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6

        82.
        2019.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eptoniphilus mikwangii -specific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primers based on the 16S ribosomal RNA (16S rDNA) gene. The specificity of the primers was determined by conventional PCR using 29 strains of 27 oral bacterial species including P. mikwangii. The sensitivity of the primers was determined by qPCR using the purified genomic DNA of P. mikwangii KCOM 1628T (40 ng to 4 fg). The data showed that the qPCR primers (RTB134-F4/RTB134-R4) could detect P. mikwangii strains exclusively and as little as 40 fg of the genomic DNA of P. mikwangii KCOM 1628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ed qPCR primer pair can be useful for detecting P. mikwangii in epidemiological studies of oral bacterial infectious diseases.
        4,000원
        8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repare activated carbon with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oxygen functional groups (OFGs) that can serve as useful electron donors during KOH activation were treated with nitric acid and incorporated into activated carbon. OFGs are incorpo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starting materials. Up to 22.46% OFGs are incorporated into wood-based activated carbons (WACs), the C=O, COOH contents was 1.90, 17.05%, respectively. Whereas up to 12.82% OFGs are incorporated into coconut shell-based activated carbons, the C=O, COOH contents was 4.12, 6.15%, respectively. The OFGs used for increasing the specific surface area are the carbonyl group, and as the content of the functional group increases, the carbonyl group spreads to the carboxyl group.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activated carbons increased by 10–68% with an increase in the carbonyl group up to 6% (maximum point of carbonyl group). On the other hand, the specific surface area for WACs increased when the carboxyl group was 10% or below, but decreased by 6–15% when it increased to 10% or excess.
        4,000원
        8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ighly active, stable and low-cost noble metal-free electrocatalysts are essential for production of hydrogen. However, preparation of such catalysts is still highly challenging so far. In this work, the Mo2C– carbon nanomaterials have been prepared by controlled thermal technique. By controlling concentration of the reactants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the Mo2C– carbon nanomaterials have been fabricated, which leads to decreases in contact resistance b/w Mo2C– carbon nanomaterials and graphitic carbon atoms. As a result, the Mo2C– carbon nanomaterial electrode shows remarkable activity for hydrogen evolution reactions with a small onset overpotential of 95 mV, a Tafel slope of 62 mV dec−1, an high exchange current density of 0.32 mA cm−2, good stability during long-term 1000 cycles and exhibits long-term durability for several days. This study opens a new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highly active non-noble electrode for production of hydrogen from water splitting.
        4,000원
        88.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sophase pith was synthesized based on effects of a high-pressure thermal condensation and feed (PFO/FCC-DO) blending. The reaction conditions were designed by fluidity and reactivity of each feed during the thermal reaction. The high-pressure thermal condensation process disturbs distillation of the volatile compounds in pyrolysis fuel oil (PFO); the fluidity can be controlled. In the blending process, PFO, which has a high thermal condensation reactivity, and fluid catalytic cracking-decant oil (FCC-DO), which maintains fluidity, interacted with a synergistic effect. Thus, mesophase pitch with a large mesophase content was manufactured by the two above processes.
        4,000원
        89.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palmitoyl phosphatidyl choline(DPPC), Polyphenol 유도체, 그리고 Hematoxylin-Eosin은 5분 동안 산성 상태에서 직접 초음파 처리하여 명확한 표준용액을 제공했다. 25 ℃에서 DPPC 계의 레시틴소포에서 폴리페놀유도체의 흡수특성은 흡수분광학에 의해 분석하였다. 레시틴소포에서 단량체와 이량체 사이의 폴리페놀유도체의 평형은 폴리페놀유도체의 저농도에서 존재했지만 올리고머는 레시틴소포 의 고농도에서 소포안에 형성되었다. 폴리페놀유도체의 일정한 농도에 Bacteriorhodopsin(BR)을 첨가함으로써 DPPC의 상전이동안 폴리페놀유도체의 흡수비율(α/β)이 감소되었다. 기둥이 있는 곳에 라멜라 소포와 uni- and multilamella 응집체의 혼합물이 존재한다. 용출된 기둥과 혼합물사이의 속도 차이가 관찰되었으므로 기둥 용출된 라멜라반응 보다 촉매 효과를 나타냈다. DPPC 및 폴리페놀유도체에 대한 가수분해의 상전이 온도는 DPPC 및 폴리페놀유도체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4,000원
        9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Despite frequent shoulder injuries of rotator cuff muscle of golfers by the result of overuse and poor swing mechanics, there is little research on shoulder specific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injured rotator cuff muscle and golf swing Objective: To examined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exercise for golfers on the X factor and ground reaction force (GRF) according to phase of the golf swing. Design: Crossover stud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 amateur golfers selected for a 4 week rehabilitation exercise for golfers. A rehabilitation exercise for golfers consisting of 5 steps and 4 items (sleeper stretch, full side plank, push up to plank, high plank knee unders) were applied to all participants. A three dimensional motion analyzer and force platform (SMART-E, BTS, Italy) were used to measure the X factor (angle between shoulder and pelvis at top of back swing) and GRF according to phase of the golf swing. All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xercis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aired t test and SPSS 21.0. Results: The GRF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impact phase and ratio impact/weight after rehabilitation exercise for golfers (p<.05). The Xfactor, GRF in top of back swing and finish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exercise (p>.05).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ehabilitation exercise for golfers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GRF in the impact phase and ratio impact/weight for amateur golfer.
        4,000원
        91.
        2019.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고저항성 핵연료의 일환으로 UO2 입자가 세라믹 셀 벽으로 둘러싸인 미세구조를 갖는 세라믹 미소셀 UO2 소결체를 개발 중이다. 이는 핵분열생성물들을 UO2 펠렛 내에 포집하여 펠렛 외부로의 방출을 저감함으로써 봉내압 상승을 완화하고 응력부식균열 발생률을 낮춘다. 생성량이나 방사능 측면에서 위험한 핵분열생성물 중 하나로 여겨지는 세슘은 세라믹 미소셀 소결체 내에서 셀 물질과 화학반응 하여 포집될 수 있다. 따라서, 세슘 포집능은 해당 화학반응의 열역학적, 속도론적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역으로, 미소셀 소결체의 조성설계 시 해당 반응에 대한 열역학적 예측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세라믹 현재 개발 중인 여러 미소셀 조성(Si-Ti-O, Si-Cr-O, Si-Al-O)에 대해 세슘의 포집능을 평가하는 열역학적 계산을 다룬다. 계 산에 앞서 먼저 HSC Chemistry를 이용해 세슘과 셀 물질의 물리/화학적 상태를 정의한 후, LWR 정상운전 모사환경에서 계 산된 세슘포텐셜(ΔGCs)과 산소포텐셜(ΔG02)에 근거하여 세슘포집 반응성을 평가하였다. 계산 결과에 근거하면, 세슘 포집 반응은 상기 모든 조성에서 자발적일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써 조성설계의 근거를 제시함과 동시에 세슘의 포집능을 평가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4,000원
        92.
        201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 importance of on-site detection of pathogens has drawn attention in the field of molecular diagnostics. Unlike in a laboratory environment, on-site detection of pathogens is performed under limited resources. In this study, we tried to optimize the experimental conditions for on-site detection of pathogens using a combination of ultra-fast convec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cPCR), which does not require regular electricity, and nucleic acid lateral flow (NALF) immunoassay. Salmonella species was used as the model pathogen. DNA was amplified within 21 minutes (equivalent to 30 cycles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ultra-fast cPCR, and the amplified DNA was detected within approximately 5 minutes using NALF immunoassay with nucleic acid detection (NAD) cassettes. In order to avoid false-positive results with NAD cassettes, we reduced the primer concentration or ultra-fast cPCR run time. For singleplex ultra-fast cPCR, the primer concentration needed to be lowered to 3 μM or the run time needed to be reduced to 14 minutes. For duplex ultra-fast cPCR, 2 μM of each primer set needed to be used or the run time needed to be reduced to 14 minutes. Under the conditions optimized in this study, the combination of ultra-fast cPCR and NALF immunoassay can be applied to on-site detection of pathogens. The combina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detection of oral pathogens.
        4,000원
        93.
        2019.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ansition metal oxide is widely used as a water electrolysis catalyst to substitute for a noble metal catalyst such as IrO2 and RuO2. In this study, the sol-gel method is used to synthesize the CuxCo3-xO4 catalyst for the oxygen evolution reaction (OER),. The CuxCo3-xO4 is synthesized at various calcination temperatures from 250 ℃ to 400 ℃ for 4 h. The CuxCo3- xO4 synthesized at 300 ℃ has a perfect spinel structure without residues of the precursor and secondary phases, such as CuO. The particle size of CuxCo3-xO4 increases with an increase in calcination temperature. Amongst all the samples studied, CuxCo3- xO4, which is synthesized at 300?, has the highest activity for the OER. Its onset potential for the OER is 370 mV and the overpotential at 10 mA/cm2 is 438 mV. The tafel slope of CuxCo3-xO4 synthesized at 300 ℃ has a low value of 58 mV/dec. These results are mainly explained by the increase in the available active surface area of the CuxCo3-xO4 catalyst.
        4,000원
        94.
        2019.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청각장애 아동의 말소리 낱말 위치, 조음 방법, 조음 위치에 따른 자음정확도와 음운 변동 반응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G시에 거주하는 일반 아동 10명과 청각장애 10명의 아동을 선정하여 아동용 한국어 조음 검사를 실시하여 80%의 전체 자음정확도를 기준으로 자음정확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두 집단으로 나누어 발달적 음운 변동과 비 발달적 음운 변동의 출현율을 비교하였고, 두 집단 간 자음정확도에 따른 발달적 음운 변동과 비 발달적 음운 변동의 차이는 독립 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음 정확도 비교는 조음 방법 중 마찰음에서 청각장애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유의하게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음운 변동 비교에서 일반 아동은 긴장음화에서 유의하게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인 반면 청각장애아동 집단은 긴장음과 대립되는 이완 음화가 높은 출현 빈도를 보였다. 집단 간 음운 변동 비교에서 일반 아동 집단이 비 발달적 음운 변동을 거의 나타내지 않은 반면, 청각장애 아동 집단은 초성 생략, 이완 음화, 성문 음화, 탈 비 음화 등의 비 발달적 음운 변동이 나타났으며, 청각장애아동 집단에서도 자음정확도가 낮은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4,200원
        9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황사가 식물플랑크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황사가 발생한 2006년 4월 22 ~ 26일까지 태안반도 인근해역에서 현장조사 및 생리실험을 수행하였다. 황사발생동안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26 ~ 290 × 103 cells·L-1의 범위로 다소 낮은 현존량과 주요 분류군인 돌말류의 증가, 특히 혼합해역의 대표종인 Paralia sulcata와 같은 저서성 돌말류의 증가가 뚜렷하였다. 또한 황사발생 후의 Chl-a 농도는 황사발생 전의 조석에 따른 Chl-a 농도변화범위를 초과하였다. 황사투여실험에서는 황사투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일차생산력은 점차 감소하였고, 최대 탄소 동화계수 역시 같은 경향을 보였다. 48시간 배양실험에서는 황사투여 초기(T0)에 실험구(test)가 대조구(control)에 비해 낮은 일차생산력을 보였으나, 48시간 후(T48)에는 실험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일차생산력을 보였다. 특히 실험구는 초기보다 48시간 후의 일차생산력이 약 321%로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중국과 인접한 조사해역의 식물플랑크톤은 황사와 함께 수반되는 강한 물리적 환경이 발생초기에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일시적으로 저해시킬 수 있으나, 이후 안정적인 수괴가 지속될 경우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잠재적인 요인으로도 파악되었다.
        4,000원
        96.
        2018.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sign of non-precious electrocatalysts with low-cost, good stability, and an improved oxygen reduction reaction(ORR) to replace the platinium-based electrocatalyst is significant for application of fuel cells and metal-air batteries with high energy density. In this study, we synthesize iron-carbide(Fe3C) embedded nitrogen(N) doped carbon nanofiber(CNF) as electrocatalysts for ORRs using electrospinning, precursor deposition, and carbonization. To optimiz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we study the three stages according to different amounts of iron precursor. Among them, Fe3C-embedded N doped CNF-1 exhibits the most improv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with a high onset potential of −0.18 V, a high E1/2 of −0.29 V, and a nearly four-electron pathway (n = 3.77). In addition, Fe3C-embedded N doped CNF-1 displays exellent long-term stabillity with the lowest ΔE1/2= 8 mV compared to the other electrocatalysts. The improv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are attributed to synergestic effect of N-doping and well-dispersed iron carbide embedded in CNF. Consequently, Fe3C-embedded N doped CNF is a promising candidate for non-precious electrocatalysts for high-performance ORRs.
        4,000원
        97.
        2018.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n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Pd nanoparticles are extensively studied as promising non-Pt catalysts due to their electronic structure similar to Pt. In this study, to fabricate Pd nanoparticles well dispersed on carbon support materials, we propose a synthetic strategy using mixed organic ligands with different chemical structures and functions. Simultaneously to control the Pd particle size and dispersion, a ligand mixture composed of oleylamine(OA) and trioctylphosphine(TOP) is utilized during thermal decomposition of Pd precursors. In the ligand mixture, OA serves mainly as a reducing agent rather than a stabilizer since TOP, which has a bulky structure, more strongly interacts with the Pd metal surface as a stabilizer compared to OA. The specific roles of OA and TOP in the Pd nanoparticle synthesis are studied according to the mixture composition, and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ORR) activity and durability of highly-dispersed Pd nanocatalysts with different particles sizes a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Pd nanocatalyst with large particles has high durability compared to the nanocatalyst with small Pd nanoparticles during the accelerated degradation tests although they initially indicated similar ORR performance.
        4,000원
        99.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바이오 항공유의 제조공정에서 탈산소 반응의 적절한 운전조건 선정을 통한 생성물 물성 최적화는 최대의 바이오항공유 수율을 얻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에 따라 팜유의 탈산소화 반응이 1 wt.% Pt/Al2O3촉매가 장입된 내경이 1인치인 고정층 반응기에서 수행되었다. 업그레이딩 공정을 통하여 수송 연료로 활용될 수 있는 액체 생성물(organic liquid product)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그 조성을 분석하였다. 피드 내의 팜유/수소 비율과 수소 압력은 탈카르복실레이션과 수첨탈산소 반응에 영향을 주어 생성물의 조성 변화를 초래하였다. 반응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탈산소 생성물의 연속적 크래킹 반응이 촉진되어 C5~C14영역의 생성물 조성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팜유의 탈산소화 반응 특성의 이해 뿐 아니라 연속 공정인 수첨 업그레이딩 공정을 통한 바이오 항공유의 제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4,200원
        100.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이오항공유 제조 공정 내 수첨업그레이딩 공정의 운전조건 선정은 반응물로부터 얻고자 하는 주생성물인 탄화수소 화합물에 대하여 바이오항공유로서 원하는 탄소수 분포의 물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성 오일 유래 노말 파라핀계 탄화수소 화합물에 대한 수첨 업그레이딩 반응이 0.5 wt.% Pt/Zeolite 촉매 하에서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크래킹 반응과 이성질화 반응이 동반됨으로써 바이오항공유로서 물성을 갖는 탄소수 분포인 C8-C16에 해당하는 노말 파라핀계와 이소 파라핀계가 혼합된 탄화수소류 화합물이 제조되었다. 반응온도, 반응압력, 반응물 몰비와 공간속도를 변화하여 얻어진 생성물의 수율 및 조성을 분석하였다. 상기 공정 조건에 대한 정보는 수첨 업그레이딩 반응특성의 이해뿐 아니라 향후 증류를 통한 바이오항공유 제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4,5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