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6

        81.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벼멸구 저항성 개통 육성과정 중에 수행한 PS와 MAS system간의 선발 효율을 정확성, 소요시간, 소요비용 등의 요인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MAS system의 선발 효율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MAS system을 구축하고 실용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DNA marker를 이용하여 벼멸구 저항성 개체를 선발하고 MAS 체제를 확립하기 위하여 ‘삼강/낙동’ 조합의 F2집단, RIL(F6), DH집단, 여교잡집단(BC6F5)을 대상으로 PS와 marker 검정을 병행하여 두 검정 방법 간에 각 잡종집단 및 세대별 저항성과 감수성 계통(개체)의 비율을 비교한 바 95%이상 일치하였다. MAS 체제와 PS간의 선발효율을 비교한 바 MAS는 PS에 비해 약 32%의 비용이 절감되었고, 검정에 소요되는 기간도 기존의 PS에서는 30일인데 비해 MAS에서는 7일로 크게 단축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MAS에 의한 벼멸구 저항성 계통 선발 체계를 확립 할 수 있었다.
        83.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homopsis seed decay (PSD) is part of a major fungal disease complex found in most soybean production areas of the world. To establish the genetic linkage map and efficient soybean breeding program, DNA markers were surveyed for polymorphism between PSD resistant (cv. PI 417479) and susceptible (cv. Hwaeomput-kong) varieties. F2, BC1F2, BC2F2 and the corresponding F2:3 population families were us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molecular markers and resistance to PSD. In SSR analysis, Sct_033 was the mos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SD resistance among selected eight primers. AF1, AF2, and AF3 were also selected in AFLP analysis. And a few promising lines could be selected from two times of back cross. Especially a breeding line SS01415-8-1 was developed, which has high seed quality such a large seed size, bright hilum color, round shape, and etc. It might be considered a good breeding material for new recommend variety having resistance gene to PSD with good seed quality.
        87.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nsure the durability of resistance to blast disease in high-quality japonica rice a long-term rice breeding project to develop a few blast-resistant multiline cultivars was carried out from 1987 to 1999. Seven resistance donors were selected based on
        88.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벼멸구 저항성 품종인 '청청벼'와 감수성이면서 자포니카형 벼인 '낙동벼'를 교배한 DH 계통 및 F2 집단을 이용하여 벼멸구 저항성과 DNA marker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 520개의 RAPD marker를 이용하여 양친에 다형성을 보이는 310개의 marker를 찾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BSA를 통해 벼멸구 저항성과 관련있을 것으로 보이는 17개의 marker를 선발하였다. 2. 벼의 12번 염색체상에 위치한 38개의 SSR marker를 사용하여 모~cdot부본에 대한 다형성 검정을 실시한 바, 17개의 SSR marker를 선발할 수 있었다. 3. BSA를 통해 선발된 17개의 RAED marker와 DH 계통의 벼멸구 저항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벼멸구 저항성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OPE16700을 선발하였다. 4. SSR marker 및 OPE16과 65 DH 계통의 벼멸구 저항성과의 연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OPE16이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와 4.6cM 거리로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2.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ingle recessive gene, rxp, controls the bacterial leaf pustule (BLP) resistance in soybean and in our previous article, it has been mapped on linkage group (LG) D2 of molecular genetic map of soybean. A total of 130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from a cross between BLP-resistant SS2-2 and BLP-susceptible Jangyeobkong were used to identify molecular markers linked to rxp. Fifteen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on LG D2 were screened to construct a genetic map of rxp locus. Only four SSR markers, Satt135, Satt372, Satt448, and Satt486, showed parental polymorphisms. Using these markers, genetic scaffold map was constructed covering 26.2cM. Based on the single analysis of variance, Satt372 among these four SSR markers was the mos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esistance to BLP. To develop new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marker linked to the resistance gene, bulked segregant analysis (BSA) was employed. Resistance and susceptible bulks were made by pooling equal amount of genomic DNAs from ten of each in the segregating population. A total of 192 primer combinations were used to identify specific bands to the resistance, selecting three putative AFLP markers. These AFLP markers produced the fragment present in SS2-2 and the resistant bulk, and not in Jangyeobkong and the susceptible bulk. Linkage analysis revealed that McctEact97 (P=0.0004,~;R2=14.67~%) was more significant than Satt372, previously reported as the most closely linked marker.
        96.
        197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도열병에 대한 포장저항성의 실내검정법의 일환으로 초자실에서의 벼의 유묘기(5-6엽)에 7개의 도열병저항성판별용 균계와 약간의 돌연변이균계를 조사하여 포자형성능의 균계간차 및 병균의 포자형성에 대한 벼품종의 억제효과의 차이등을 밝혔다. 1. 7개의 저항성판별균계 및 소수의 돌연변이균의 식물체상에서의 포자형성력에는 균계간차이가 명백하였다. 2. 숙주상에서의 포자형성력은 병반의 진전속도, 병원력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Oatmeal전 즙사당새천배지상에서의 포자형성량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나 병반장, 대맥곡립배지상에서의 포자형성량과는 유의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3. 이병성병반발현후 2일째의 병반에서 포자형성의 peak가 있었고 incubation의 일수는 실험에 따라 차이가 많고 식물체의 영양조건에 따라서도 변이가 컸다. 4. 병반수의 증가에 따라 포자형성량이 감소하는 밀도효과(negative density effect)는 실험에 따라서 인정되었다. 5. 병원력은 포자형성력보다 균계간차가 뚜렷하지 않았으며 이것은 병원력의 환경변이가 포자형성력의 그것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만일병원력과 포자형성력과의 사이에 어떤 상관이 있다면 소규모의 실험에서는 숙주에서의 포자형성량은 병원력보다 전염력 비교를 위하여 보다 유용한 대상형질이라고 보았다. 6. 포자형성에 대한 저항성의 품종간 차이는 몇 개 실험에서 인정되었으나 병반형성에 대한 저항성의 품종간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수도품종의 포장저항성과 각 품종상의 병반형성과는 포자형성보다 더 밀접한 상관을 보였다. 7. 이병성품종 상에서의 mutant균계의 포자형성량이 모균계보다 적었던 현상은 'stabilizing selection이 있었을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밀식구일수록 단위면적당 수수는 증가되었으나 수당경화수, 정조천입중 등이 감소되어 수량은 박파묘 소식구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7월 15일 이앙구에서는 후파묘 밀식구가 등열비율과 천입중의 현저한 감소로 수량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6. 극만앙 대책으로서의 적정 묘대파종량 및 본답 10a에 대한 묘대면적은 3.3m2 당 0.4ι 및 59.4m2 로 판단되었다.저항성인 품종의 선발을 위하여는 도복지수가 대맥 1.67 소맥 1.76 정도 이하인 것은 고도의 저항성이 있었다.X>~circled4붕사는 간장을 억제시켰다. ~circled5 소량의 붕사는 등숙을 향상시켰으며 다량의 경우에는 저해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circled6 정조 및 현미수량은 소석회 및 붕사의 단독효과만이 인정되었으며 다량의 붕사는 감수를 초래하였다. 내생리듬 (Endogneousrhythm)의 변화 혹은 교란을 가져와 발육과정에서 성적결함을 일으켜 불임으로 된다고 추정하였다.)의 4개형질 혹은 분지수(X2 )ㆍ경직경(X3 ), 그리고 일주협수(X4 )의 3개형질로 할 것이 요망되고, 이들 형질의 측정치로 선발지수를 작성하여 그 지수에서 산출된 Selection score가 큰 계통부터 선발해 나가는 것이 선발지수의 이용상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라 하겠다.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는 패션 색채 팔레트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esthetic of ′unity in multiplicity′, aesthetic of tessellation and aesthetic of harmon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