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2

        101.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층과 하층의 대기구조 특성을 알아내기 위하여, 해양의 특성을 잘 표현한다고 사료되는 섬(충남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리)을 관측지점으로 선택하여 라디오존데를 이용하여 대기의 연직구조를 관측하였다. 관측결과를 이용하여, 저 고기압이 통과할 때의 상대습도, 기온과 바람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경우에 대해 결과치들을 비교하였다. 해양과 육상에서의 대기구조를 비교하기 위하여 오산의 관측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대습도가 고 저기압의 통과에 따라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저기압이 다가올 때는 상대습도는 하층보다 상층에서 먼저 증가하였으나 고기압이 다가올 때는 상층에서 10%까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또, 상대습도 변화폭이 육상에서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으로 해양과 육상에서의 수증기간의 관계를 계절별, 그리고 일별로 동시간 관측을 통해 찾고자 한다.
        5,100원
        105.
        199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산화물법에 의해 제작된 α-stannic acid의 열분해 거동과 SnO2분말의 성질에 미치는 잔류염소이온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SnCl4와 NH4OH 수용액을 중화시켜 α-stannic acid침전물을 제작하고 NH4NO3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분말내의 잔류 염소이온의 양을 주절하기 위하여 세척정도를 3단계로 조정하였다. 세척후 100˚C에서 건조하고, 500˚C ~ 1100˚C에서 하소함으로써 SnO2분말을 제조하였다. α-stannic acid의열분해 거동ㅇ르 DT-TGA 와 FTIR을 통하여 관찰하고, SnO2분말의 조성과 입자크기 및 비표면적을 각각 AES, TEM 및 BET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잔류 염소이온 양이 감소되면, 저온 하소시 일차입자의 상대적 크기가 커지는 반면 고온하소시에는 상대적으로 감소되었ㄷ. 잔류 염소이온의 일부는 α-stannic acid내의 격자산소 자리에 위치함으로써, 저온가열시 결정수탈리와 결정화를 지연시키고 또한 고온가열시에는 이의 증발에 의해 산소공공이 생성되어 소결을 촉진시킨다고 제의하였다.
        4,200원
        107.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09.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find out the effect of different patterns of nitrogen and potassium distribution on dry matter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temperate pastures,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6 treatments replicated 3 time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
        4,000원
        110.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방과 식품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쑥의 특성 중 항미생물 효과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쑥씨에서 분리한 정유를 GC, GC-MS로 분석한 결과 77종의 휘발성 물질이 동정되었고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은 campher(14.242%), borneol(12.812%), 1.8-cineol(6.437%), terpinen-4-ol(1.185%) 등으로 전체 정유성분의 약 35%를 차지했다. 이들 4종과 Mugwort seed extract(essential oil)를 가지고 대표적인 식품 미생물인 S. cerevisiae, L. mesenteroides, L. plantarum, A. oryzae와 B. subtilis 그리고 식품오염 정도의 지표 미생물인 E. coli 등의 생육에 미치는 항미생물 효과를 측정한 결과 terpinen-4-ol이 가장 효과가 커 1000ppm 정도로 미생물의 생육을 거의 억제시켰으나 cineol, essential oil은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은 반면에 borneol과 campher는 항미생물 효과가 미약했다.
        4,000원
        111.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고유 식품인 소양의 영양적 가치와 최적조리 조건을 제시하기 위해서, 소양 조직의 일반 영양성분과 조리방법(가열처리, 압력처리, 양과 물의 첨가비)에 따른 질소성분과 미네랄성분의 용출, 핵산관련 맛성분의 용출 및 관능검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양의 제 1위와 제 2위의 영양성분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수분 약 83%, 회분 0.4~0.5%, 지방 약 3%, 단백질 약 13%, 칼슘 50~56mg%, α-amino N 75~76mg%, 인 75~76mg%였다. 소양의 상피세포층의 중량은 제 1위에서 35%, 제 2위에서 29%를 차지하였으며, 회분과 칼슘을 제외한 모든 영양성분은 상피세포층과 근육층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으나 칼슘은 총함량의 80% 이상이 상피세포층에 함유되어 있었다. 2. 소양을 2, 4, 8, 12, 24시간 가열한 후 질소성분(총질소와 α-amino N)과 미네랄성분(칼슘과인)은 각각 8시간과 4시간 가열에 의해 plateau에 달하였으며, 맛성분인 5'-IMP는 8시간 가열에 의해 plateau에 달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8-12시간 가열시 좋은 성적을 얻었다. 3. 소양을 압력솥에서 30분, 1, 2, 3, 4시간 가열조리한 후 질소성분과 미네랄성분은 각각 2시간과 1시간 가열에 의해 plateau에 달하였으며 5'-IMP는 2시간의 압력가열로 최대값을 나타냈다. 관능검사 결과는 1시간 이상 가열시 좋은 성적을 나타내었다. 4. 소양의 중량별 용출액 중의 영양성분을 보면, 양에 대한 물의 첨가량이 10배 이상일 때 용출량은 증가하고, 특히 칼슘은 10배 이하에서는 20배에서의 용출량의 50%로 감소되었다. 맛성분의 용출은 20배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관능검사 결과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실험 성적에서 소양은 단백질과 칼슘의 급원 식품으로서 조리시 상피세포층을 제거하였을 때 영양적 손실이 크며, 특히 칼슘의 손실이 컸다. 영양성분의 충분한 용출과 맛을 위해서는 상압가열 조리에 있어서는 8시간의, 압력조리에 있어서는 1~2%시간의 조리시간, 양에 대한 물의 첨가량은 10배 이상이 필요하였다. 이것은 소양의 조리시 충분량의 물을 넣어 장시간 가열하는 우리나라 재래식 조리방법이 영양적, 미각적 측면에서 매우 합리적임을 시사한 것으로 본다.
        4,000원
        112.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전통수산식품의 식품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담치젓국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betaine, 총 creatinine 및 유기산 등의 정미성분과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다. 담치젓국의 수분함량은 59.6%였고 조단백질 및 당은 9.4%였다. 각각 18.2%, VBN함량은 89.4mg/100g이었고 아미노질소 함량은 157.3mg/100g이었다.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건물량기준으로 10,520.5mg/100g 이었고 이중 glycine, arginine, aspartic acid 및 glutamic acid가 전체의 55.7%를 차지하였다. 핵산관련물질은 hypoxanthine의 함량이 건물량기준으로 8.77 μmole/g으로써 가장 많았다. 담치젓국의 엑스분질소중에서 유리아미노산질소, 암모니아질소, 핵산관련물질질소, TMAO질소, TMA질소, betaine질소 및 총 creatinine질소가 전체의 71.7%를 차지하고 있었고 이중 유리아미노산질소가 53.3%를 차지하여 상당히 많았다. 불휘발성유기산은 7종이 동정되었으며 succinic acid가 건물량기준으로 125.5mg/100g으로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lactic acid(91.9mg/100g) 및 α-keto-glutaric acid(23.2mg/100g)의 순이었으며 oxalic acid, fumalic acid, malic acid 및 citric acid는 미량 검출되었다. 지방산조성은 폴리엔산이 45.5%, 포화산이 33.0%, 모노엔산이 21.5%였고 주요구성지방산은 16 : 0, 18 : 2, 22 : 6, 18 : 1 및 20 : 5였다. 관능검사 결과 유리아미노산이 맛에 기여하는 정도가 가장 컸고 다음으로 유기산 및 핵산관련물질의 순이었다. 담치젓국의 맛에는 유리아미노산과 불휘발성유기산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핵산관련물질과 TMAO, betaine 및 creatinine이 보조적 역할을 할 것으로 볼 수 있었다.
        4,000원
        113.
        198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춘파초지조성시(春播草地造成時) 목초(牧草)의 정착(定着)과 수량(收量) 및 식생변화(植生變化)를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조성시(造成時)의 기비량(基肥量)을 2수준(水準)(N:P2O5:K2O=80:200:70 및 160:200:140kg/ha), 관리시(管理時)의 질소(窒素) 및 가리(加里) 분시방법(分施方法)을 3수준(水準)(봄 다비(多肥), 균등분시(均等分時), 가을 다비(多肥))으로 하여 분할구법(分割區法) 4반
        4,000원
        114.
        198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Tall fescue(Festuca arundinarea s. 의 Alta품종(品種)에 있어서 채종재배(採種栽培)를 위(爲)한 질소비료(窒素肥料)의 시비수준(施肥水準) 및 분시방법(分施方法)을 구명(究明)코자 3 시비수준(施肥水準)(120, 180, 240kg/ha)과 4 분시방법(分施方法)((1)봄 : 100%%, (2) 가을, 봄 : 각각 50%, (3)봄, 출수전 : 각각 50%, (4) 가을 : 50%, 봄, 출수전 : 각
        4,000원
        116.
        202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mino acid additives to weaned piglet diets on the pH and volatile fatty acids of pig slurries. A total of 135 weaned 22 -day-old piglets (Yorkshire x Landrace x Duroc) were used in this 56-d study. The three dietary treatments were as follows: (1) Control as a basal diet, (2) 1% amino acid additive and (3) 2% amino acid additive. Both pH and acetic acid values at 71 and 78 day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treatment groups (p<0.05).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pionic acid values were observed among treatment groups at 64 and 78 days (p<0.05). However, pH, acetic acid, and propionic acid values did not differ between 1% and 2% amino acid treatment groups. In conclusion, adding 1% and 2% amino acid to weaned piglet diets reduced the pH, acetic acid and propionic acid contents of pig slurries by acting as a probiotic. This may help formulate increase management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pig housing environment.
        117.
        202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nure additives mixed with probiotics and zeolite on harmful gas production generated by pig slurry. A total of 180 crossbred pigs ([Yorkshire x Land race] x Duroc, live weight 70±3.21 kg) were allotted to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3 treatments and 3 replications (20 heads per replicate). The treatments consisted of 0% (control), 0.05% (T1), or 1% (T2) of manure additives mixed with probiotics and zeolite. Manure additives were added weekly to pig slurry pits (2 m × 4.5 m × 1.2 m) on a volumetric basis. For ammonia measured at both 10 cm and 90 cm above the pig slurry pit, a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was found in probiotics and zeolite-treated manure additives at weeks 1 – 3, except for week 0. In addition, hydrogen sulfide levels measured at 10 cm above the pig slurry pit were not affected by the manure additive at weeks 0 and 1, but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t weeks 2 and 3 (p<0.05). Therefore, supplementing pig slurry with 0.05% and 0.1% manure additives mixed with probiotics and zeolite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in pig facilities.
        118.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분갈(Pueraria thomsonii Benth)은 전통적으로 중국 의학에서 발열, 급성 이질, 설사,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 치료를 위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분갈의 꽃인 분갈화의 피부 효능은 아직까지 밝혀진 바 없어, 본 연구에서는 멜라닌세포인 B16F1 세포주와 섬유아세포인 HS68 세포주를 이용하여 분갈화의 피부 효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갈화의 에탄올 추출물이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고, 분갈화 추출물의 효능 성분을 추적하고자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갈화에 함유된 이소플라본류 화합물인 tectorigenin, tectoridin,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3종 성분을 확인하였다. 3종 성분 모두 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에서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멜라닌 생합성 감소는 tyrosinase와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에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멜라닌 합성저해의 또 다른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에서 유래되는 멜라닌 합성억제 인자인 DKK-1의 발현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 분갈화 추출물, tectoridin,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는 DKK-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킨 반면, tectorigenin은 DKK-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 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분갈화 성분 중 tectorigenin은 멜라닌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 억제와 섬유아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억제 인자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적인 미백 개선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19.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축산업은 1980년대 이후로 전업화 및 대규모화가 진행됨에 따라 급격히 성장하였으나, 이와 동시에 늘어나는 가축분뇨의 처리문제가 크게 대두 되었다. 2016년 국내 가축분뇨 발생량은 46,988 천 톤에 해당하며, 이중 양돈 분뇨가 18,464 천 톤으로 전체 발생량의 42.3%를 차지하였다. 일반적으로 국내 대부분의 양돈 농가는 슬러리 형태의 돈사 구조이며, 발생하는 분뇨의 성상은 액상 형태이다. 슬러리(액상 가축분뇨)는 액비화 시, 공기를 주입하여 호기성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를 유도하기 때문에 액비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폭기 방법에 대한 연구가 선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액비화 효율 개선을 위해 기존 폭기 방식과 순산소(산소농도 95%) 처리 시 액비의 이화학 특성 변화의 차이를 분석하여 향후 양질 액비를 만드는 기술 개발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반응기는 폴리에틸렌(PE) 소재로 약 1.5m3 규모로 제작 하였으며, 순산소에 의한 액비화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무폭기(대조구), 일반폭기, 순산소로 처리구를 설정하였다. 일반 폭기의 경우 ‘가축분뇨 처리시설 표준설계도’에 근거하여 반응기 내에 약 30 L/m3・min의 공기를 주입하도록 설계하였으며, 순산소 처리구는 6 L/m3・min의 공기를 주입한 후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액비화 과정 중 온도변화를 관찰한 결과, 액비화 개시 온도는 25℃였으며, 실험 개시 48시간 후에 순산소 처리구의 온도가 47℃ 일반폭기가 32℃ 비폭기가 30℃로 상승하여 순산소 처리구의 유기물 분해가 더 빨리 진행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액비화 과정 중 암모니아 발생농도를 관찰한 결과, 순산소 처리구의 경우 액비화 개시 5일 이후에 는 160 ppm으로 가장 높은 암모니아 발생량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점차 감소하여 20일 이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일반 폭기구의 경우 액비화 개시 20일 까지 약 440 ppm의 암모니아 농도가 검출되었다. 일반적으로 순산소는 유기성 질소의 질산화를 촉진시켜 암모니아 기화를 방지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본 실험에서도 이와 같은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액비 내 총켈달 질소(TKN)의 농도 변화와 비교 분석한 결과, 실험이 끝난 후 순산소 처리구의 액비 내 질소함량은 0.078%, 일반 폭기구는 0.059%로 조사되어 위 실험과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20.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공구조물 설계시 실측 유량의 자료 부족으로 홍수량의 빈도해석 결과보다는 강우자료를 수집하여 강우-유출 관계에 따라 산정된 설계강우량을 이용하여 특정 빈도에 해당하는 설계 홍수량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과거에는 첨두유량 산정을 위하여 합리식과 같은 경험식을 이용하였으나 지속기간이 장기화됨에 따라 실제 사상과는 다른 유출양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확률강우량 시간분포의 정확성이 중요하게 되었다. 현재 실무에서는 설계강우량의 시간분포 방법으로 Huff의 4분위 방법 중 3분위를 사용하고 있으며 분위별 곡선에 대한 회귀식은 지속기간 전반에 걸쳐 정확도가 높은 이유로 6차식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통계 모델링에서는 간결함의 원리에 따라 회귀식이 간결할 필요가 있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에 기초하여 회귀계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관할 69개 강우관측지점을 대상으로 설계강우량의 시간분포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Huff 4분위 방법의 시간분포 회귀식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기상청 관할 69개 강우관측지점의 Huff 4분위 방법의 시간분포 회귀식의 유의성 검정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4차식까지 회귀계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통계학적으로 Huff의 4분위 방법의 시간분포 회귀식은 4차까지만 고려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