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2

        101.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changes the application of a sport-education model brought to the motor skills (psychomotor domain) and affective domain(basic attitude to physical educati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haracter
        4,300원
        102.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n the physical skills, the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e social interaction of students by applying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 which the active learners who have cooperat
        5,700원
        103.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application of a Harano teaching model constituted by firsthand and secondhand experiential activities brought any changes to the affective physical education learning cap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5,100원
        104.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new sporting events, which could be intriguing for school children and boost their class participation, into P.E. instruction in an effort to further their attitude, interest and basic physical fitness. The subjects
        4,900원
        105.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ffects on changes of learner's physical ability improvement and physical training satisfaction/pleasure dividing into a separate self-goal on the basis of previous results from each learner and a collective goal
        5,400원
        106.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김제시 1개 중학교 2학년 여학생 5개 반을 대상으로, 중학교 과학 '지각 변동' 단원을 중심으로 협동학습을 실시하여 협동 학습이 여학생들의 과학 선호도에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협동 학습 모둠은 학습 능력이 이질적으로 되도록 4명을 한 모둠으로 구성하여 약 10주간의 협동 학습을 실시하였다. 협동 학습 실시 전 후 동일한 검사지로 과학 선호도에 대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협동 학습 실시 후 여중생들의 과학 선호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과 과학 수업에 대한 참여도가 협동 학습 전과 달리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과학자들에 대한 인식이나 과학적으로 사고하거나 행동하는 습관을 나타내는 과학적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10주 동안의 기간은 협동 학습 전략을 효과적으로 시행하는데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협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조사에서 중위 수준 학생들은 상-하위 수준 학생들과 달리 협동 학습에 대해 강한 긍정을 나타냈다. 협동 학습을 통해 상위 수준 학생들에게 배우고, 하위 수준 학생들에게 나누는 모둠 활동에서 자신감을 얻고 흥미를 느낀 것으로 보인다. 다른 의견으로는 협동 학습이 과학 수업에 대한 흥미 유발과 공부에 더 도움이 되고, 학생의 참여도를 높이며, 학생들에게 협동심을 길러주는 등의 좋은 점이 있으나,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인한 소란스러움을 유발시키고, 모둠 내 협동하는데 의견 충돌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
        4,000원
        108.
        200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협동학습에서 소집단 경쟁을 유도하는 집단보상과 소집단 구성원의 결속을 강조하는 협동기술 훈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3개 학급을 대상으로 문제중심 협동학습을 실시하였고 2개 학급에서는 각각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을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 면에서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별로 진행된 협동학습 후에 세 집단의 과학성취도와 학습동기 점수를 성취도 수준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이 과학성취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자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성취 수준 상위인 학습자에게는 집단보상이 협동기술 훈련보다 효과적인 반면 하위인 학습자에게는 협동기술 훈련이 집단보상보다 효과적이었으며 중위인 학습자는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이 모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이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쳤으나 학습자의 학업성취 수준과는 관련이 없었다. 학습동기의 하위요소별로는 주의력 요소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자신감과 만족감 요소에는 효과가 나타났다.
        4,000원
        110.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nglish oral presentation strategy training (OPST) in EFL contexts. For this study, eight university students of 4 high and 4 low proficiency level are selected. The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an OPST over 5 weeks including 8 times of training. During the OPST, the participants learned 25 strategy, 17 verbal and 8 non-verbal strategies. The verbal strategies were again divided into two parts: general verbal strategies and genre specific strategies. For the validity of the present study a “triangulation” was achieved through the use of video recording, classroom observation, questionnaire, in-depth interview, and the native English speaker’s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articipants showed some improvement in the use of presentation strategies, especially organizational and verbal components of the strategies rather than nonlinguistic components. The proficiency level of the participants had an effect on the frequency of use of strategies after the OPST. Overall, the OPST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participants’ attitude toward English oral presentat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teaching implications for improving presentation skills in university EAP contexts are provided.
        8,300원
        111.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학습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기 주도적 야외학습을 할 수 있도록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학업 성취도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6개 학급 19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각 3개 학급씩 98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종속변인인 사전 학업성취에서 수준을 구별하기 위해 사전검사를 가지고 각기 상위 25%를 상수준(24명), 중위 50%를 중수준(50명), 하위 25%를 하수준(24명)으로 상·중·하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야외 학습장은 교육현장과 가까운 부산광역시 남부 일원의 두송반도 지역, 송도 지역, 몰운대 지역을 중심으로 야외답사 코스를 개발한 후, 이를 자기 주도적 학습과 야외학습의 이론을 토대로 구안한 자기 주도적 야외학습을 위한 탐구모형에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고려해 볼 때,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야외학습은 학습자의 학업성취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뿐만 아니라 자기 주도적 학습특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500원
        113.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제중심학습이 교사가 학습자에게 전달해야 할 지식을 미리 정한 순서에 따라 차례로 제공하는 학습이라면. 문제중심학습(PBL)은 구성주의의 상대론적 인식론에 따른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의 활용에 관심을 둔 학습양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은 학습과정을 자율적 학습과정과 구분하여 이를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창의력은 관련분야에 실재하는 복잡하고 비구조적인 문제들을 자신의 두뇌 속에 이미 존재하는 지식이나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새롭고 유용한 결합을 이루어 내고, 그것에 기초하여 판단을 내리는 능력으로 보고, 본 연구에서는 이를 창의적 성향과 기능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문제중심학습(PBL)은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05에서 창의력 신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1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strategy training in teaching English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also attempted to provide some empirical data for more successful strategy training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Sixty six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wo intact classes (33 each)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17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strategy training in addition to traditional instruction, while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in the traditional way only. Some of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Strategy-trained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ly better improvement over the traditionally-taught group in their English proficiency; 2) Strategy-trained group used all categories of learning strategy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at the end of the experimental period than traditionally-taught group; 3) Bo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trategy use was affected by the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a strategy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learners could be fruitful and viabl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presented along with limitations inherent in the present study.
        6,400원
        115.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re were any gaps between school children who received ICT-powered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s about health and others who took typical lessons about the same in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4,900원
        116.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efficient aspect and the proper time of feedback for the ball movement teaching when the rhythmic gymnastics exercises are practiced in the class room situation, concerning that the method and the time of feedback
        6,300원
        117.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지질구조에 대한 공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지질 공간 방향 인식 및 공간 시각화 인식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경기도에 소재하는 4개 고등학교 학생 6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학생들 중 4명을 대상으로 지질 공간개념 수준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투입 결과, 학생들의 지질 공간개념 수준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p 〈 0.05). 또한 4명의 학생들의 면담결과 공간 시각화 과정을 거치는 학생들의 지질 공간 능력이 향상되었다.
        4,200원
        118.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협동기술 훈련의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통제집단, 문제중심학습 집단, 협동기술 훈련을 한 문제중심학습 집단의 학습능력 수준에 따라 과학 성취도와 자아존중감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협동기술 훈련에 무관하게 문제중심학습이 전통적 수업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능력이 중간인 학습자와 낮은 학습자는 협동기술 훈련을 한 경우, 전통적 수업 집단보다 과학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협동기술 훈련이 학습능력이 중간 이하인 학습자에게서 발생하는 무임승객효과를 줄이고 소집단활동의 협력적인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아존중감은 문제중심학습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학습능력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4,000원
        119.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search has shown that using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such as movie videos and CD-ROMs in foreign language classrooms has been eff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a movie CD-ROM in English classrooms as a way of improving English language skills and enhancing students’ positive perception of learning English. Sixty 10th-grade students in a commercial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which lasted 10 weeks. One group used the movie Big, while the other group used the conventional method of listening to a tape that accompanied a textbook. The data, which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the SPS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Even though the experimental group’s level of interest and confidence increased by using the movie CD-ROM, the increas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ame can be said for the control group. 2)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vocabulary building,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3) Neither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erms of listening ability.
        5,700원
        120.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의 목적은 협동학습이 중학생의 개념변화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협동학습 상황에서 일어나는 학생-학생간의 언어 상호작용의 유형 및 언어 상호작용과 개념변화와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중학교 2학년 2개 반을 각각 협동학습 집단(실험집단, n=37)과 전통적 학습 집단(통제집단, n=37)로 선정하였다. 협동학습 집단은 STAD 협동학습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협동적 기능을 익혔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개념변화에 있어 협동학습 집단과 전통적 학습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사전검사에서 중위 수준의 개념 이해를 보인 학생들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협동학습의 언어 상호작용 유형을 보면 주로 상위와 중위 수준 학생 사이에 활발한 토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공적인 개념 변화를 보인 학생들의 경우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더 빈번한 언어 상호작용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오개념의 교정에 있어서는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4,200원