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52

        8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mproves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proficiency. It focuses on whether its impacts differ by gender and major. The study was conducted in 2020 with 340 freshmen students in Korea. There were 182 male and 208 female students. The participants majored in different areas: 139 students majoring in aeronautics, 130 students studying policing and safety, 121 students studying in the arts department. The TOEIC test was adopted as pre- and post-tests to explore the impacts of using AI on English learning. To analyze the data, two-way ANOVAs were administered. The study found no interaction effects of gender or major on either listening and reading proficiency. However, gender and major, respectively, had significant impacts on listening. Regarding reading proficiency, major alone affected the students’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considered.
        7,000원
        8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46 reservoirs in South Korea were characterized based on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sediments.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y metal concentrations,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and hydromorphological factors in each reservoir. Study reservoir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of reservoirs, by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imilaritie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Group 1 had the most severe sediment heavy metal contamination among the groups, whereas Groups 2 and 3 showed low level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Group 4 displayed high value of Ni, and Group 5 showed high contamination of Pb, Cu, Cr, Ni, and Hg. Groups 1 and 5, which had high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showed a high density of mines in the catchment of reservoirs. Heavy metal concentration was high in reservoirs with large capacity or the ones located at higher elevation, and also highly related with number of mines in the catchment of reservoir.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sediment heavy metals in reservoirs.
        4,000원
        8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ervoir water quality is fundamental in reservoir ecosystem management. The water quality of reservoirs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hydro-morphology of reservoirs, land use/cover, and human activities in their catchments. In this study, we classified 83 major reservoirs in South Korea based on nine physicochemical factors (pH, dissolved oxygen, chemical oxygen demand, total suspended solid, total nitrogen, total phosphorus, total organic carbon, electric conductivity, and chlorophyll-a) measured for five years (2015~2019). Study reservoirs were classified into five main clusters through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Each cluster reflected differences in the water quality of reservoirs as well as hydromorphological variables such as elevation, catchment area, full water level, and full storage. In particular, water quality condition was low at a low elevation with large reservoirs representing cluster I. In the comparison of eutrophication status in major reservoirs in South Korea using the Korean trophic state index, in some reservoirs including cluster IV composed of lagoons, the eutrophication was improved compared to 2004~2008. However, eutrophication status has been more impaired in most agricultural reservoirs in clusters I, III, and V than past. Therefore, more attention is neede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se reservoirs.
        4,200원
        84.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modern society has emerged and developed, the subway has established itself as a representative means of transportation in the city due to its speed, accuracy, and accessibility. According to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Act, underground stations have established and managed the maintenance and recommendation standards for PM10, PM2.5, CO2, CO, HCHO, NO2, Rn, VOCs However, th the standards for airborne mold has not been applied for subway stations even though management for the health effect of exposure to mold is necessay.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with major contributing factors was analyzed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molds in the indoor air of underground stations an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molds in subway stations and the major contributing fa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molds became higher as the location of the platform became deeper underground, during periods of congestion, and especially in summ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year of construct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appropriate management measures should be devised in response to such contributing factors.
        4,000원
        86.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a major cause of shoulder pain, involves weakness of the scapular retractor muscles. The major scapular retractor muscles are the middle trapezius and rhomboid major muscles; however, the latter is excluded in most studies. Objects: We aimed to measure the thickness of the middle trapezius and rhomboid major muscles using an ultrasonic diagnostic imaging system while performing four different shoulder retraction exercises and comparing the thicknesses and ratio of the thicknesses of these muscles. Methods: The thickness of the middle trapezius and rhomboid major muscles was measured in 24 healthy adults using ultrasound. Muscle thickness was measured three times in the Reference posture and four times while performing four different exercises that involved scapular retraction. The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measured muscle thicknesses were obtained and compared. The ratio of muscle thickness and rate of changes in muscle thickness between the reference posture and the four exercises were compared. Results: For both, male (n = 10) and female (n = 1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middle trapezius muscle between the reference posture and the four exercises (p < 0.05) and in the thickness of the middle trapezius and rhomboid major muscles between male and female (p < 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the thicknesses of these muscles. Althoug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change in muscle thickness during the four exercises was no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change in muscle thicknes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ratio of the thicknesses of the middle trapezius and rhomboid major muscles and the rate of change in their thickness during exercises involving scapular retraction in healthy people in their 20s–30s.
        4,000원
        87.
        2022.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뮤지컬 전공생의 효과적인 음악교육에 필요한 필수 교과목 연구를 통해 전문 뮤지컬 배우를 양성할 수 있는 체계적인 음악교육 커리큘럼을 정립하는 데 그 목적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이에 뮤지컬 전공생의 양성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음악, 연기, 무용 중, 음악 관련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국내 대학 뮤지컬 전공학과 전체를 조사하였고, 이 중 에서 뮤지컬 음악교육을 위한 최소한의 교과과정인 4가지 필수음악교과(음악이론, 보컬, 레퍼토 리 분석, 오디션)를 포함하고 있는 국내 6개 대학을 선정하여 학과별 커리큘럼을 비교 분석하였 다. 더욱 바람직한 국내 뮤지컬 전공 음악 커리큘럼의 발전 방향을 찾아보기 위해 미국의 AMDA 공연예술대학 뮤지컬 전공 커리큘럼을 조사하여 현재 한국 대학의 교과목들이 올바르게 진행되고 있는지, 앞으로 개선되어야 하는 교과목들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국내 대학의 뮤지컬 전공학과 커리큘럼과는 다른 5가지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뮤지컬 전 공생을 위한 15개의 음악 커리큘럼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토대로 각 대학의 뮤지컬 전공학과 음악 커리큘럼이 체계적이면서도 다양한 커리큘럼으로 구성된다면, 대학의 전공 교육으 로 전문 뮤지컬 배우를 양성할 수 있는 소기의 교육 목적을 달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4,800원
        88.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vestigating major trading partners and items with North Korea is informative in terms that it can predict the path through which North Korea’s strategic items will transfer to non-nuclear-weapon states when North Korea denuclearizes. By analyzing North Korea’s trading partners and the item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relevant countries through which items arrive from the first importing country to the end-user in the process of exporting items and to predict the way how North Korea disguise or conceal their strategic items among general items during normal export procedures. As of 2020, North Korea’s major trading partners are China, Russia, Vietnam, India, Nigeria, and Switzerland. Compared to 2019, Mozambique, Tanzania, Ghana, and Thailand entered the top 10, while Brazil, Bangladesh, Pakistan, and South Africa pushed out of the top 10. North Korea’s trade dependence on China accounts for 88.2%, making it the largest trading partner for years, and it shows that North Korea is mainly conducting trade with Asian and African countries. North Korea’s most important export items are mineral products (HS 25-27) and steel & metal products (HS 72-83) and the most significant import items are mineral products (HS 25-27) and oils & fats & prepared foods (HS 15-24). In 2017, due to UN Security Council sanctions for North Korea’s international ballistic missile (ICBM) test-fire, North Korea’s exports from 3 billion dollars fell by 90% to less than 300 million dollars. This is the result of most of North Korea’s major export items included in the export ban, and changes have occurred in its export items. In 2020, export fell to less than 100 million dollars due to border lockdown measures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which also affected the change of North Korea’s major export items. Although North Korea does not officially publish its foreign trade statistics, in order to review North Korea’s trade information, KOTRA statistics are utilized. KOTRA statistics provide only two digits of HS code number, so it is challenging to identify detailed item classification. Moreover, these statistics are based on the export amount, so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quantity of export items. It is expected that information on North Korean trading partners and items will be used to predict potential transferable export methods of North Korea’s strategic items when North Korea denuclearizes.
        89.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두 가지 통합 연구방법을 통하여 교육 서비스 품질 구성개념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전국 2년 제, 4년제 대학의 뷰티 전공 재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임의 표집방식으로 250명을 채택하여 조사 에 사용하였다. 일련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형질문지의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뷰티 전공 대 학의 교육 서비스품질은 전공지식, 교육적 자질, 교수-학생 친밀감, 학생욕구반영, 활용성, 교육과정 구 성, 환경효율성, 교육기자재, 명성의 9개 세부 영역과 일반영역으로 교수 전문성, 교수-학생 공감, 교육 과정, 교육 환경, 명성의 5개 영역으로 도출 하였다. 둘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귀납적 내용분석을 보다 타당성 있게 지적하고 심도 있게 도출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뷰티 전공 대학의 교육서비스 품질 의 측정도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94.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due to the change to SASB(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and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 2021, the paradigm for non-financial information disclosure is changing significantly, with the number of ESG topics and indicators that must be disclosed by industry from an autonomous material topic selection metho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number of compulsory topics in the oil and gas industry by GRI standards 2021 is up to 2.4 times higher than the average number of material topics disclosed when domestic companies publish sustainability reports using GRI Standards 2020. In the oil and gas industry, I analyz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GRI standards 2021 and the ESG topics covered by SASB by environmental, social, economic, and governance areas. In addition, the materiality test process, which is different in GRI standards 2021, is introduced, and the issues included in the following 10 representative ESG-related initiatives are summarized into 62 and suggested improvement plans for materiality test used in the topic pool.
        5,200원
        95.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과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전공만족도가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수도권 소재 전문대학의 작업치료과 재학생 2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분 석은 변수들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전공선택동기 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 였다. 결과 : 작업치료과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도의 평균은 각각 3.20점, 3.56점, 3.28점이었으며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도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공선택동기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공만족도의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β = .334, β = .371). 결론 : 따라서 작업치료과 대학생들에게 전공선택동기는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 아 니라 전공만족도를 통해서도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전 공만족도는 대학생활적응을 높이는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 의 역할이 중요하다.
        4,000원
        96.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habitat changes in open estuaries among the sites included in the national estuary monitoring program. The estuary survey was conducted under the “Guidelines for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Biometric Networks” and classified by sea area, 80 places in the East Sea, 102 places in the South Sea, and 19 places in the West Sea were investigated. In a total of 201 open estuaries,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identified with 4 phyla, 9 classes, 41 orders, 139 families, 269 species and 196 species in the East Sea, 182 species in the South Sea, and 90 species in the West Sea. The highest population densities were Insecta in the East Sea, the Malacostraca in the South Sea, and the Annelida in the West Sea. Through SIMPER analysis, species contributing to the similar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ies in each sea area were identified. Some species greatly influenced the similarity of clusters. The benthic community in the East Sea was affected by the salinity, so the contribution rate of freshwater species was high. On the other hand, the benthic communities of the South and West Seas showed species compositions are influenced by the substrate composition. As results,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 Korean estuaries was impacted by salinity and substrate simultaneously, and the close relationship with geographical distance was not observ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o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by identifying and predicting changes in the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Korea estuaries.
        4,000원
        97.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종설에서는 벼와 옥수수, 콩과작물, 감자, 들깨, 참깨에 대한 주요 나비목 해충 22종의 성페로몬 조성에 대해 국내외에서 연구된 결과들 을 비교하면서 성충 예찰 수단으로 활용 가능한지를 분석하여 간단하게 정리하였다. 이 중 4종의 국내 개체군에서는 성페로몬샘 추출물로부터 성 페로몬 성분들이 동정되고, 야외실험을 통해 그 조성이 규명되었다. 다른 3종에 대해서는 국내 개체군을 이용한 페로몬 화합물의 화학적 동정과 정은 없었으나, 보고된 성페로몬 성분들을 이용한 실내 및 야외에서의 세밀한 조성실험을 통해 국내 개체군에 대한 최적 예찰조성이 선발되었다. 일부 종에 대해서는 최적 예찰미끼 개발을 위해 성페로몬샘에서 발견되는 미량성분의 역할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4,900원
        98.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미용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과 전문직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미용전문직관 간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01), 전공만족은 ‘전문성’ t=4.625(p=.000), ‘직업인식’ t=3.152(p=.002)로, 전공가치는 ‘전문성’ t=2.330(p=.021), ‘전문활동’ t=2.438(p=.015), ‘직업인식’ t=4.843(p=.000)으로, 대학생활적응 은 미용전문직관의 하위요인인 ‘전문활동’ t=2.746(p=.006), ‘직업인식’ t=4.303(p=.000)으로 나타나 헤 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미용전문직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에게 있어 전공만족은 대학 및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에 대한 만족 및 헤어 미용 직무 자신감으로 이어져 긍정적인 영향으로 사회생활을 적응할 수 있게 해주 며, 미용전문직관은 헤어 미용 직업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로 미용 전공 대학생 때 전문직관이 생기게 된다. 연구결과를 통해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들의 긍정적인 전문직관의 형성과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올바 른 이론과 실기교육을 통해 미용전문직관이 확립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자기계발과 더불어 교수 및 교 육관계자들의 전문직업 윤리와 가치관에 관한 교육과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200원
        99.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미용전공자들의 VR 체험을 기반으로 한 미용교육이 전문지식과 실무능력에 미 칠 기대의식을 바탕으로 VR을 기반으로 한 미용 교과목 개발과 교육환경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총 106명 의 학습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VR기반 미용 교과목 개발 인식, 전문지식과 실무능력에 관한 인식,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 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조 사결과, 학점이 높을수록 VR 기반 미용 교과목 개발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p<.01). VR 기반 미용 교과목개발에 대한 인식은 VR기반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인식의 하위요인별 전문지식(r=.683, p<.001), 실 무능력(r=.676, p<.001), 산업관련인식(r=.54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VR 기반 미용 교과목 개발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전문지식, 실무능력, 산업관련 인식이 향상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용교육환경에서 전공자들의 VR 기반 미용 교과목 개발에 대한 필요성과 교과목 운영에 대한 기대를 확인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표 본의 범위를 확대한 연구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00.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항구도시 인천, 목포, 광양, 부산, 울산의 대기오염물질 배출특성, 대형선박 배기가스 배출량 및 사회적 비 용을 산정하여 배출가스 저감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부산은 선박 입항수가 많고 목포는 선박 입항수는 적지만 선박 배기가스에 의한 배출기여도는 두 항구도시 모두 높았다. 울산은 세계적 수준의 중화학공업, 광양은 제철소, 인천은 제조업과 선박 입항수가 목포 보다 많았지만 배출기여도는 낮았다. 선박 배기가스 배출량 산정 결과, CO2의 배출량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는 NOx, SOx으로 배출량이 많았다. 선종별로는 부산, 울산, 인천은 유조선, 광양은 일반화물선, 목포는 여객선에서 각각 많았다. 사회적 비용 결과, 부산은 배출량 이 많은 영향으로 사회적 비용이 높았으며, 항목별로는 PM이 높았다. 저황유 사용으로 PM, SOx 배출량을 직접적으로 줄이고, NOx의 배출량을 간접적으로 줄 일수 있다. 하지만 선박 배기가스 중 가장 많은 배출량을 보인 CO2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저황유의 보급만으 로는 부족하다. CO2 배출량 감축을 위해서는 육상전원공급장치(Alternative Maritime Power)를 사용하는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저 감방안 수립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4,5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