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

        81.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developed a small sensor observation system (SSOS) at a relatively low cost to observe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The accuracy of the SSOS sensor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automatic weather system (AWS) and meteorological tower at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Comparisons between SSOS sensors and KMA sensors were carried out by dividing into ground and lower atmospher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aw data of the SSOS sensor with the raw data of AWS and the observation tower by applying the root-mean-square-error to the error, the corresponding values were within the error tolerance range (KMA meteorological reference point: humidity ± 5%, atmospheric pressure ± 0.5 hPa, temperature ± 0.5℃. In the case of humidity, even if the altitude changed, it tends to be underestimated. In the case of temperature, when the altitude rose to 40 m above the ground, the value changed from underestimation to overestimation. Howev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rrors are within the KMA’s permissible range after correction.
        82.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환경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에서는 환경오염 물질 배출에 대한 규제에 대응하고 나아가 자체적인 환경오염 물질 배출 개선을 위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이 필수적이다. 현재 환경관리공단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TMS(Tele Metering System)를 설치하여 전국적으로 환경오염 배출 물질을 실시간 감시 중에 있으며, 환경오염 배출 기준치 초과 시에는 예・경보를 발생시키도록 대처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대부분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들은 환경 배출 물질 초과 발생 시 원인 분석 기능이 없고 특정 측정 장소(굴뚝 상단의 배출구나 특정 수질 측정소 등)에서의 환경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만 활용하고 있다. 특히 이력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기 때문에 유사 문제 혹은 동일한 문제 발생 시에도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한계점을 적극 보완하여 개선된 시스템을 기획하며, IoT 센싱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실시간으로 사업장 내 이상 상황을 인지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해당 조치를 작업자에게 즉각적으로 지원하는 원스톱 환경 모니터링 및 감시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83.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화장품은 단순한 아름다움의 표현을 위한 미용제품이 아니다. 인구 노령화와 혼족들이 많아짐에 따라 라이프 스타일 의 변화에 따른 개인의 가치와 미의 아이덴티티 표현을 위해 화장품을 사용하는 시대이다. 뷰티 트렌드 중 하나는 ‘스마트 뷰티’로 스마트 시대가 도래 하면서 핸드폰, 태블릿 PC 등의 IT 기기에 국한되었던 스마트 열풍이 뷰티업계까지 장악하였 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 다양한 뷰티 브랜드에서는 멀티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한 뷰티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대세이다. 일반적으로 손을 사용하는 것보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상품이 늘고 효과가 높고, 효능을 높여주는 것으로 그 성능까지 입증되며 뷰티 디바이스 마니아층까지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뷰티시장의 트렌드에 걸맞은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의 개발을 통해 ‘뷰티 하빌리스1)’라는 신조어를 탄생시키며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는 스마트 뷰티 디바이스의 진일보한 발전을 위한 사용자 중심의 제품·서비스로 화장품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스마트 코스메틱의 개발 동향을 살펴보고, 디자 인 융합의 중요성을 고려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IoT 기술과 기업의 신규 사업방향을 고려한 개발을 하여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향후 디자인 분야의 중요시장이 될 수 있는 스마트 코스메틱 디자인을 판매자와 수요자를 고려한 프로세스 를 기반으로 화장품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만들어야 하는 필요성과 내용들을 제시하여 향후 이 분야를 연구하는 연구자들 이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84.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IoT (Internet of Things) where its concept contains providing convenience to human life by connecting every objects around us, numerous projects have been done in civil engineering field. This paper has conducted the basic study on adopting IoT sensing technology and network system into harbor.
        85.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making accident-free and effective construction site to improve the smart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environment by using new developed technology such as Internet of Things, Smart phones and GPS Tracking. The study recommends new construction accident prevention system using smart phone.
        86.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터넷의 사용이 증가하며 촉발된 기기들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는 IoT(Internet Of Things)가 산업 전반에 확산되면서 사용자와 IoT 기기들간의 상호작용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웹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은 필요함을 넘어서서 이제 하나의 IT 융합 프레임워크로서의 제공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을 기반으로 사용 자의 이동 단말기와 각종 센서들을 이용한 콘텐츠 제작을 위한 프레임워크 설계 시 고려해야할 부분과 그에 대한 제안 기법을 보였으며, 제안 기법들을 적용한 프로토타입의 프레임워크를 보 이고, 이를 적용한 예로써 IoT 환경에서의 게임을 제작하여 IoT 환경에서 서비스로의 게임의 가능성을 보였다.
        87.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IoT (Internet of Things)-based flood management under climate change by developing intelligent water level monitoring platform based on IoT. In this study, Arduino Uno was selected as the development board, which is an open-source electronic platform. Arduino Uno was designed to connect the ultrasonic sensor, temperature sensor, and data logger shield for implementing IoT. Arduino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was selected as the Arduino software and used to develop the intelligent algorithm to measure and calibrate the real-time water level automatically. The intelligent water level monitoring platform consists of water level measurement, temperature calibration, data calibration, stage-discharge relationship, and data logger algorithms. Water level measurement and temperature calibration algorithm corrected the bias inherent in the ultrasonic sensor. Data calibration algorithm analyzed and corrected the outliers during the measurement process. The verification of the intelligent water level measurement algorithm was performed by comparing water levels using the tape and ultrasonic sensor, which was generated by measuring water levels at regular intervals up to the maximum level. The statistics of the slope of the regression line and   were 1.00 and 0.99, respectively which were considered acceptable. The error was 0.0575 cm. The verification of data calibration algorithm was performed by analyzing water levels containing all error codes in a time series graph. The intelligent platform developed in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public IoT service, which is applicable to intelligent flood management under climate change.
        88.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물인터넷은 단말기 중심 센싱(RFID)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보안 기술, 빅 데이터와 서비스 기술이 상호 연동되어 명확한 타깃 고객에게 실질적 가치를 제공한다. IoT는 단말기 중심에게 기술개 발이 전개되었다. 향후 인간의 역할을 최소화하면서 사물들은 온도, 습도, 열, 가스, 조도, 초음파 센서부터 원격감지, 전자 파흡수율(SAR), 레이더, 위치, 모션, 영상센서 등의 정보를 공유하는 서비스를 하게 된다. 웨어러블 센싱 기술은 사람과 사 물, 사물 상호간에 통신할 수 있는 통로와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센싱은 정보를 수집, 처리, 관리하고 정보가 서비스로 구현되기 위한 최첨단이라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서비스에 있어서는 단말기기, 콘텐츠, 플랫폼, 네트워크 방식이 함께 구 동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단말기 중심 IoT 제품 사례를 기반으로 표준기구 위에서 IoT의 공통 서비스 플랫폼으로 개방형 생태계를 구성하는 IoT 공통 서비스 플랫폼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따라서 IoT 응용서비스, IoT 디바이스, 센서 및 부품, IoT 플랫폼, IoT 보안 솔루션 분야에서 IoT 표준 연구 분야로 5G, 사물인터넷, U-헬스, 빅 데이터 활용 Health care, 편리 하고 안전한 환경을 마련하는 서비스 플랫폼 연구가 필요하다. 향후 IoT는 누구에게나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를 위한 인간 중심에서 서비스 환경이 있어야 한다.
        89.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conducted for making accident-free, accurate and effective construction site to improve the smart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system by using new developed technology such as IoT, RFID, and etc... The study recommends new IoT construction management application and web with a structure of the system
        90.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wadays, wireless sensor network applications have been used in several important areas, such as healthcare, construction, critical infrastructure,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manufacturing.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WSNs in terms of memory, energy, computation, and scalability, efficient management of the large number of WSNs data in these areas is an important issue to deal with. There is a need for a high-performance computing and massive storage infrastructure for real-time processing and storing of the data as well as analysis of the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technology and application of sensor cloud computing based on IoT and service to manage monitoring sensor data for the f construction design-build projects. With this IoT sensor cloud platform, the entire project participants can efficiently share information to identify and solve issues in the design build phase.
        91.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plant pipe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was developed. The system consists of three parts : sensor system, omnicube system and pipeline safety assessment solutions. The plant pipeline diagnosis system was constructed in plant pipeline and was validated field applicability. Plant pipe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IoT is appropriate for plant pipeline safety monitoring.
        92.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mportance of plant pipe rack safety management has been increased. In this study, a plant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 was constructed in Yeosu Industrial Complex.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performance and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pipe rack using measured data
        93.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 plant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 was developed. The system consists of three parts : smart sensing technology, wireless networking technology and smart plant safety services.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was constructed in Yeosu Industrial Complex and was validated field applicability in plant. The IoT plant safety management system is appropriate for plant industrial structure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