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1

        81.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long-span bridges, the cable tension is considered a critical item in their maintenance. In particular, because the evaluation of the cable tension in a suspension bridge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general status of the structural system, identifying the initial values of this force in the construction of a bridge and then accurately predicting and comparing its estimated values during traffic use are very important tasks for the maintenance of a suspension bridge. In this paper, to verify the algorithm for estimating the cable tension of hanger cables using the back analysis technique, an ambient vibration test was conducted at a suspension bridge.
        82.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the frequency and period of earthquakes are increasing compared to the past, interest in the safety of rescue facilities including bridges a lo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tistical index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s analyzed by using the seismic acceleration measurement data of the bridge.
        83.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흡연 유무의 남성을 대상으로 뇌 백질의 손상 유무를 파악 할 수 있는 확산텐서영상을 검사하여 영상을 획득 한 후 Tract-Based Spatial Statics(TBSS)방법으로 뇌 백질 부위의 신경섬유로의 비등방도 FA(fractional anisotropy)값을 측정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비등방성 측정값이 낮게 나타났지만 FA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오른쪽 맥락총 부위에 대한 FA값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값으로 추측하자면 즉 흡연이 뇌 백질의 미세구조성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맥락총 부위에는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84.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창형의 Geiger-Muller 계수관을 이용한 표면오염검사에서 베타선을 측정하기 위해 외부로 노출된 디텍터를 보호하는 방법으로 랩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법이 측정계수율과 교정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방사선작업종사자에게 과도한 랩의 사용은 베타선의 측정값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인지시켜주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은 3 KBq, 1.5 KBq, 0.3 KBq의 에너지가 다른 베타선을 이용하여 랩 두께에 따른 베타선 측정계수율과 교정인자의 변화를 비교ㆍ분석하였다. 실험 대상으로는 2012년 3월 한국인정기구 (KOLAS) 인증을 받은 교정센터에서 보유한 단창형의 Geiger-Muller 계수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Cl-36(Chlorine)과 Sr-90(Strontium)을 베타선 방사선원으로 사용하였다. 측정계수율은 랩 두께가 증가할수록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교정인자는 랩 두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측정계수율의 감소와 교정인자의 변화는 기기지시값의 정확도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디텍터의 오염 및 손상 또한 베타선 측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어느 정도 두께의 랩을 사용함이 가장 효과적인지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측정계수율과 교정인자의 낮은 변화율을 보여주는 두께의 랩을 사용한다면 디텍터를 보호하면서 베타선의 측정값에도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85.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assessment tool of port service quality (PSQ) in the context of container transport logistics (CTLs), by taking the perspectives from port users. The CTLs defined in this study are the relevant activities of serving the physical flows of a container box from a point of origin via a container port to a point of destination. To address the ports’ role in collaboration between its channel members in CTLs, the PSQ measures for all port user groups (i.e. common PSQ measures) are selected based on the relevant CTLs activities involved by port, and its users within terminal/port area as well as throughout the CTLs chain.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is applied as a diagnostic tool to analyse the status quo of Busan Port in CTLs contexts, by compar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IP) scores against each individual CTLs criterion. The findings from the IPA reveal that port managers and policy makers at the Busan Port should concentrate on six PSQ measures (i.e. SR1, SR4, ITS1, VAS1, VAS4, ICI3) to enhance PSQ in CTLs. However, four measures (i.e. ITS2, ITS3, ITS4, VAS2) are identified as a possible overkill, indicating an area of inefficiency where a remedial action of the cost-cutting decision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the Busan port shows an outstanding performance on four measures such as SR2, SR3, ICI1 and ICI2. The measures are not only important but also high performance. The study findings provide managerial guidance to port managers in Busan Port, in view of searching for managerial and operational strategies for sustainable port growth.
        86.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음향 도플러 유속계(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ADCPs)는 하천의 유량측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유량 측정성과의 불확도를 평가하는 방 법에 대하여 진행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며, 이는 실제 하천에서 유속 및 유량 등의 수리량을 조절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ADCP의 불확도 요인 별 실험 및 분석이 어렵기 때문이다. 유량 및 수리량의 측정 불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그 중 국 제적으로 공인받고 있는 방법 중 하나가 GUM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Measurement)이다. 본 연구에서는 GUM 표준안을 기반으로 ADCP의 유량 측정 불확도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ADCP의 유량 측정 불확도 요인별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유량 공급의 조절이 가능한 실 규모 수로를 보유하고 있는 하천실험센터에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ADCP의 측정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수심, 측정 지점에서 하안까지의 거리, ADCP 의 잠김 깊이, 유속 오차, 측정 시간, 반복 횟수, 하상 조건 등에 대한 측정 정확도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ADCP로 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지점측정방식 을 기반으로 유속-면적법을 통해 산정하는 방법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동측정방식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ADCP의 지점측정방식을 통해 유량을 산정 하는 Section-by-Section 방법으로 산정된 유량의 불확도를 평가하였다. 모든 측정 결과는 요인별 불확도 평가를 수행하기 위하여 유속은 ADV, 수심은 광 파기로 측정된 결과와 비교하였다.
        87.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have studied the optimum location of the sensor to evaluate the condition of the structure by performing the structural analysis on the landing pier. It is judged that it is appropriate to place the strain sensor of the landing pier at the upper part, the middle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pile at 30% below the pile.
        88.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have studied the optimum location of the sensor to evaluate the condition of the structure by performing the structural analysis on the landing pier. It is judged that it is appropriate to place the strain sensor of the landing pier at the upper part, the middle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pile at 30% below the pile.
        90.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a method for measuring crack of RC members by using image analysis. Targets are attached on the surface of specimen equally in longitudin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rack widths are measured by location of the detected targets on the images. The result compares crack patterns depending on steel ratio of the RC members. In members with high steel ratio, many additional cracks occurred after the initial crack and it reached the stabilized cracking stage. In members with low steel ratio, only one additional crack occurred after the initial crack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uctility capacity was lower in the members with low steel ratio than high steel ratio.
        91.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mproved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ing analysis of result, an improved method is very efficient. The difference of about 10~15% comes out, Improved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ing analysis of result, it is determined that the need for additional research, such as a change of the modeling subdivision, load contions.
        92.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천 또는 해안의 선박운항을 위한 도개교는 그 희소성으로 인해 최근에는 랜드마크로의 역할을 인정받으면서, 국외의 경우 세심 한 유지관리로 수십 년 이상 공용기간을 지속하고 있는 사례가 적지 않다. 국내 유일의 도개교인 영도대교는 부식과 노화로 철거 후, 2013년에 재가설 되었으며, 현재 1일 1회 도개를 실시하고 있다. 최근 교량의 안전과 유지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주기적인 안전진단이 수행되지 만 도개교에 대한 계측 및 분석 사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개교가 상승 및 하강하는 도개과정과 상시 사용상태에서의 계측자료를 토대로 구조해석을 실시하여 도개교의 응력, 진동, 반력 등 실제 거동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 결과는 추후 공용연수의 증가 및 도개횟수의 증가에 따른 교량거동의 변동 추세를 분석하기 위한 초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93.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gion-specific trends in changing greenhouse gas emissions in incineration plants of local government where waste heat generated during incineration are reused for the recent five years (2009 to 2013). The greenhouse gas generated from the incineration plants is largely CO2 with a small amount of CH4 and N2O. Most of the incineration plants operated by local government produce steam with waste heat generated from incineration to produce electricity or reuse it for hot water/heating and resident convenience. And steam in some industrial complexes is supplied to companies who require it for obtaining resources for local government or incineration plants. All incineration plants, research targets of this study, are using LNG or diesel fuel as auxiliary fuel for incinerating wastes and some of the facilities are using LFG(Landfill Gas). The calculation of greenhouse gas generated during waste incineration was according to the Local Government's Greenhouse Emissions Calculation Guideline. As a result of calculation, the total amount of greenhouse gas released from all incineration plants for five years was about 3,174,000 tCO2eq. To look at it by year, the biggest amount was about 877,000 tCO2eq in 2013. To look at it by region, Gyeonggido showed the biggest amount (about 163,000 tCO2eq annually) and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per capita was the highest in Ulsan Metropolitan City(about 154 kCO2eq annually). As a resul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calculation, some incineration plants showed more emissions by heat recovery than by incineration, which rather reduced the total amou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or more accurate calcul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future, input data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improved.
        94.
        201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ronal Mass Ejections (CME), which originate from active regions of the Sun’s surface, e.g., sunspots, result in geomagnetic storms on Earth. The variation of the Earth’s geomagnetic field during such storms induces surface currents that could cause breakdowns in electricity power grids. Hence, it is essential to both monitor Geomagnetically Induced Currents (GICs) in real time and analyze previous GIC data. In 2012, in order to monitor the variation of GICs, the Korean Space Weather Center (KSWC) installed an induced current measurement system at SINGAPYEONG Substation, which is equipped with 765 kV extra-high-voltage transformers. Furthermore, in 2014, two induced current measurement systems were installed on the 345 kV high-voltage transformers at the MIGEUM and SINPOCHEON substations. This paper reports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induced current measurement systems at these three substations. Furthermore, it presents the results of both an analysis performed using GIC data measured at the SINGAPYEONG Substation during periods of geomagnetic storms from July 2013 through April 2015 and the comparison between the obtained GIC data and magnetic field variation (dH/dt) data measured at the Icheon geomagnetic observatory.
        95.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DCP는 하천의 3차원 유속과 수심 자료를 매우 효율적이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으며, 그 자료의 공간 및 시간적 해상도는 기존의 전통적인 유속 측정 방법들과 비교하여 매우 정밀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ADCP는 하상 부근과 센서 근처에서의 미계측 영역이 발생하고 이 미계측 영역의 유속을 얼마나 정확하게 산정하느냐에 따라 ADCP 유량 측정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ADCP 유량 산정 시 범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1/6 멱법칙(power law)을 활용한 미계측 영역의 유량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실규모 직선수로에서 ADCP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측정한 유속 자료를 1/6 멱법칙과 대수 법칙(log law)을 적용하여 외삽 한 유속분포와 유량 산정 결과를 ADV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측정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전체적으로 대수 법칙으로 외삽한 경우가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수표면 근처 미계측 영역에서는 1/6 멱법칙은 유량을 작게 산정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하상 근처의 미계측 영역에서는 유량을 크게 산정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기존 1/6 멱법칙을 활용한 하상 및 수표면 부근 미계측 영역 유량 추정 방법이 오차를 수반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ADCP 정지법 측정 방식을 사용할 경우, 대수 법칙이 1/6 멱법칙보다 정확한 상하부 미계측 유량 추정 결과를 보여주었으므로 대안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제방 근처 미계측 영역의 유량 측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심이 0.6 m 이상을 확보한 측선을 기준으로 유량을 산정할 경우 신뢰도 높은 유량 측정 결과를 보였다. 향후, ADCP 정지법 측정 방식에 비해 보다 많이 활용되고 있는 보트탑재 이동식 ADCP의 경우도 이와 같은 검증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96.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수문관측의 측정 인력과 비용의 절감과 측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초음파를 이용한 ADCP 유량 측정 방법의 적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점점 그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ADCP의 유속 및 수심 측정 정확도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ADCP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확신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선하천에서 체계적이고 정밀한 측정을 통해 ADCP의 유속 및 수심 정확도를 분석하였 다. ADCP의 유속 측정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해 횡단면에 184개의 측점에서 측정한 ADV 유속 측정 결과와 ADCP의 유속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바닥을 기준으로 수심비(y/h)가 0.4∼0.8 범위에서는 ADCP가 정확하게 유속을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면 근처에서는 유속을 작게 측정하였고, 하상 근처에서는 유속을 크게 측정하여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DCP의 수심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하상추적(bottom tracking) 방식이 약 6%의 오차를 보였고, 연직 빔(vertical beam) 방식이 약 9%의 오차를 보여 식생이 활착한 자연하천의 경우 하상추적 방식이 좀 더 정확하게 수심을 측정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고정 측정 방법과 이동 측정 방법의 차이를 검토한 결과 두 방법 모두 유사한 정확도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 ADCP의 측정 불확도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면 ADCP를 하천에 적용함에 있어 좀 더 정확한 유속 및 수심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97.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rst, to define what measurement items in terms of subjective consideration and preference can be used to assess the landscape values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heritage, and second, to understand the perceptive patterns particularly how landscape experts weigh up the importance of the each measurement item. In order to extract the measurement items,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including research documents as well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y reports. A survey targeting the experts was conducted to ask their opinions on the importance of the selected items. For the analysis, SPSS 20.0 for Windows was used to carry out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arithmetic mean and frequency distribution,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ing. The results are: the importance value of the landscape values in agriculture and fisheries heritage was 4.1494; the ratio value that the experts perceived the importance was 87.2%; and the average of the importance value of the analyzed items was 3.71. All the items have more than 3.00. Ten factor groups were summarized and defined whose total explanation power was 67.86%. The factor groups were named as lyricism, authenticity, environmentally-friendliness, durability, recognizability, regionality, visibility, value of sightseeing, social image, and universalit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andscape values are, in order of importance, recognizability, authenticity, visibility, universality, durability, and nativen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however, environmentally-friendliness, regionality, value of sightseeing, and social image were not as important.
        98.
        201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공용중인 대부분의 시설물들은 다양한 센서로 구성된 계측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시스템에서 계측된 응답 데이터 분석을 통해구조물의 건전성을 평가하고 있다. 건전성 평가 과정에서 적용하는 계측데이터의 계측관리기준은 일반적으로 공용 초기에 설정된 것으로,시공회사 또는 설계회사 소속의 전문가들이 설계기준을 바탕으로 혹은 구조해석을 통해 설정하고 있다. 하지만 실 계측데이터에 적용하기위해서는 이와 같이 설정되는 계측관리기준의 검증이 필요하며, 일부 연구자들은 교량의 관리를 위해 실 계측데이터에 계측관리기준을 적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적 접근방법을 활용하여 기설정된 계측관리기준을 검토하고, 체계적인 계측관리기준 재설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구조물의 실 계측 데이터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99.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 powerful new approach to vehicle-bridge interaction observation in operational bridge structures is proposed using University of Michigan’s Narada wireless sensors. Based on the novel data acquisition, dynamic behavior of a bridge under a moving vehicle is experimentally analyzed.
        100.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수시 하천의 유속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제시된 것이 표면 영상 유속 측정법이다. 일반적인 표면영상유속계(SIV)는 두장의 정지영상에서 영상 조각을 잘라낸 뒤 여기에 상호상관법을 적용하여 유속을 산정한다. 이 방법은 짧은 시간간격의 유속분포 측정에 매우 효율적이다. 그러나 장시간의 평균 유속장을 산정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순간 유속장을 산정하기 때문에 흐름 조건이나 촬영 조건에 따라 생기는 잡음이나 불확실성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이를 개선하고자 개발된 방법이 시공간 영상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동안의 유속의 평균을 한번에 산정하는 시공간영상유속계측법(STIV)이다. 시공간영상유속계측법 중의 하나인 휘도경사텐서법은 일정 시간동안의 시공간 영상을 한 번에 분석하기 때문에, 유속 산정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하천의 일방향 유속만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 주변이나 만곡이 있는 경우의 2차원 흐름 측정은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상호상관법을 이용하여 2차원적으로 시공간 영상을 분석하는 방법(상호상관 시공간영상유속계측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시공간영상에서 시간축 방향으로 상관분석을 통해 영상변위를 산정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시공간영상분석기법 중 하나인 휘도경사텐서법이 주흐름 방향만 분석이 가능하였던 데 비하여, 상호상관 시공간 영상분석법은 2차원 유속분포 측정이 가능하고, 시간적인 평균을 취하기 때문에, 공간 해상도가 높으며, 전체적인 유속 분석시간이 매우 짧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동 흐름에 대한 인공 영상을 이용한 오차 분석결과 최대 10% 이내, 평균적으로 5% 이하의 오차를 보여 상당히 정확하게 2차원 유속분포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