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5

        89.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안개처리에 따르는 콩의 생육ㆍ잡초와의 경합 양상 및 제초제반응을 검토하여 안개상습지에서 작물피해 최소화 및 잡초방제체계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온실내 포트 시험으로 수행하였다. 안개조건에서 콩의 초장 및 엽영은 전 생장기간에 걸쳐서 비안개조건에 비해 증가되었으며 파종 후 100일째 최종 콩의 수량은 초장이 14% 증가한데 반해 수당협수, 협당 입수 및 100입중이 각각 오히려 16, 24 및 23% 감소하였다. 주요발생초종은 바랭이, 피, 미국개기장, 흰명아주 및 한련초 등이었으며, 비안개조건보다 안개조건에서 그 발생량이 훨씬 컸다. 안개조건에서 경합기간별 콩의 초장변화는 경합기간이 길수록 감소 정도가 컸으나 비안개처리와의 차이는 경미하였다. 안개조건에서 경합기간별 콩의 초장은 40일 경합기간까지에서는 비안개조건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60일 이상의 경합기간에서부터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안개조건에서 수당협수는 경합기간처리와 무관하게 감소하였다. 제초제별 초장을 근거로 한 약해는 다소 인정되나 안개로 인해서 Qu-izalpfop를 제외한 제초제들에서는 무처리와 유사하게 증가한 초장을 각각 보였다. 수당협수 및 100립종은 무처리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안개조건하에서는 비안개조건에 비해 유사하거나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처리 후 40일제에 생체중을 근거로 한 잡초방제가로 볼 때 토양처리된 Ethalfluralin 및 Trifluralin과 경엽처리된 Sethoxydim 및 Quizalofop는 안개유무에 관계없이 모두 97%이상의 방제가를 나타었다.
        90.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공안개처리에 따른 보리의 생장, 잡초경합양상 및 제초제반을을 검토코자 온실내에서 일련의 pot시험이 수행되었다. 안개조건에서 보리의 초장, 엽령, 엽폭 및 지상부 생체중은 증가하였으나 출수가 지연되고 출수율과 수량 구성요소인 수당영화수, 천립중 및 발아율은 감소하였다. 안개조건으로 초종수의 차이는 없으나 잡초발생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주요한 발생초종은 둑새풀, 새포아풀, 벼룩나물, 점나도나물, 황새냉이 및 갈퀴덩쿨등이었다. 안개조건에서는잡초와의 경합기간이 길수록 초장의 감소가 인정되었으며 1,000립중은 초기경합에서만 감소하였으며 그밖의 보리의 생장은 경합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안개조건에서 제초제처리에 따른 보리의 생체중은 공시 제초제 공히 증가되었으나 1,000립중은 오히려 감소되었으며, 그 중 Butachlor 및 Thiobencarb의 약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처리 후 25일째 생체중에 의한 잡초방제가는 75∼90%로써 안개조건이 비안개조건보다 3∼15% 낮게 나타났으나 60일째는 96%이상으로 대등한 방제가를 보였다.
        91.
        199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택성 화본과 잡초의 제초적인 Fluazifop-butyl의 고려인삼에 대한 안전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을 위시하여 이의 3배 또는 4배 약량까지 약량별로 인삼의 경엽에 분무처리한 후 인삼 잎의 광합성량과 호흡량 및 인삼의 경엽생육을 측정하였다.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 또는 2배 약량을 경엽처리할 경우에는 인삼의 광합성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3배 또는 4배 약량의 처리시에는 처리직후 광합성량의 저하를 초래하였던바 3배약량의 처리시에는 처리후 7일에 인삼 잎의 광합성 능력이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나 4배 약량의 처리시에는 처리후 15일이 경과되어도 광합성 능력이 회복되지 않았다.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으로 경엽처리 할 경우에도 인삼잎의 호흡량은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호흡량의 감소는 처리후 15일이 경과되어도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았고 Fluazifop-butyl의 경엽처리에 따르는 호흡량의 감소정도는 처리약량을 증가할수록 현저히 심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luazifop-butyl을 표준 제초약량의 3배 약량으로 경엽처리 하여도 인삼 엽병의 길이나 줄기에 대한 엽병의 각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또한 인삼의 경장, 경직경, 엽장 및 엽폭의 생육에도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92.
        198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밭에 사용하는 제초제가 콩의 생육 및 근류형성에 미치는 여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밭제초제인 랏소와 데브리놀을 올콩, 장엽콩 및 팔달콩에 농도별로 처리하여 출현율, 초장, 생체중, 주당절수, 분지수, 협수, 입수, 백입중 및 근류수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율은 제초제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으나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정비례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사용권장농도에서도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 초기생육단계에서 심함 기형묘가 관찰되었다. 2. 초장은 제초제의 종류에 무관하게 농도의 증가에 비례하여 감소하였으며 사용권장농도에서는 무처리에 비해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배농농구에서는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고 감소현상은 파종 3주후부터 뚜렷하게 나타났다. 3. 주당입수는 백입중은 제초제의 종류에 무관하였으나 주당분지수와 주당협수는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품종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4. 근 수는 제초제의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정비례적으로 감소하였고 그 정도는 제초제의 종류에 따라 품종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4. 근류수는 제초제의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정비례적으로 감소하였고 그 정도는 제초제의 종류에 따라 품종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5. 콩의 생육 및 수량에 감소는 근 형성력의 감소와 유의적 상관을 보였으며 제초제의 과다사용에 의한 근류형성력의 저하는 콩 수량 감소의 중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93.
        198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1980년도에 전남대학교 시험포장에서 수행된 것으로서, Metribuzin의 처리시기에 따른 품종반응차이를 알기 위하여 광교외의 5대두품종과 Pre-sowing 외에 4처리 시기를 공시하여 작물의 초기생육반응을 조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공시품종내에서는 약제에 대한 저항성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2. 품종차이보다는 약제처리시기에 따른 반응차이가 헌저하였으며, 대부분 대두품종의 저항성 크기는 E. Post-emg.< L.Post-emg ~ll re-sowing=Control의 순으로 컸다. 3. Metribuzin의 약해 Symptom은 주당엽수 < 초장 ~ll 주당분지수의 순으로 뚜렷한 감소를 보이는 특징이었다. 4. 우리나라 대두품종에 대한 Metribuzin의 사용은 Pre-sowing이나 Pre-emg.가 추천되며, 특히 Pre-sowing에 대한 토양혼화법 연구와 단제보다는 혼용처리의 이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
        94.
        197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78연도 전남 광주시, 전남大 농견 전작시험장에서 수행된 대두 제초제의 안전사용 및 사용효과 구명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물의 생육 및 수량성은 제초효과에 따른 향상보다 약해에 따른 억제의 영향에 민감한 경향이었고, 억제의 정도는 약종에 따른 변이보다 약해별 처리약량수준에 따른 변이가 켰다. 2. Alachier, Metribuzin, RH-8817 등은 안금사용폭이 비교적 큰 편이었다. 3. Alachier는 바랭이, 피, 방동산이, Nitrofen은 피, 방동관이, Metribuzin은 쇠비름, RH-8817은 바랭이, 피, 방동산이, 쇠 비름의 방제효과가 탁월하였다. 4. 대두 품종과 제초제 약종간에 유의성 있는 저항성관계는 인정되지 않았다. 5. 토성별 대두의 발아차이는 주로 산소공급조건의 차이에 기인하였으며, 산소공급이 좋은 상태에서는 제초제간에 발아억제 영향이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RH-8817은 발아를 촉진하는 경향이 있다. 6. Simazin, Linuron, Metribuzin은 초기생육중의 동화억제를 통한 황변현상이, Alachlor는 생육어제현상이, RH-8817은 생육억제 및 생장점 부위의 괴저현상이 일반적 약해증세로 나타났다. 7. Simzin과 Linurrm 처리에서는 처이직후 약해 차리정도가 시간경과에 따라 확대되는 경향이었다. 8. 제초제 처리수준증대에 따른 경·근 및 근류생성억제의 영향은 상호 유의적 관계하에서 증대되는 경향이었다.
        95.
        197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se of herbicides in Korean agriculture has increased rapidly in recent years accompanying with ever-increasing pressure of farm labor shortage. Herbicides occupied already the second place in the rank of pesticides consumption in 1977. The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s have carried out over 50 trials of chemical weed control each year since 1968. These research works and registration trials contributed much to the present wide use of herbicides. The pesticide management act amended in 1977 requires reevaluation of pesticides for their efficacy every 5 year-term. However, the development of sound weed control program and recommendations has been hempered very much by the lack of qualified workers of weed control research in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s and in the institute for pesticide registration trial. Critical review of the past research works on herbicide evaluation and the present status indicates strong need for 1) the characterization of the nature of local and national weed problem, 2) the improvement of ability of the staffs in charge of weed control research through appropriate training on the basics and experimental techniques, and 3)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weed control research committee. Furthermore, the present article attempts to clarify commonly misled points in the establishment of herbicide evaluation plan, in the design and execution of field trials, and in the assessment of trial results of the past works from the viewpoint of the basic principles with some case studies for resolution of specific enigma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