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2

        63.
        200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공수정 기법을 이용한 칡소의 증식효율을 검토하고자 칡소 종모우의 정액을 채취하여 종모우별 정액성상, 동결융해 후 정액의 특성, 수태율 평가를 위한 체외수정 및 인공수정 후 수태율과 송아지의 모색 분포 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정액은 호반모를 가진 수컷 6두에서 채취하였으며, 동결 융해 후 체외수정을 실시하였다. 총 18두의 칡소 및 일반 한우 암컷에 인공수정 후 수태율을 확인하였고, 생산된 40두의 송아지를 대상으로 모색을 분석하였다. 칡소 정액의 동결 전 일반 성상은 개체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동결 후의 생존율과 활력에서도 개체별 차이가 없었다. 체외수정에 의한 수정능 분석 결과, 수정율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배반포 발육율이 일반 한우에 비하여 칡소 정액 체외수정 시 25.9%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인공수정 후 임신율에는 일반 한우와 칡소 간에 차이가 없었다. 칡소 정액의 인공수정 후 태어난 송아지의 모색 표현형은 40두의 송아지 중 호반모(Tiger)가 17두(42.5%)로, 황흑모, 흑황모, 흑모 및 황모에 비하여 높았으나 전체적으로 낮은 발현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호반모 암컷에 인공수정한 경우에도 55%의 송아지만 호반모로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인공수정에 의한 칡소의 증식이 가능하나 호반모 칡소의 발현 빈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64.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급육을 생산한 한우의 유전자를 재활용하기 위해 기초 등록우와 혈통 등록우의 육질등급이 1 등급 이상인 암소의 난소에서 개체별로 채취한 난포란을 개체별로 각각 체외 성숙, 체외 수정 및 체외 배양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초 등록우의 육질 등급별로 회수된 난포란은 각각 1 등급 평균 28.9개, 등급 평균 28.8개, 등급 29.6개로 평균 29.0개였다. 기초 등록우의 육질 등급별 배반포배 형성율은 각각 1 등급 27.2%
        4,000원
        65.
        200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reemartinism is the most frequent form of intersexuality found in cattle, and females of heterosexual twins become sterile. With increase of twinning rates due to transfer of multiple embryos derived from in vitro fertilization, it is of great economic value to establish early diagnosis of freemartins to remove infertile individuals from breeding stock. In the present stud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of two different Y-chromosome specific segments (BRY.l and AMX/Y) was performed to identify freemartins from twins and less common single born freemartins in Korean Native Cattle (KNC). Two male-specific sequences were amplified in all heterosexual twins tested (n=5). In addition, Y-specific PCR products were detectable in one of the single born females (n=4) with visible genital abnormal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nsitivity of PCR-based assay may be sufficient to detect freemartinism in single born females as well as female partners of heterosexual twins in KNC.
        3,000원
        66.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우 체외수정란의 이식에 있어서 수정란 측 요인들이 수란우의 임신과 유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식에 제공하는 배반포의 수량에 따른 임신율은 1개, 2개 및 3개 이식 군에서 각각 32, 44 및 였고, 유산율은 로서 2개 이식군의 임신율과 유산율이 가장 높았으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배반포 등급에 따른 임신율은 , 유산율은 로서 유사한 경향이었다. 배반포의 발생 단계에 따른 임신율은 로서 비슷하였으나, 유산율은 HB군이 LB
        4,000원
        67.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 vitro maturation (IVM) and in vitro fertilization (IVF) duration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Native Cattle embryos. The time of blastocyst formation and the quality of blastocysts based on cell numbers were examined. The cleavage rate increased with the length of IVF duration in the groups of 18-hr IVM, but was constant in the groups of 24-hr IVM. The development rate to the 8-cell sta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VM 18: IVF 20 group than in the IVM 24: IVF 24 group. The development rate to the blastocyst stage was highest in the IVM 18: IVF 20 group,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IVM 18: IVF 16, IVM 24: IVF 20 and IVM 24: IVF 24 group. The time of blastocysts formation tended to be shorter when IVM and IVF duration were decreased. The number of inner cell mass, trophoblast and the total cel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VM 18: IVF 16 group than in the IVM 24: IVF 24 group (P<0.05).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VM and IVF duration should be adequate for the efficient production of bovine embryos, and it might particularly be essential to determine the proper combination of IVM and IVF duration.
        4,000원
        68.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제수정란 생산에 있어서 수핵란 내 체세포 주입 후 전기적인 융합은 필수과정인데, 이 과정을 거치는 동안 많은 수의 체세포 주입 난자가 융합에 실패하거나 lysis가 일어나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한우 체세포를 이용하여 핵이식을 실시한 후 수핵세포질과 응합을 시도할 때 전기융합 방법에 따른 융합율과 배발달율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여세포는 한우 귀 세포조직을 채취하여 0.05% trypsin과 EDTA가 첨가된 D-PBS로 세포를 분리한 후 DMEM
        4,000원
        70.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in vitro에서 성숙된 난자의 핵성숙(Polar Body extrusion)에 소요되는 시간과 배반포 단계로의 발달능력 사이의 관계를 비교하여 조기에 발달능력을 가진 embryo를 선발할 수 있는 IVP 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in vitro maturation(IVM)에 따른 first polar body(PB) 형성, IVM과 IVF 시간이 oocyte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생산된 배반포의 세포수를 평가하였다. IVM은 TCM199 배양액을 사용하였고 in vitro fertilization(IVF)은 Fer -TALP용액을 사용하였으며 in vitro culture(IVC)는 CRlaa 배양액을 사용하여 2일까지는 0.3% BSA를 3일 부터는 10%FBS와 bovine oviduct epithelial cell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IVM 시간에 따른 PB의 출현율은 0hr(0%), 6hr(0%), 12hr(0%), 14hr(8.7%), 16hr(40.5%), 18hr(48.0%), 20hr(65%), 22(68%) 그리고 24hr(74.5%)을 보였으며 IVM 시간에 따른 cleavage 및 8cell 발달율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배반포(BL) 및 8cell에서 배반포로 발달률은 18시간(BL 316, BL/8cell 82 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4시간(BL 172, BL/8cell 608%)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IVC 7일째 배반포의 총세포수와 trophoblast(TE) 세포수는 IVM 18시간(meanS.E.; total: 131.134.0, TE: 97.629.6)에서 24시간(total: 112.217.5, TE: 80.115.6)보다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왔으나(P<0.05) 7일째의 inner cell mass(ICM) 숫자(18hr 33.512.8 vs 24hr 32.112.0)와 8일째 ICM, TE 그리고 총 세포수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IVM 18시간에서 PB 형성과 8cell 발달률 사이에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배반포 및 8cell에서 배반포 단계로 높은 발달률을 보였으며 생산된 배반포의 TE 숫자와 총 세포수가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IVM 18시간 실시하였을 경우 보다 많은 세포수를 가진 배반포 발달 가능성이 높은 embryo를 조기에 선발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75.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several potential antioxidants were examined as a means of increasing the in vitro development of in vitro matured and in vitro fertilized oocytes into morulae and blastocysts. Korean native cattle embryo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were cultrued for 7 days at 38.5 in CR1aa containing varing concentration of the antioxidants in a gas phases consisting of 5% CO2, 95% humidified air.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oportion of embryos developed to morulae and blastocysts in CR1aa containing 2.5uM -tocopherol(11.0% and 6.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0, 5.0, and 7.5uM -tocopherol (P<0.05). concentration of 50uM L-ascorbic acid (7.5% blastocysts) did affect the proportion of embryos developing into blastocystes(P>0.05). Addition of 200uM cysteamin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0, 100 and 300uM (P<0.05). When the fertilized oocytes were cultured at 0. 200, 400 and 600uM of selenium for 168 hrs, the morulae rates were 12.2, 5.2, 16.0 and 16.1% respectively, and addition of 200uM seleniu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0, 400, 600uM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ddition of -tocopherol, L-ascorbic acid, cysteamine and selenicum can enhanced development to the morulae and blastocysts of in vitro derived fertilized oocytes.
        4,000원
        76.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핵 이식에 공여되는 수핵난자의 효과적인 동결보존을 위하여 한우 성숙난자를 1.0 M dimethylsulfoxide(DMSO) 또는 1.0 M glycerol이 함유된 동결보호제를 이용하여 처리하거나, 동결보호제 처리 후 완만동결법을 이용한 동결융핼르 시행하여 상기 실험처리로 야기되는 투명대 경화현상을 관찰하였다. 도축장 유래의 난소에서 미성숙난자를 채취한 후 10% 소 태아혈청을 함유한 TCM-199을 이용하여 22∼24 시간 동안 체외성숙배양을 이해
        4,000원
        77.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bovine somatic cells was evaluated using nuclear transfer. A single donor cell derived from fetus of HanWoo(Korean Native Cattle) was selected and deposited into perivitelline space of each enucleated oocyte before electrical fusion and activation. Nuclei of donor cells starved for 7 days (37%) tend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reconstitute embryo the blastocyst stage better than those of donor cells starved 3, 14 and 30 days. The cleavage rate was significantly lower(P<0.05) in reconstitute embryos derived from large size donor cells(51.2%), than those from small medium size donor cells(76.6 and 73.5, respectively). The developmental rate to blastocyst of reconstructed embryos from medium size donor cells was higher than those from small and medium size donor cell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n appropriate culture period for induction into quiescent stage and the size of donor cells effect on the efficiency of nuclear transfer using cultured bovine cells.
        4,000원
        80.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mbryonic development ability and the appearance of blastocysts of bovine in vitro fertilized oocytes cultured in different culture media, and also to evaluate survival rate after thawing of frozen embryos by using 1.5 or 1.8M ethylene glycol(EG) with sucrose or trehalose. Fertilized oocyt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 ) monolayer of cumulus /granulosa cell prepared by TGM 199+5% calf serum(TGM199), ii)GRlaa+5% CS, iii)SOF+5% CS, and they were cultured after insemination for 9 days, at 39˚C, under 5% in air, but SOF+5% CS was cultured at 39˚C, under 5% 02, 5% GO2, 99% N2. Blastocysts derived from GRlaa + 5% CS on day 7~8 after insemination were frozen by using 1.5M EG or 1.8M EG with/without 0.2M sucrose or O.1M trehalose. The development rate of blastocysts on day 7 after insemination in SOF+5% CS was significant higher than in TCM199 or CR1aa(P<0.05). The appearance rate of blastocysts on day 7-8 after insemination was higher than in TCM199, when fertilized oocytes were cultured in GRlas or SOF. The survival rate of frozen blastocysts after thawing tended to increase, when blastocysts were frozen by using 1.8M EG with 0.2M sucrose or O.1M trehalos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OF or CRlaa media with amino acids was superior to TCM199 with monolayer in terms of blastocyst development in culturing of in vitro fertilized bovine nocytes, and sucrose or trehalose was supposed to prevent embryos from the freezing shock.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