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7

        81.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rty healthy adults aged 20 to 29 with no history of musculoskeletal or neurogenic disorder volunteered for this study. The contract-relax with agonist contration(CRAC) was applied to the right hamstring muscles with the subject in the supine position. Each hamstring group was stretched on three sucessive days with several repetitions of the technique lasting 1min, 3min, and 5min. respectively. Hamstring extensibility at the knee(ROM)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stretching using on electronic digital inclinometer(EDI). The results, namely the increase in ROM, were analysed using one-way repeated ANOVA at p<0.05.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Possible factors influencing the results are excessive sensitibil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atus of the subjects, and the level of muscle fatigue. The mean increases in ROM were 3.0 at 1min., 2.6 at 3min, and 2.1 at 5min. Inclusion of a control group would have further defined the effects of the stretching technique.
        4,000원
        85.
        1989.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86.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동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크리프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유동화제 2종류와 일반감수제 1종류를 사용하여 재하 하중조건(압축강도의 15% 및 30%)별, 양생조건별로 압축강도 및 건조수축을 측정하고 기건상태하의 크리프 및 크리프변형을 측정하여 유동화 콘크리트의 장기 변형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유동화 콘크리트는 보통 콘크리트에 비하여 재령 28일의 압축강도는 약 22% 증가하였고, 건조수축은 15% 감소하였으며, 크리프변형은 약 11% 감소하였고 28일간의 크리프회복은 보통 콘크리트에 비하여 작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용목적에 따른 적절한 유동화제의 선택과 적정량의 유동화제 사용은 건조수축 및 크리프변형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87.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의 수축현상은 체적 변화를 발생시키며 균열의 원인이 되어 구조물 내구성 및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콘크리트의 수축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특히 골재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변형을 구속하여 수축 발생을 억제하기 때문에 골재의 특성은 수축 현상에서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하는 부분이다. 한편, 골재 부족 현상으로 인해 천연 골재 대체재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 되는 재료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굵은 골재로 사용한 콘크리 트의 수축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축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결과와 수축 예측 모델을 비교하여 기존 예측 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굵은 골재로 사용함에 따라 수축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자기수축 저감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예측 모델과의 비교 시 건조수축과 자기수축 각각 GL2000 모델과 Tazawa 모델이 가장 유사한 예측값을 나타냈으나,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골재 및 혼화재의 물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88.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시멘트계 복합재료의 적층을 위해 증점제를 적용하여 개발한 출력배합의 수축 특성을 평가하고, 프린팅 기법을 이용해 제작한 적층시험체와의 수축 특성을 비교하는 데 있다. 증점제 적용 시 수축이 기준배합과 비교하여 평균 25% 저감(56일 기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축이 저감되는 긍정적인 효과에 반해 압축강도는 약 15% 감소(28일 기준)되는 부정적인 효과도 확인되었다. 출력배합을 이용해 제작한 적층시험체와 몰드시험체를 이용하여 수축을 평가한 결과, 적층시험체의 수축변형률이 약 25% 감소(28일 기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3D 프린팅을 이용한 시멘트계 복합재료의 출력 시 수축의 진전속도와 수축으로 인한 균열의 발생시점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89.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석탄가스화 슬래그를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콘크리트용 혼화재로서 사용하기 위해 석고혼입유무에 따른 콘크리트 건조수축 길이변화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석고 미혼입타입에서는 최대 15x10-3 의 길이변화량을 나타내어 OPC에 비해 굉장히 큰 변화량을 보이는 반면, 석고 혼입타입에서는 최대 10x10-3 의 길이변화량을 나타내어 OPC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치환율에 따라서 적은 수준의 길이변화량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콘크리트 혼화재로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CGS를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석고의 혼입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90.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굵은 골재 특성이 콘크리트 건조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높은 밀도를 가진 전기로 산화슬래그를 굵은 골재로 사용하여 콘크리트 건조수축 시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전기로 산화슬래그를 굵은 골재로 적용한 콘크리트의 경우 일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비해 건조수축 발생량이 저감되었으며, 이는 일반 골재에 비해 높은 밀도를 가진 전기로 산화슬래그의 물리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91.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사회의 급격한 도시화 및 인구밀도 증가로 인하여 고성능 재료를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강도 콘크리트가 갖는 자기수축 특성은 콘크리트 내구성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특성 저감을 위하여 고흡수성 폴리머(SAP: Super absorbent polymer)를 사용하였으며 바인더 대비 0%, 0.3%, 0.5% 첨가한 시험체를 각각 제작하여 매립형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하여 수축량을 계측 및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SAP를 0.3%, 0.5% 첨가한 실험체는 SAP를 첨가하지 않은 실험체 보다 수축량이 각각 약 11% 와 34% 감소 하였으며 이에따라 SAP의 첨가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2.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ncrete is most widely used construction material in the world. Its superior properties make it a suitable material for utilization. Modern age concretes are more durable and have high strengths as compared to old age concretes. However, these high strength concretes presents high shrinkage at early-ages, which is due to low water/binder (w/b) ratios. Keeping in view this problem, this research study is conducted. Mortars were made with cement and silica fume as binders with incorporation of two different size ranges of tea waste particles. Setting time, flow and chemical shrinkage of fresh mortar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saturated tea waste particles reduced the chemical shrinkage at early ages as compared to the mixes without tea waste particles.
        93.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의 건축구조물 옥상 포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 포장면의 균열 저감을 위해 수축저감제의 혼입에 따른 모르타르의길이변화 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수축저감제를 혼입하지 않은 Plain에 비하여 수축저감제 혼입에 따라 모르타르 공시체의 길이변화율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축저감제 혼입량에 따른 변화량의 차이는 미소하였지만 균열저감 효과는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94.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골재를 포함한 복합재료로써 건조 수축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콘크리트를 균질재료로 가정하여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수축은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특정 구성 성분에만 작용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기존의 평균화된 유효물성(effective properties)의 개념으로 규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의 특징적인 거동 중의 하나이며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지만, 아직 불확실성이 많은 콘크리트의 수축 현상을 비균질성을 고려한 전산해석(heterogeneous simulation)을 통해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골재와 모르타르를 별도로 모델링하는 메소모델을 이용하여 모르타르에만 수축 변형을 가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의 수축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에 따르면 콘크리트의 수축에 의한 균열 발생은 골재의 강성과 부재의 구속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축에 의한 콘크리트의 균열발생은 단순한 하나의 값으로 나타내지 못하는 현상이며, 골재의 강성과 부재의 구속도는 그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었다.
        95.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possibility of cracks in fast hardening track has been analyzed with consideration of shrinkage of fast hardening concrete. To evaluate tensile stress on fast hardening track, the analysis considers restrain effects by frictions due to subgrade and rail fastener.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ximum tensile stress in fast hardening track increased as the continuous casting length of fast hardening concrete increased. To prevent cracks due to shrinkage,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continuous casting length be less than 66.9 m.
        96.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program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shrinkage of fast hardening concrete (FHC) which is used to replace the existing ballasted track with concrete track. In the test, curing method was considered as a test variable. The test results indicated that autogenous shrinkage was dominant on FHC while drying shrinkage was negligible. To represent shrinkage of FHC, a new model has been proposed through regression of the test results.
        97.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의 낮은 인장강도 및 균열제어 능력 등의 약한 재료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년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비정질 강섬유와 유기섬유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정질 강섬유와 유기섬유로서 폴리아미드 섬유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장기 건조수축 및 내동해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목표 압축강도 40 및 60 MPa 각각에 대해서 하이브리드 섬유 혼입률을 전체 체적비로 1.0%로 설정하여 비정질 강섬유와 폴리아미드 섬유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장기 건조수축 및 내동해성을 평가한 결과, 재령 365일 및 730일에서의 장기 길이변화율은 플레인 콘크리트보다 각각 30%, 25% 이상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결융해 300 사이클 후의 내구성 지수는 90% 이상으로, 내동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8.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지오폴리머 결합재인 고로슬래그를 분쇄할 때 석고의 혼입 여부,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의 혼합비율과 수축저감제 첨가 여부를 변수로 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에서는 슬럼프플로우를 측정하여 작업성을 파악하였으며, 압축강도와 휨강도 및 건조수축을 측정하여 역학적 성능을 파악하였다. 석고를 혼입한 고로슬래그는 혼입하지 않은 고로슬래그에 비해 슬럼프플로우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의 혼합비율이 5:5인 경우가 혼합비율이 8:2인 경우보다 슬럼프플로우가 커지는 경향을 보여 석고와 플라이애시가지오폴리머의 작업성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고를 혼입하지 않은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지오폴리머는 석고를 혼입한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경우보다 압축강도와 휨강도가 모두 크게 나타났으며,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의 혼합비율이 8:2인 경우가 혼합비율이 5:5인 경우보다 압축강도와 휨강도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석고를 혼입하지 않은 고로슬래그를 사용하고 플라이애시의 혼합비율을 높일수록 건조수축은 감소되었으며 수축저감제도 지오폴리머의 건조수축 저감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99.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ate of autogenous shrinkage (AS) development is a fundamental factor that highly influence the crack risk in low water cement mortar. Internal curing (IC) by using SAP has been used to reduce the AS in low water cement mortar and consequently mitigates the high risk of early-age cracking. Super absorbent polymers (SAP) supply additional IC water for hydration of mortar and as a result the effect of self-desiccation was minimized when the amount of internal water reduced. A series of autogenous shrinkage tests were performed considering two different SAP particle sizes in a constant cu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IC method by using SAP fundamentally solved the problem of autogenous shrinkage in a low water cement ratio mortar.
        100.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α형 반수석고는 생산방법이 복잡하고, 대량 연속 생산이 곤란하며, 재료 단가가 높기 때문에 건설재료로써 활용범위가 크지 않았으 나, 최근 화력발전소의 배연탈황석고를 활용하여 경제적으로 α형 반수석고를 제조하는 기술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결 시 작 시간이 빠르고 재령 초기 팽창변형이 발생하는 α형 반수석고의 특징에 주목하여, α형 반수석고를 10, 20, 30 wt.% 치환한 보통포틀랜드시멘 트 및 고로슬래그시멘트 모르타르를 제조한 후 응결 및 압축강도 특성, 건조수축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α형 반수석고의 치환율이 증가할수 록 보통포틀랜드시멘트 모르타르 및 고로슬래그시멘트 모르타르의 초결시간이 빨라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보통포틀랜드시멘 트 모르타르와 고로슬래그시멘트 모르타르 모두 α형 반수석고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보다 고로슬래그시멘트에서 α형 반수석고의 압축강도 발현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한 모르타르의 경우 α형 반수석고의 혼입에 의해 생성된 에트링가이트 침상결정의 성장압에 의해 초기재령에서 수축변형이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초 기 재령에서 수축변형의 억제 효과는 분명하지만, 재령이 지남에 따라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하지 않은 조건과 변형의 차이는 다시 감소하는 경 향을 보였다. 따라서 α형 반수석고를 모르타르에 적용할 경우 강도는 다소 저하하지만, 응결 촉진 및 수축변형 억제에 큰 효과가 있기 때문에 건설재료로써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