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4

        62.
        2018.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온 열분해를 통한 Cs, Sr 등 고방사성핵종의 고정화를 위하여 각각 Cs이 흡착된 CHA (K형 Chabazite zeolite)-Cs, CHA-PCFC (potassium cobalt ferrocyanide)-Cs 및 Sr이 흡착된 4A-Sr, BaA-Sr 등의 제올라이트 계에서 TGA 및 XRD에 의한 배소 온도 변화에 따른 상변환을 고찰하였다. CHA-Cs 제올라이트 계의 경우 900℃ 까지는 CHA-Cs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1,000℃에서 무정형 단계를 거친 후 1,100℃에서 pollucite (CsAlSi2O6)로 재결정 되었다. 반면에 CHA-CFC-Cs 제올라이 트 계는 700℃ 까지는 CHA-PCFC-Cs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900∼1,000℃ 사이에서 구조가 파괴되어 무정형으로 상변환 된 후 1,100℃에서 pollucite로 재결정 되었다. 한편 4A-Sr 제올라이트 계의 경우 700℃ 까지는 4A-Sr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 으며, 800℃에서 무정형으로 상변환 된 다음 900℃에서는 Sr-feldspar (SrAl2Si2O8, hexagonal)으로, 1,100℃에서 SrAl2Si2O8 (triclinic)로 재결정 되었다. 그러나 BaA-Sr 제올라이트 계의 경우는 500℃ 이하부터 구조가 파괴되기 시작하여 500∼900℃ 에서 무정형 단계를 거친 후, 1,100℃에서 Ba/Sr-feldspar (Ba0.9Sr0.1Al2Si2O8 및 Ba0.5Sr0.5Al2Si2O8 공존)로 재결정 되었다. 상기 제올라이트 계 모두 온도 증가에 따라 탈수/(분해)→ 무정형→ 재결정의 단계를 거쳐 광물상으로 재결정 되었으며, 고온 열 분해 과정에서의 Cs 및 Sr의 휘발성, 침출성 등의 추가 연구가 요구되지만 각 제올라이트 계에 흡착된 Cs 및 Sr은 pollucite나 Sr-feldspar, Ba/Sr-feldspar 등으로 광물화 하여 Cs과 Sr을 배소체/(고화체) 내에 완전히 고정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000원
        6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numerous errors already revealed in Shuo Wen Jie Zi by Xu Shen in Eastern Han dynasty, it is still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literature in Chinese character studies. This study utilizes tools, such as mathematical functions, set and logic, to look into Shuo Wen Jie Zi from a new perspective. Through this approach, one can get a macro-scale tendency or trend. At the same time, one can pin-point numerous micro-scale errors. This study firstly defines functions that constitute the framework, and then processes the entire data set within Shuo Wen Jie Zi, addressing the topics associated with it.
        5,400원
        6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nvironmental cleansing insect which is well known for Black Soldier Fly(BSF), Hermetia illucens egg mass wightby hatch survival rate and animal carcass and pig feces decomposition ability trial and examined survival rate. BSF eggmass examined A-1,2,3 group each 4.56g equivalent condition hatch after survival rate, Survival BSF larva was36,394.67±3,038.863, survival rate average was 64.8%. Put the BSF larva 45,000 into the Python regius carcass showeddecomposition takes 9 days, wight was decreased rate to 67%. Put A-1,2,3 survival BSF larva dived half into pig feces,carcass. Pig carcass, feces each 6.35kg decomposition take 12 days, 14 days, wight decreased rate to 58.8%, 63.2%, Survivalrate showed to 4.87%, 85.6%, one larva per 1.16g, 2.26g pig carcass, feces take decomposition. Since the lack of food,BSF larva didn’t grow more than the pig carcass feed group, extra in 6kg of pig feces feed. Amount pig feces take12.35kg decomposition during 32 days. Manure make 4.2kg.
        65.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배가스 내 존재하는 오염물질인 NO의 처리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NO 산화 공정을 연구하였으며, 강력한 산화력의 건식산화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H2O2 촉매분해가 도입되었다. H2O2 분해공정 상에서 적용 가능한 K-Mn/Fe2O3 불균일계 촉매가 제조되었으며, 이들이 가지는 물리화학 적 특성이 H2O2 분해반응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다. 제조된 건식산화제는 NO가 포함된 모사 배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NO 산화공정에 적용되었으며, 다양한 모사 배가스의 유량(5, 10, 20 L/min)에서 약 100% 가까운 NO 전환율을 확인 하였다.
        4,000원
        69.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limate change is the biggest concern of the 21st century.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from various sector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cause of climate change. The DeNitrification-DeComposition (DNDC) model simulates GHG emissions from cropland. To study future GHG emissions using this simulation model, various factors that could change in future need to be considered. Because most problems are from the agricultural sector, DNDC would be unable to solve the factor-changing problem itself. Hence, it is necessary to link DNDC with separate models that simulate each element. Climate change is predicted to cause a variety of environmental disasters in the future,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human adaptation to environmental change, th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ethods of farmland will also change greatly. In this study, we introduce some drawbacks of DNDC in considering future changes, and present other existing models that can rectify the same. We further propose some combinations with models and development sub-models.
        4,000원
        70.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current study, oxidative decomposition of a volatile organic compound was investigated at room temperature and pressur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lower ethylene concentration and with various higher gas flow rates. The reactor has 7 different compartments in which the reaction takes place independently. Plasma was generated inside each compartment by the application of alternating current (AC) voltage. 5 wt% manganese loaded and 5 wt% silver loaded 13X zeolite were used as catalysts. Bare zeolite showed higher ethylene decomposition efficiency than Ag loaded and Mn loaded zeolite. Ozon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slightly while increasing the SIE, reached a maximum and started decreasing. Ag loaded zeolite also showed similar decomposition efficiency, but the concentration of ozone was greatly lowered.
        4,000원
        71.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work investigated the decomposition of aqueous anatoxin-a originated from cyanobacteria using an underwater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system based on a porous ceramic tube and an alternating current (AC) high voltage. Plasmatic gas generated inside the porous ceramic tube was uniformly dispersed in the form of numerous bubbles into the aqueous solution through the micro-pores of the ceramic tube, which allowed an effective contact between the plasmatic gas and the aqueous anatoxin-a solution. Effect of applied voltage, treatment time and the coexistence of nutrients such as NO3 -, H2PO4 - and glucose on the decomposition of anatoxin-a was examined. Chemical analyses of the plasma-treated anatoxin-a solution using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and ion chromatography (IC) were performed to elucidate the mineralization mechanisms. Increasing the voltage improved the anatoxin-a decomposition efficiency due to the increased discharge power, but the energy required to remove a given amount of anatoxin-a was similar, regardless of the voltage. At an applied voltage of 17.2 kV (oxygen flow rate: 1.0 L min-1), anatoxin-a at an initial concentration of 1 mg L-1 (volume: 0.5 L)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in 3 min. The chemical analyses using LC-MS and IC suggested that the intermediates with molecular weights of 123~161 produced by the attack of plasma-induced reactive species on anatoxin-a molecule were further oxidized to stable compounds such as acetic acid, formic acid and oxalic acid.
        4,200원
        7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비고전 감쇠를 가지는 구조물, 모드가 매우 인접되어 있는 구조물의 모드를 분리하기 위하여 제안된 최적화 상태 공간 모드분리법의 검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실구조물에 대한 모드분리의 가능성 및 적용성을 위하여 40층 규모의 건물에 동조질 량감쇠기가 설치된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로부터 계측된 응답에 모드분리법을 적용하였다. 모드분리 결과를 보면, 해당 모드 에서의 에너지 집중을 목적함수로 설정한 경우에는 이웃한 인접모드의 고유진동수 부근에서 파워스펙트럼 값을 인위적으로 작게하여 왜곡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왜곡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된 구속조건과 이를 이용한 목적함수의 설 정을 통해서 인접한 모드가 효과적으로 분리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000원
        73.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낙엽은 육상 생태계에서 영양원소의 주요 원천이며, 낙엽의 분해는 토양의 비옥도를 유지하고, 식물의 생장을 위한 영양원소의 방출 뿐 아니라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조절하는 생물계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그 분포역의 확대가 예상되는 상록활엽수인 동백나무를 대상으로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원소의 함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실험은 전라남도 완도군 주도 상록활엽수림에서 2011년 12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731일간에 걸쳐 수행되었다. 동백나무 낙엽은 기타 상록활엽수 낙엽에 비해 작고 두꺼우며 단단한 재질을 가지고 있고, 비교적 높은 수용성물질과 셀룰로즈, 리그닌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분해 시작 후, 731일 경과 된 동백나무 낙엽의 잔존율은 42.6%이고 분해상수(k)는 0.427으로 나타났다. 동백나무 낙엽의 탄소 함량은 44.6% 를 나타내었고, 분해과정에 따른 탄소의 잔존량은 낙엽 잔존량의 변화와 거의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질소와 인의 초기 함량은 각각 0.47%와 324.7mg/g을 나타내었다. 질소의 잔존량은 분해 초기 증가하여 최고 1.66배까지 증가하였지만, 점차 감소하여 731일 후 초기양의 1.18배를 나타내었다. 인의 경우 최고 1.64배까지 증가하였고 731일 후 1.15배를 나타내었다. 동백나무 낙엽의 칼슘,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잔존량은 분해과정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칼륨의 경우 빠르게 감소하여 8.9%의 잔존율을 보였다. C/N, C/P 초기 비율은 각각 94.87과 1368.5로 나타났지만,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현저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질소와 인의 함량이 초기 함량에 비해 최대 2.78배와 2.68배까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 동백나무의 낙엽은 조사기간 동안에 질소와 인에서는 부동화가, 나머지 원소에서는 무기화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74.
        2015.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troduces the Hierarchical Decomposition Mapping Diagram (HDMD) that represents the systematic architecture of axiomatic design. HDMD is composed of the contents of module symbol and the independence/dependence relationship between FRs (Functional Requirements) and DPs (Design Parameters). The examples presented in this paper show the strength of the diagrams in comparison with other studies of systematic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tools, such as hierarchical diagram, module-junction diagram and system flow diagram.
        4,000원
        75.
        2015.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prepared molybdenum trioxide (MoO3), the most important intermediate of molybdenum metal, by using a fluidized bed reactor for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ammonium molybdate (AM) in the presence of an air flow. During the process of fluidizing the sample inside the reactor, the reaction time and temperature were optimized with a close analysis of the X-ray diffraction (XRD) data and with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In particular, the temperature level, at which the AM decomposition is completed, is very important as a primary operating parameter. The analysis of the XRD and TGA data showed that the AM decomposition is almost completed at ~350 oC with a reaction time of 30 min. A shorter reaction time of 10 min. required a higher reaction temperature of ~500 oC with the same air flow rate to complete the AM decomposition. A sharp rise in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at a temperature ranging between 320 and 350 oC indicated a threshold for the AM decomposition. The operating conditions determin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future scale-ups of the process.
        4,000원
        76.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hemical precipitation method of up-cycled ammonium paratungstate (APT) was studied and compared with the thermal decomposition method. WO3 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chemical precipitation method using a 1: 2 weight ratio of APT: Di-water. For thermal decomposition, APT powder was heated for 4h at 600 oC in air atmosphere. The reaction products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XRD),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XRF), particle size analyzer (PSA), and field emission-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of the upcycled APT allow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sequence of decomposition and reduction reactions that occurred during the heat treatment. TGA data indicated a total weight loss of 10.78% with the reactions completed in 658 oC. The XRD results showed that APT completely decomposed to WO3 by thermal decomposition and chemical precipita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synthesized WO3 powders by thermal decomposition with 2 h of planetary milling was around 2 μm. During the chemical precipitation process, the particle size of the synthesized WO3 powders showed a round-shape with ~0.6 μm size.
        4,000원
        77.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경험적 모드 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시각자극 출현에 따른 과제 수행 시 발생하는 뇌 유발전위의 θ와 α 대역에 대한 진폭과 위상변화를 확인하였다. 과제수행에 대한 뇌 유발전위를 구성 주파수 대역 별로 분 해하기 위하여 경험적 모드 분해 방법을 적용하였고, 분해된 각 내재모드함수에 힐버트 변환을 적용하여 뇌 유발전위의 θ와 α 대역의 순간 진폭과 위상 변화를 확인하였다. 과제 수행 시 뇌 유발전위의 P2, N2과 P3지점에서 θ와 α 대역의 진폭이 크게 관찰되었으며, N1, P2부근에서 순간 위상의 변화가 최대가 되었다. 시각 자극 출현에 따른 응시 상태에서는 두 대역 모두 관련된 위상 변화시점이 확인되지 않았다. 대역통과필터 방법 적용 시, 경험적 모드 분해 방법에 비해 시간과 주파수 해상도가 떨어졌으며, 필터의 파라미터에 따라 위상 변화 시점의 결과 에 차이가 발생하였다. 연구를 통해 θ와 α 대역이 시각 자극 출현에 따른 과제 수행에 대한 뇌 유발전위의 주요 성분인 θ와 α 대역의 위상변화와 뇌 유발전위의 생성을 위상 변화와 연관 지어 해석하였다.
        4,300원
        7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ed to decompose typical odorous VOCs including toluene, isopropyl alcohol, benzene and acetone using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in a pilot experiment scale up to 60 m3/min. It utilized oxygen ions(205,000 ions/cm3) and various radicals formed by a plasma generator. Although ozone as a byproduct( approximately 300 ppb) contributes to destroying organic compounds in their gas phase, the residual release could be captured by post manganese filters showing a maximum 30% removal. The present process was more effective for acetone, which is composed of relatively simple molecules, with a 56% decomposition rate. Whilst toluene, benzene and isopropyl alcohol were shown to have of rates of 19%, 37% and 36% respectively.
        4,000원
        7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high conversion efficiency of C7H8 using non-thermal plasma and metal-supported catalyst. Adsorption-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toluene was performed using 4A type (Zeolite) filled in a concentration reactor. Through this test,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reactor has 0.020 g/g of adsorption capacity (at ambient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3,600 ppm of desorption property at 150℃ (with in 20 min). In case of developed catalyst, toluene decomposition rate of Pd-AO (Pd coated catalyst) was better than Pd/Cu-AO and Pd/Ag-AO (Pd/Ag composite metal catalyst). Developed non-thermal plasma system was obtained flame amplification effect using injection process of desorbed tolune, and 98% of removal efficiency.
        4,000원
        80.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가장기생태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낙엽활엽수인 신갈나무와 상록침엽수인 소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 함량 변화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12월 월악산의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에 낙엽주머니를 설치하고 2006년 3월부터 2011년 9월까지 69개월간 3개월 간격으로 낙엽주머니를 수거하여 분해율, 분해상수(k), 그리고 분해과정에 따른 C/N비, C/P비의 변화와 영양염류의 동태를 조사하였다. 분해 69개월경과 후 신갈나무와 소나무 낙엽의 잔존률은 각각 35.4±2.3%와 16.1±1.3%로 소나무 낙엽의 분해가 신갈나무 낙엽의 분해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해 69개월경과 후 신갈나무 낙엽과 소나무 낙엽의 분해상수(k)는 각각 5.97과 10.50으로 소나무 낙엽의 분해상수가 높게 나타났다. 신갈나무 낙엽의 분해과정에 따른 C/N, C/P 비율은 초기에 각각 43.1, 543.9이었으나 69개월경과 후에는 각각 8.7과 141.2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소나무 낙엽의 경우 초기 C/N, C/P 비율은 각각 151.2와 391.4로 나타났고, 분해 69개월경과 후에는 각각 22.9와 136.5로 나타났다. 낙엽의 초기 N, P, K, Ca, Mg의 함량은 신갈나무 낙엽에서 각각 9.30, 0.23, 2.36, 3.14, 1.11mg/g, 소나무 낙엽에서 각각 3.02, 0.09, 1.00, 3.84, 0.62mg/g으로 신갈나무 낙엽에서 질소와 인의 함량이 현저히 높았다. 분해 69개월경과 후 N, P, K, Ca, Mg의 잔존률은 신갈나무 낙엽에서 각각 73.8, 60.9, 17.2, 20.3, 35.1%, 소나무 낙엽에서 각각 69.5, 75.3, 12.3, 10.9, 10.8%로 나타났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