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2

        81.
        2015.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NH4 + concentrations on microalgae growth by appling mixotrophic microalgae chlorella vulgaris in order to treat anaerobic digested food waste leachate. The growth rate and final microalgae growth were an order as 400 > 100 > 800 > 1300 mg-N/L. As results, The growth rate and final growth of microalgae were highest at ammonia concentration of 400 mg-N/L, On the other hand microalgae growth was inhibited when ammonia concentrations were over 800 mg-N/L. high concentrations of nitrogen over 800 mg-N/L interrupt the growth of microalgae. All of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removed by microalgae at the ammonia concentration of 100~400 mg-N/L. In addition, when ammonia concentration was over 800 mg-N/L, the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us was limited mainly due to the microalgae growth limit. It was possible to treat anaerobic digested food waste leachate with mixotrophic microalgae when the ammonia concentration was controlled below 400 mg-N/L.
        82.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은 지방족(파라핀계와 올레핀계 탄화수소 등)과 방향족 화합물(BTEX 등), 그리고 암모니아, 알코올, 알데히드 케톤, 에테르 등의 질소, 산소원소를 포함한 탄화수소의 총칭으로 대기 중에 배출되어 화학반응에 의해 오존을 생성할 수 있는 화합물을 말한다. 이러한 VOC 분해 메커니즘은 대기 온도, 태양 강도, 대기 혼합, 대기중의 VOC 농도 및 다른 오존 전구물질의 반응을 포함한 다양한 인자들로 인하여 매우 복잡하다. VOC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면,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NOx) 존재 하에서 오존, OH 라디칼 등 과 같은 극성 및 독성이 매우 강한 광화학 옥시던트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는 VOC 및 NH₃를 동시에 처리하는 Mn촉매하에서 오존 및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제거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 VOC의 경우 오존농도가 30 ppm 이하의 범위에서는 반응온도가 높을수록 그 제거효율이 다소 증가함을 보이고 있었지만,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NH₃ 는 반응온도에 상관없이 99% 이상의 균일한 제거성능을 나타내었다. VOC의 유입농도에 따른 오존의 분해 특성은 유입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제거효율이 급격히 감소함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오존분자와 VOC분자간의 반응비율에 의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암모니아 분해효율은 촉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이는 오존분자가 암모니아와 반응에서 한 분자당 다수의 암모니아 분자와 반응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오존이 촉매상에서 분해되면서 만들어지는 라디칼이 주변의 산소와 연쇄적으로 반응하여 암모니아와 반응이 가능한 라디칼을 생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코로나 방전 효과에 대한 실험도 실시되었는데, 촉매가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에 의한 VOC 제거효율은 유입농도가 1,000 ppm의 영역에서도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이는 열분해 처리효과보다도 더 효과적이다. 유입 암모니아 가스농도가 1,000 ppm 이상의 고농도에서도 고로나방전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83.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폐기물을 이용한 가스화 공정은 이론적으로 요구되는 산화제의 양보다 적은 양의 공기를 이용하여 환원분위기에서 흡열반응에 의해 합성가스를 생산하며 이와 동시에 폐기물의 열적처리 개념도 포함된다. 가스화 공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염물질은 후단 공정에 구성된 정제설비에 의해 제거되며 고품질 합성가스의 생산을 위해 가스화 반응기 후단의 정제설비는 벤츄리스크러버, 중화세정탑, 탈황세정탑, 습식전기집진기, 활성탄흡착탑으로 구성되었다. 전체 정제설비의 총괄효율을 분석하기 위해 시료 가스는 가스화 반응기 후단과 활성탄흡착탑 후단에서 채취되어 분석되었으며 시료 채취방법은 대기오염공정시험방법을 참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원성 가스상 오염물질 중에서도 맹독성 물질인 HCN과 악취물질인 NH₃에 대한 정제설비에서의 제거 효율을 분석하였으며 대기배출허용기준 초과 여부를 판단하였다. HCN의 대기배출허용기준은 모든 시설에서 10 ppm 이하이며 본 실험에서의 제거 효율은 99%, 배출농도는 2.5 ppm으로 나타났다. NH₃의 대기배출허용기준은 30 톤/일급 설비를 기준으로 30(12) ppm이며 실험결과에서 제거효율은 95%, 배출농도는 8.90(12) ppm으로 분석되어 Pilot 설비에 구성된 정제설비는 HCN과 NH₃의 제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84.
        200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multaneous removal of NH3, H2S and toluene in a contaminated air stream was investigated over 185 days in a biofilter packed with Zeocarbon granule as microbial support. In this study, multi-microorganisms including Nitrosomonas and Nitrobacter for nitrogen removal, Thiobacillus thioparus (ATCC 23645) for H2S removal, and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692), Pseudomonas putida (ATCC 17484) and Pseudomonas putida (ATCC 23973) for toluene removal were used simultaneously. The empty bed residence time (EBRT) was 40-120 seconds and the feed (inlet) concentrations of NH3, H2S and toluene were 0.02-0.11, 0.05-0.23 and 0.15-0.21 ppmv, respectively. The observed removal efficiency was 85%-99% for NH3, 100% for H2S, and 20-90% for toluene, respectively. The maximum elimination capacities were 9.3, 20.6 and 17 g/m3/hr for NH3, H2S and toluen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kinetic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no particular evidences of interactions or inhibitions among the microorganisms, and that the three biodegradation reactions took place independently within a finite area of biofilm developed on the surface of the Zeocarbon carrier.
        85.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체리 세이지(Salvia coccinea L.)와 파인애플 세이지(Salvia officinalis L.)을 수경재배 할 때, 양액내 NO3--N : NH4+-N의 비율이 두 품종 허브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질산태질소와 암모늄태 질소의 비를 100:0, 75:25, 50:50, 25:75, 0:100의 다섯 개의 처리구를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체리 세이지와 파인애플 세이지의 생육에서는 NO3--N : NH4+-N의 비가 50:50과 75:25인 처리구의 생장이 21.9cm, 23.4cm로 NH4+-N 단용 처리구보다 생장율이 높았다. NH4+-N 의 함유량은 체리세이지의 shoot의 25:75 혼용구에서 38mg/g DW로 가장 낮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75:25의 혼용구에서 44mg/g DW를 보였고, 파인애플 세이지는 45mg/g DW의 가장 높은 함유량과 38mg/g DW의 가장 낮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50:50의 비에서 40mg/g DW의 함유량을 보였다. NRA의 함유량은 시간이 지나면서 shoot에서 많은 활성을 보였고 체리세이지는 NO3--N : NH4+-N비가 50:50인 혼용 처리구에서 0.81nmole/g FW ․ h-1의 함유량을 보였고 파인애플 세이지는 50:50 혼용구에서 최대 0.86nmole/g FW ․ h-1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GSA(glutamine synthtase activity)의 활성에서 12주후, 체리 세이지는 질산태 질소 단용구에서 9.2umole/g FW ․ h-1의 함량을 파인애플 세이지는 11umole/g FW ․ h-1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NO3-의 단용구 또는 NH4+의 단용구보다는 NO3--N : NH4+-N의 혼용구에서 생육의 증가를 보였고, NRA의 함량과 생장 또한 단용구보다는 혼용구에서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NO3--N : NH4+-N의 처리비가 75:25 에서의 혼용 처리구에서 다른 혼용구보다 생육의 높은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75:25의 혼용비가 두 종의 세이지 생육에 적합한 비라고 생각된다.
        86.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5 wt.%)Mn-(1 wt.%)V2O5/TiO2 catalyst were prepared by co-precipitation method and used for low-temperature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of NOx with ammonia in the presence of oxygen. The properties of the catalysts were studied by X-ray diffraction (XRD), temperature programmed reduction (TPR)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SEM-ED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5 wt.%)Mn-(1 wt.%)V2O5/TiO2 catalyst yielded 81% NO conversion at temperature as low as 150℃ and a space velocity of 2,400 h-1. Crystalline phase of Mn2O3 was present at ≥15% Mn on V2O5/TiO2. XRD confirmed the presence of manganese oxide (Mn2O3) at 2θ=32.978°(222). The XRD patterns presented of (5 wt.%)Mn-(1 wt.%)V2O5/TiO2 did not show intense or sharp peaks for manganese oxides and vanadia oxides. The TPR profiles of (5 wt.%)Mn-(1 wt.%)V2O5/TiO2 catalyst showed main reduction peak of a maximum at 595℃.
        90.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겨울철에 금강하류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NH3-N) 농도가 주기적으로 높게 검출되어, 부여지점에서 취수하는 정수장의 수처리 공정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질소농도 저하와 소독부산물 생성 억제를 위해 종종 대청댐의 추가 방류가 검토되고 있으나, 방류량과 직소농도 관계의 정량적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8년간의 일별 수질자료와 댐 방류량 자료를 이용하여 겨울철(12월∼3월) 동안 일별 NH3-N 농도를 예측할 수 있는 다중회귀모형을 개발하고,
        91.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is, firstly, to find out what kinds of inorganic species are produced in the photocatalytic oxidation of ammonium-nitrogen containing water and, secondly, to seek the influence of anion for the photocatalytic oxidation of ammonium contained compounds. The photoenergy above 3 eV(λ<415 nm) was effectively absorbed by TiO2 and TiO2/polymer was used to be oxidized NH4-N in wastewater to NO3-N. Existing the anion as Cl-, the rate of photocatalytic oxidation decreased regardless of other condition. This result showed that the chloride ions reduced the rate of oxidation by scavenging oxidizing radical species as OH- and OCl-. Some of the added ion might have blocked the active sites of the catalyst surface, thus deactivated the catalyst.
        94.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 packed tower was selected for the treatment apparatus of NH3 gas produced in industry. Formerly, latticework packing has been used in preventive facility of treatment of NH3 gas. However, recently metallic Ralu-Pack 250YC, structured packing, is usually being used in petrochemical production plant. This study is for the application the packing to the NH3 gas treatment in wet scrubbing process. In Air/water system, hydraulic pressure drop dependent of specific liquid load and gas capacity factor was continuous and parallel from graph. The tower height can b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ransfer unit and the height of transfer unit influenced on liquid distribution.
        96.
        199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itrifier consortium immobilized in polyvinyl alcohol was used for the removal of ammonia nitrogen from synthetic aquaculture water in the airlift bioreactor. At the aeration rate of 0.15 vvm and bead packing volume fraction of 20%, airlift bioreactor was operated effectively for a removal of ammonia nitrogen and for a stability of operation. Ammonia nitrogen removal rate by airlift bioreactor was continuously increased with decreasing hydraulic residence time. At the HRT(hydraulic residence time) of 0.3 hour, ammonia nitrogen removal rate was 84.3 g/㎥·d and the highest ammonia nitrogen removal rate was 130.8 g/㎥·d when HRT was 0.1 hour.
        97.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Electrostatic Precipitator`s(ESP) performance enhancement and removal efficiency of fine particle according to (NH_4)_2SO_4 injection rate.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erived from the these test results : 1)For plant condition case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concentration agent [(NH_4)_2SO_4] - 10ppm, 20ppm, 30ppm, 40ppm - ESP`s collection efficiency was increased to 97.74%, 98.95%, 99.04%, 99.47%, when inlet dust loading was 2g/㎥. And when inlet dust loading was 3g/㎥, that was increased to 98.19%, 99.16%, 99.23%, 99.58%. 2)It is seen from this experiments that the increasing 30ppm concentration of (NH_4)_2SO_4 increase the collection efficiency and fine particle emission control.
        98.
        199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used packing in view of energy saving and efficiency of mass transfer, comparing with conventional pack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wing to low pressure drop under high load, 25㎜ NSW-ring, pp. can cause energy saving 2. The unique magnitudes of used packing are as follows C_o=5.78, m = 0.67, n = 0.46 3. Used packing can make high efficiency including energy saving because of low pressure drop per the number of transfer unit. To rate the characteristic of packing, it should be carried out that the measurement of pressure drop per packing height and per the number of transfer unit. This study demonstrated the superiority of used packing by earring out above experiment and could be used as basic reference for design and predicting efficiency of packing tower which is filled with same packing.
        99.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피(椒皮)나무(Zanthoxylum piperitum DC.)의 embryogenic callus로부터 부정배발생(不定胚發生)에 있어 NH4NO3, KNO3와 casein hydrolysate의 첨가(添加) 효과(效果)를 알아 보기위하여 본(本)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2,4-D 0.1mg/1가 첨가(添加)된 MT배지(培地)에 NH4NO3를 3300mg/1 첨가(添加)시킨 배지(培地)에서 부정배발생(不定胚發生)이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2. KNO3를 3800mg/1 첨가(添加) 시킨 경우(境遇)에는 MT 기본배지(基本培地)와 2,4-D 0.1mg/1를 첨가(添加)시킨 배지(培地)에서 비교적(比較的) 양호(良好)한 부정배(不定胚)를 발생(發生)시키었다. 3. 2,4-D 0.1mg/1가 첨가(添加)된 MT 배지(培地)에 casein hydrolysate를 700mg/1 첨가(添加)시킨 경우(境遇)에 부정배(不定培) 발생(發生)이 양호(良好)하였으며 2,4-D가 첨가(添加)되지 않는 배지(培地)에서는 부정배(不定培) 발생(發生)이 저조(低調)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